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18일(현지시간) 장 초반 약보합세로 출발했다. S&P 500지수는 -0.05%,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08%, 나스닥100지수는 -0.17%씩 내렸다. 이는 9월물 E-미니 S&P 선물과 나스닥 선물이 각각 -0.06%, -0.12% 추가 하락한 흐름을 반영한 결과다.
2025년 8월 1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투자자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미·EU 정상회담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유럽 지도자들이 워싱턴 D.C.를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날 예정이며, 회담 결과는 관세 정책·유가뿐 아니라 유럽 안보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소비자 지출에 미칠 초기 충격에 대한 우려도 증시를 짓누르고 있다. 이번 주에는 월마트·타깃·홈디포 등 미국 대표 소매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어 소비 심리와 기업 실적의 상관관계가 시험대에 오른다.
이번 주 증시 핵심 변수
시장 참가자들은 새로운 관세 발표와 우크라이나 평화협상의 진전을 최우선으로 주시한다. 18일에는 8월 전미주택건설협회(NAHB) 주택시장지수가 예상치 +1p 상승한 34로 발표될 전망이다. 19일에는 7월 주택착공(-1.6% 전망)과 건축허가(-0.4% 전망) 지표가, 20일에는 7월 FOMC 의사록이 공개된다. 21일에는 신규실업수당청구 건수가 22만5천 건,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가 6.7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23일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경제전망을 연설한다.
“철강뿐 아니라 반도체에도 곧 100%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 트럼프 대통령, 8월 15일 발언 중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향후 1~2주 내 반도체·철강에 대한 고율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반도체에 최대 200%~300%의 관세를 시사했지만, 생산라인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기업에는 면제를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중국과의 관세 휴전(90일 연장)·인도산 수입품 관세 25%→50% 인상·의약품 관세 신설 등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미국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로 급등할 것으로 추산했다.
통화정책 전망
연방기금선물 가격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84%로 반영하고 있다(지난주 93% → 하락). 10월 회의에서 추가 인하가 단행될 확률은 55%로 집계됐다.
채권시장에서는 안전자산 수요가 늘며 10년물 미 국채금리가 4.312%로 -0.4bp 하락했다. 독일·영국 10년물 국채금리도 각각 -2.5bp, -0.3bp 내려가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기업 실적 및 개별 종목 흐름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500 기업의 2분기 EPS는 전년 대비 +9.1% 늘어 4년 만에 최대 폭 성장을 기록했다(시즌 전 전망 +2.8%). 현재까지 92% 기업이 실적을 발표했으며, 그중 82%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해외 증시는 상승·하락이 엇갈렸다. 유로스톡스50은 -0.49% 밀렸으나,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래 최고치로 +0.85% 마감했다. 일본 니케이225지수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0.77% 올랐다.
섹터별 특징주로는 천연가스 공급 과잉 우려로 EQT(-5%↑), 컴스톡 리소시스(-5%), 안테로 리소시스(-4%) 등이 급락했다. 암호화폐 관련주도 비트코인 가격이 1주 최저치로 밀리며 코인베이스·마이크로스트래티지·마라 홀딩스·라이엇 플랫폼스가 1% 넘게 하락했다.
반면 인수합병(M&A) 기대가 부각된 데이포스 주가는 +25% 폭등했다. 듀오링고(+7%), EPAM 시스템즈(+3%) 역시 증권사 신규·상향 리포트에 힘입어 강세를 보였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2분기 매수가 확인된 유나이티드헬스(UNH)는 지난 금요일 +11% 급등세를 이어가며 다우지수 상승 종목 상위를 차지했고, UBS가 매수 의견을 제시한 CVS헬스 역시 +2% 상승했다.
이날 장 마감 후에는 팔로알토 네트웍스(PANW)·XP Inc.가 실적을 발표한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E-미니 선물은 시카고상품거래소(CME)가 운영하는 전자거래 전용 소액 지수선물로, 정규 지수선물 대비 계약 규모가 1/5~1/10 수준이라 개인·기관 모두 활용도가 높다.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다. 연 8회 개최되며, 금리·양적완화 등 정책 방향을 논의·의결한다.
NAHB 주택시장지수는 미국 주택건설업체들의 체감경기를 0~100으로 표현한 경기선행지표다. 50 이상이면 낙관, 미만이면 비관으로 해석한다.
※본 기사는 발표된 수치·발언 등 사실 관계만을 객관적으로 번역·정리하였으며, 투자 판단의 책임은 독자에게 있음을 유의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