옥수수 선물 가격이 23일(수) 정오 기준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가장 근월물인 2025년 9월물 옥수수 선물은 -2센트까지 밀리며 $3.98⅕를 기록했다. 현물 평균 가격을 집계하는 CmdtyView 신규 작황 현물 지수도 1센트 하락한 $3.75¾를 나타냈다.
2025년 7월 2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약세는 미·일 양국 간의 새로운 농업 통상 합의가 발표됐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유입되지 않은 데 따른 결과다.
1. 미·일 농업 통상 협정 주요 내용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일본 정부는 22일(현지 시각) 늦은 밤 15%의 관세를 오는 8월 1일부터 적용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한 일본은 미국산 쌀 수입을 확대해 연간 $80억 규모의 농산물을 구매하기로 했다. 참고로 미 농무부(USDA) 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대(對)일본 농산물 및 관련 제품 수출액은 통상 $120억~160억 달러 범위였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번 합의가 중장기적으로 미국 농업 부문에 추가적인 수요 모멘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옥수수 가격에는 즉각적인 상승 동력이 미흡하다고 평가한다.
2. 에탄올 생산·재고 지표
미 에너지정보청(EIA)이 발표한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7월 18일로 끝나는 주간 옥수수 기반 에탄올 생산량은 전주 대비 9,000배럴 감소한 일 107만8,000배럴(bpd)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재고량은 80만9,000배럴 증가해 2,444만4,000배럴에 이르렀다.
※ EIA는 미 에너지정보청(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의 약자로, 원유·가스·바이오연료 등 에너지 전 부문에 걸쳐 주간·월간 통계를 제공한다.
에너지 부문 수요 지표 약세는 곡물 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 위축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3. 수출 판매 동향 및 한국발 수요
미국 농무부(USDA)가 24일(목) 오전 발표할 주간 수출 판매(Export Sales) 예비치는 구작(2024/25년도) 10만~80만t, 신작(2025/26년도) 40만~80만t으로 추정된다.
한국 곡물수입협회(KFA) 등 국내 다수 곡물 수입업체들은 밤사이 국제 입찰을 통해 총 26만9,000t의 옥수수를 구매했다. 한국은 아시아 최대 옥수수 수입국 중 하나로, 가격 변동에 민감한 선제적 조달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4. 시세 상세 현황(23일 12:00 기준)
• 2025년 9월물 : $3.98⅕(-1¢)
• 현물 가격 : $3.85½(-1¢)
• 2025년 12월물 : $4.17¼(-¾¢)
• 2026년 3월물 : $4.34½(-1¼¢)
• 신규 작황 현물 : $3.75¾(-1¢)
5. 전문가 해석 및 시장 전망
뉴욕의 한 선물 브로커는 “관세 인하와 수입 확대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에탄올 수요 둔화와 재고 증가가 상쇄 효과를 내면서 매수 관망세가 짙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미 서부의 고온·건조 날씨가 재차 부각될 경우 옥수수 가격이 단기 반등할 여지는 있으나, 심리적 지지선인 $4.00 선이 강력한 저항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시카고 선물 트레이더는 “일본의 $80억 수입 확대는 장기 수급 균형에 긍정적”이라며 “다만 미국·중국 간 무역 긴장, 브라질·아르헨티나 작황 개선 등 글로벌 변수가 많아 단기적으로는 횡보 장세가 전망된다”고 말했다.
6. 작가 및 정보 출처
본 기사는 Austin Schroeder가 작성한 원문(Barchart)을 공식 번역·가공한 것이다. 기사 작성 시점에 저자는 해당 종목에 직·간접 포지션이 없었다. 모든 정보는 교육·참고용이며, 투자 권유 또는 자문이 아니다.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herein are the views and opinions of the author and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Nasdaq, Inc.”
투자 판단은 독자 본인의 책임이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와 상담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