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가 월급보다 빠르게 오르는 시대에 미국 가계는 물론 국내 소비자들까지 예외 없이 압박을 받고 있다. 고정비부터 식료품·에너지 요금까지 전방위로 인상되면서 비상금이나 여행 경비는커녕 당장 이번 달 카드 결제를 고민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2025년 8월 16일, 나스닥닷컴이 인용한 개인재무 전문매체 GOBankingRates 보도에 따르면, 재무 컨설턴트들은 “수입을 늘리거나 지출을 줄이거나 두 가지뿐”이라며 구체적 해법을 제시했다.
다음은 마이클 설리번(Take Charge America 개인재무 컨설턴트), 다미안 던(Your Money Line CFP), 제리 홉킨스(Skyla 연방신용조합 COO) 등 전문가들이 권고한 12가지 전략이다.
1. 예산 수립의 양대 원칙
설리번 컨설턴트는 “먼저 추가 근로·부업·초과근무로 수입 증대 가능성을 검토하라”고 조언한다. 추가 수입 여력이 없다면 모든 지출을 30일간 기록해 낭비 항목을 찾아야 한다. 그는 “
지출 삭감은 자신이나 가족에게 ‘싫은 소리’를 해야 하는 불편한 과정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훨씬 확실한 처방
”이라고 강조했다.
2. 월간 예산 → 주간 예산
다미안 던 CFP는 “예산 단위를 월에서 주로 바꾸면 GPS를 몇 마일마다 확인하는 효과”라며, 과소비를 조기 인지해 즉시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고 설명한다.
3. 연 1회 고정비 ‘쇼핑’
보험·통신·인터넷 요금을 매년 비교견적만 해도 몇 십 달러씩 절감된다. 던은 “라이프스타일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새고 있는 돈을 막는 것”이라고 했다.
4. 온라인 뱅킹 상시 모니터링
홉킨스 COO는 “계좌잔액과 지출 내역을 자주 보는 것만으로도 소비 패턴이 선명해진다”고 말한다. 이후 현실적 예산을 세우고 지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5. FSA(유연지출계좌) 적극 활용
FSA는 의료비·육아비를 세전(稅前) 급여로 적립해 사용하는 제도다. 설리번은 “세금 20~30%를 바로 절약하는 셈”이라며 고소득 직장인일수록 체감효과가 크다고 밝혔다.*FSA란?
근로자가 연간 한도를 정해 급여에서 공제, 의료·돌봄 비용을 영수증으로 환급받는 미국의 복지 계좌. 국내 ‘선택적 복리후생비’와 유사하다.
6. 원천징수(Withholding) 재점검
매년 1,000달러 이상 세금 환급을 받는다면 원천징수액을 줄여 월 실수령을 늘릴 수 있다. 설리번은 “무이자 정부 적금에 불과한 과다 환급은 현금흐름을 악화시킨다”고 경고한다.
7. 현금만 쓰는 ‘콘크리트’ 소비법
카드 대신 현금을 사용하면 ‘돈이 눈에 보이는’ 즉각적 제동이 걸린다. 홉킨스는 항목별 봉투 시스템을 추천하며 “남은 금액은 자동 저축되는 효과”라고 설명한다.
8. 빚의 발생 원인부터 분석
고금리 카드빚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설리번은 스노볼·애벌랜치 방식 등 체계적 상환 전략을 언급하며 “과거 소비 패턴을 반성하지 않으면 되풀이된다”고 지적했다.
9. 앱·자동화 도구 적극 도입
지출 분석, 정기결제 자동취소, 잔돈 저축 기능 등 핀테크 앱이 급성장하고 있다. 홉킨스는 “테크를 이용하면 의지력 소모 없이 돈을 아낄 수 있다”고 말했다.
10. 부채 리파이낸싱·통합
신용도가 양호하면 0% 프로모션이 있는 밸런스 트랜스퍼 카드나 저금리 개인대출로 교체해 이자를 확 줄일 수 있다. 학자금·자동차 대출도 재융자를 검토하면 월 납입액이 가볍다.
11. 문제 해결형 사고방식
홉킨스는 “수동적 불만 대신 주도적 문제 해결로 전환해야만 급여를 늘리는 ‘체감 효과’가 생긴다”고 말했다. 던 역시 “
작은 승리가 모이면 자신감이 생기고, 그 자신감이 다시 행동을 촉진한다
”고 부연했다.
12. 지속 가능한 ‘검소함’ 습관화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은 ‘이미 불황이 온 듯 검소하게 사는’ 생활방식을 권한다. 과도한 절약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소비·저축 루틴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용어·개념 추가 설명
스노볼 방식은 가장 작은 부채부터 상환해 성취감을 극대화하는 전략이며, 애벌랜치 방식은 금리가 가장 높은 부채부터 갚아 총이자 비용을 최소화한다.
밸런스 트랜스퍼 카드는 기존 카드잔액을 옮겨 일정 기간(보통 6~18개월) 이자를 0%로 적용하는 상품이다. 단, 프로모션 종료 후 표준금리가 급등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처럼 ‘수입 증대’와 ‘지출 절감’을 병행하면 급여의 실질 구매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조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