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T뉴스) ― 26일(현지시간) 인도 주식시장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미국과의 무역협상 불확실성, 기업들의 이익 성장 둔화 신호, 그리고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순매도 압력이 시장 전반을 짓눌렀다.
2025년 7월 25일, 나스닥닷컴·RTT뉴스 보도에 따르면 현재 양국 간 협상은 핵심 농·축산물 관세 인하 문제에서 교착 상태에 빠져 있으며, 그 결과 2025년 8월 1일까지 타결 목표로 제시됐던 미·인도 무역협정이 기한 내 체결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전했다.
인도 정부는 자국 내 섬유·기계·가죽·보석류 등 노동집약적 품목에 대한 미국의 관세 인하를 요구하고 있으나, 미국 측은 농산물·유제품 관세 철폐를 우선 협상 조건으로 제시하며 팽팽히 맞서는 형국이다.
이에 대해 피유시 고얄 인도 통상장관은 “
국익이 최우선이며, 인도는 기한에 쫓겨 협정을 체결하지 않는다
”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협상이 완전히 마무리되고 인도 경제 전반의 이익이 담보될 때에만 서명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한편 투자자들은 최근 체결된 인도·영국 자유무역협정(FTA)이 자국 제조업체와 글로벌 브랜드 모두에 기회가 될 수 있을지 여부도 주의 깊게 따지고 있다.
주가 지표별 흐름
이날 BSE 센섹스 지수는 721.08포인트(−0.88%) 급락한 81,463.09에 마감하며 전장에 이어 이틀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범시장 지수인 NSE 니프티도 225.10포인트(−0.90%) 밀린 24,837로 내려앉았다. 중형주(BSE Mid-Cap)와 소형주(BSE Small-Cap) 지수 역시 각각 1.5%, 1.9%씩 떨어졌다. 이날 뭄바이증권거래소(BSE)에서는 2,880개 종목이 하락한 반면 1,133개 종목이 상승, 141개 종목이 보합으로 마감해 시장 전반의 약세 심리가 두드러졌다.
종목별로는 Bajaj Finance가 2분기(6월 분기) 실적 발표 후 JPMorgan의 투자의견 하향 소식이 겹치며 4.7% 급락했다. Tata Motors, Trent, Bajaj FinServ, Tech Mahindra, Infosys, Power Grid Corp 등 대형주도 2~3%대 낙폭을 보였다.
용어·배경 설명
S&P BSE 센섹스(Sensex)는 Bombay Stock Exchange Sensitive Index의 약자로, 뭄바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30개 대표 기업의 시가총액 가중 지수다. 인도 주식시장의 ‘코스피’ 격으로 비유된다.
NSE 니프티 50(Nifty 50)은 National Stock Exchange of India에 상장된 50개 우량주를 편입한 지수로, 시가총액과 유동주식 비중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미·인도 무역협정’은 양국 간 관세·투자장벽을 완화하는 자유무역협정(FTA)의 전 단계 무역협상이다. 이번 협상이 타결되면 양국 교역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농축산물과 노동집약적 공산품을 둘러싼 이해관계가 엇갈리며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자유무역협정(FTA)은 협정 당사국 간 상품·서비스 관세를 철폐하거나 인하해 무역을 촉진하는 협정이다. 하지만 민감 품목에 따른 국내 산업 보호 논란이 불가피해 협상 과정에서 정치·경제적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전문가 시각과 향후 전망
현지 브로커리지 하우스들은 이번 조정이 무역협상 지연과 외국인 자금 유출이 맞물린 결과로 분석한다. FII(외국인 기관투자자)는 7월 들어 인도 주식시장에서 약 7억 달러가량을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RTT뉴스 제공 추정치
시장 참가자들은 오는 8월 초 발표될 미 연준의 FOMC 회의 결과와 인도 중앙은행(RBI)의 통화정책 회의를 주요 변수로 지목한다. 추가 금리 인하 여부, 그리고 루피 환율 흐름이 외국인 자금 흐름을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기술적 관점에서는 센섹스가 80,000선, 니프티가 24,500선이 각각 1차 지지선으로 거론된다. 해당 레벨이 붕괴될 경우 차익실현 매물이 대거 출회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다만 일부 애널리스트는 “인프라·재생에너지·IT 서비스 등 구조적 성장 섹터에는 장기적 수급이 지속될 것”이라며 과도한 비관론을 경계했다.
기자의 한마디
무역협상은 정치·외교적 변수와 맞물려 돌발 변수가 많다. 특히 농업·유제품처럼 민감도가 높은 분야는 양국 여론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어 협상이 길어지는 경우가 잦다. 현재로서는 양측 모두 명분을 내세우며 ‘서두르지 않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투자자라면 단기 이벤트 대응보다는 펀더멘털 개선이 확실한 업종과 기업에 무게를 두고 변동성을 활용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대형 기술주, 친환경 인프라, 내수 소비재는 여전히 중장기 성장 스토리가 유효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이 기사에 포함된 분석과 전망은 기자의 시각을 반영한 것으로, 투자 권유가 아니며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