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가 물가 압력 완화에 힘입어 혼조세를 보이며 마감했다. 10일(현지시간)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30% 오른 5,320.44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나스닥 100 지수도 0.04% 상승하며 4주 만의 최고치에 안착했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0.48% 떨어져 대형주 전반의 약세를 드러냈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2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02% 각각 상승했다.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6bp 급락한 4.03%로 5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하며 주가 상승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했다.
2025년 9월 1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8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예상보다 크게 둔화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이에 따라 채권 금리가 급락했고,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투자 플랫폼 Barchart는 “Midday Barchart Brief 뉴스레터가 20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확보하며 한낮 시황 필독 자료로 자리 잡았다”고 자사 홍보 문구를 덧붙였다.
■ 종목별 주요 흐름
AI 인프라 수요가 폭발하며 오라클(Oracle) 주가가 35% 급등,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회사 측은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이 2026 회계연도 이후 4년간 320억 달러, 730억 달러, 1,140억 달러, 1,14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공격적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오라클 효과로 코어위브 17%, 브로드컴 9%, 아리스타 네트웍스 6%, 엔비디아 3% 등 AI 관련 반도체·서버업체들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또한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확대 기대감에 버티브 홀딩스 9%, 비스트라 8% 등 전력주도 동반 상승했다.
반면, 애플은 신형 아이폰·애플워치·에어팟 공개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이 확산되며 3% 이상 하락, 다우지수 하방 압력의 주범이 됐다. 세일즈포스도 3% 넘게 밀리며 소프트웨어 섹터 전반을 끌어내렸다.
“전통적 소프트웨어 수요는 여전히 부진하다.” — 오라클 실적 발표 코멘트
급등·급락 기타 종목으로는 FDA 심사 절차 단축 소식에 트라베르 테라퓨틱스 26% 급등,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지분 매입설에 빌 홀딩스 4% 상승이 있었다. 반면 시놉시스는 연간 EPS 전망 하향 여파로 35% 폭락해 S&P500과 나스닥100 내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트레이드 데스크(-11%), 체위(-16%) 등도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 거시경제·채권시장 동향
PPI(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상승, 전년 대비 2.6%로 둔화돼 예상치(3.3%)를 하회했다.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도 전년 대비 2.8%로 내려앉았다. PPI는 생산 단계의 물가를 측정해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미 모기지은행협회(MBA)에 따르면 9월 5일 주간 모기지 신청은 9.2% 증가했다. 평균 30년 고정금리는 6.49%로 11개월 만의 최저치다. 이는 주택시장 회복 가능성을 시사한다.
시장 참가자들은 주목되는 9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최소 25bp(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100% 확신하고 있으며, 50bp 인하 가능성도 10% 반영하고 있다. 선물시장에서는 연말까지 총 73bp 인하가 가격에 반영돼 있다.
유럽 시장에서는 독일 10년물 국채금리가 2.652%로 1개월 최저치, 영국 10년물은 4.633%로 소폭 상승했다. 이날 유럽중앙은행(ECB)은 정책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며, 스왑시장은 금리 동결을 100% 전망하고 있다.
FOMC·ECB·PPI·CPI·스왑·비드-투-커버 비율 등 전문 용어 설명
FOMC는 미국 연준 산하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 ECB는 유로존의 중앙은행이다. 스왑시장 금리는 시장이 예상하는 미래 기준금리를 반영하며, 비드-투-커버는 국채 입찰에서 응찰 규모를 발행 규모로 나눈 값으로 수요 강도를 나타낸다.
■ 글로벌 변수
폴란드 영공을 침범한 러시아 무인기 격추 소식은 지정학적 긴장을 고조시켜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중국 8월 CPI는 -0.4%(전년비)로 6개월 만의 최대 하락 폭, PPI는 -2.9%로 35개월 연속 감소해 디플레이션 우려가 재점화됐다.
해외 증시에서는 유로 Stoxx 50이 0.14% 하락하며 1.5주 최고치에서 후퇴했고, 상하이종합지수는 0.13% 상승, 일본 니케이225는 0.87% 오르며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 채권 발행·정책 불확실성
미 재무부가 이번 주 10년·30년물 등 총 1,19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하는 가운데, 390억 달러 규모 10년물 입찰은 비드-투-커버 2.65로 최근 10회 평균 2.56을 상회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인사 교체 시도 및 행정부 인사의 이중직 논란은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를 자극하고 있다.
■ 기업 실적 이벤트
11일 예정된 실적 발표사는 어도비, 크로거, RH, 러브색 등이다. 투자자들은 AI·클라우드·소비재 실적을 통해 경기 방향성을 가늠할 전망.
■ 필자·면책 조항
본 기사를 작성한 리치 애스플런드는 언급한 종목에 대해 직접적·간접적 보유 지분이 없다고 밝혔다. 모든 정보는 참고용이며 투자 판단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
기사 말미에는 워런 버핏의 협상 관련 조언, AI 관련 숨은 강세주, 오픈AI 수혜주 브로드컴 등 추가 기사 링크가 제공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