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압력 완화에 연준 금리 인하 기대 강화…S&P500 사상 최고, 다우는 하락

뉴욕 증시가 10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0.30%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나스닥100은 4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48% 하락했다. 같은 날 오후 6시 기준, 9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2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02% 각각 올랐다.

2025년 9월 1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5개월 만에 최저 수준인 4.03%(-6bp)까지 떨어지면서 금리 민감 주식이 강세를 보였다. 이는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의 예상 외 둔화에 따른 결과로,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더욱 확신하게 됐다.

장중에는 S&P 500 와 같은 주요 지수 그래프가 연이어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오라클(Oracle) 주가는 무려 35% 급등하며 AI 인프라 관련 종목 전반을 끌어올렸다. 오라클은 클라우드 인프라 부문의 공격적인 성장 전망을 제시하며 2026 회계연도 이후 4년간 매출이 각각 320억 달러, 730억 달러, 1,140억 달러, 1,1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주목

반면 다우 지수의 약세는 애플과 세일즈포스의 부진에서 비롯됐다. 애플은 새 아이폰·애플워치·에어팟 공개 이후 시장 기대를 충족하지 못했다는 평가 속에 3% 이상 하락했다. 세일즈포스 역시 오라클 실적이 전통 소프트웨어 수요 약화를 확인시켜주었다는 분석에 -3%대 낙폭을 기록했다.

유럽발 지정학 리스크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폴란드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습 과정에서 자국 영공을 침범한 드론을 격추하며 이를 “침략 행위”라고 규정, 긴장이 고조됐다.

또한 중국 경제 동향도 불안감을 키웠다. 8월 중국 CPI는 -0.4%(전년 동월 대비)로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으며, PPI는 -2.9%로 3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러한 디플레이션 신호는 중국 및 글로벌 성장 전망에 부정적이다.


미국 주택시장 지표에서는 희소식이 있었다. 9월 5일 주간 MBA 주택융자신청 건수는 전주 대비 9.2% 증가했다. 평균 30년 고정금리는 11개월 만에 최저치인 6.49%(-15bp)로 내려오며 구매(6.6%↑)와 재융자(12.2%↑) 모두 증가했다.

주목

물가 지표에서는 8월 PPI(최종수요 기준)가 전년 동월 대비 2.6% 올라 시장 예상치(3.3%)를 크게 밑돌았고, 식료·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는 2.8%로 예상치(3.5%)보다 낮았다.

시장 관심은 11일 발표될 8월 CPI로 이동하고 있다. 월가 전망치는 헤드라인 CPI 2.9%(7월 2.7%), 근원 CPI 3.1%(7월과 동일)다. 같은 날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000건 감소한 23만5,000건이 예상된다. 12일에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가 58.0으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금리 선물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00% 반영하고 있으며, 50bp 인하 확률도 10%로 가격에 반영됐다.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은 78%로, 연말까지 총 73bp 인하가 예상된다.


해외 증시에서는 유로 Stoxx50 지수가 1.5주 고점에서 -0.14% 밀려났고, 상하이종합지수는 0.13% 상승, 일본 닛케이225는 0.87% 상승 마감했다.

채권시장을 보면 12월물 10년 T-노트 선물 가격은 7.5틱 오르며 금리가 4.032%(-5.6bp)로 하락했다. 390억 달러 규모의 10년물 국채 입찰에 대한 bid-to-cover 비율이 2.65(최근 10차 평균 2.56 대비 높음)를 기록, 강한 수요를 입증했다.

※ bid-to-cover 비율은 ‘응찰 규모 ÷ 발행 규모’로, 숫자가 높을수록 기관투자자의 수요가 강하다는 의미다.

다만 S&P500의 사상 최고 행진과 주간 1,190억 달러에 달하는 국채·국채권 공급 부담은 국채 가격 상승폭을 제한했다. 또한 연준 독립성을 둘러싼 논란—트럼프 전 대통령의 리사 쿡(Fed 이사) 해임 시도 및 스티븐 미란의 백악관 경제자문직 겸직 의사—도 장기금리 상승 요인으로 지목됐다.

유럽채권 수익률은 혼조세였다. 10년 독일 국채금리는 1개월 만에 최저인 2.631%를 찍은 뒤 2.652%(-0.8bp)로 마감했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4.633%(+1.0bp)로 올랐다. 스와프 시장은 11일 ECB 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전제로 하고 있다.


주요 종목 흐름

AI 인프라·반도체 : 오라클 급등 여파로 CoreWeave 17%↑, 브로드컴 9%↑, 아리스타 네트웍스 6%↑, 엔비디아 3%↑ 등 관련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와 AMD도 3% 이상 올랐다.

전력·유틸리티 : AI 전력 수요 증가 기대에 버티브 9%↑, 비스트라 8%↑, 콘스텔레이션 에너지·GE 버노바 6%↑, 테일런 에너지 3%↑.

바이오·제약 : 트라베어 테라퓨틱스는 FDA가 자문위원회 심사 생략을 통보하자 26% 급등했다.

사모펀드 개입 : 빌 홀딩스는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대규모 지분을 매입했다는 Financial Times 보도 후 4% 상승.

게임·소매 : 게임스톱은 2분기 하드웨어·액세서리 매출(5억9,210만 달러)이 예상(4억3,480만 달러)을 상회하며 3%대 올랐다.

배당 확대 : 존슨콘트롤스는 분기 배당을 40센트로 인상(예상 37센트)하며 1%대 상승.

실적 부진·투자의견 하향 : 시놉시스 -35%(연간 EPS 가이던스 12.76~12.80달러→컨센서스 15.11달러 미달), 츄이 -16%(“기대만큼은 아니었다”는 평가), 트레이드 데스크 -11%(모건스탠리 ‘비중축소’), 세일즈포스 -3%(전통 소프트웨어 수요 약화 우려), 애플 -3%(신제품 발표 실망), HP -2%(에버코어 ISI ‘중립’ 하향).


향후 실적 발표 일정(9월 11일) : 어도비, 프리퀀시 일렉트로닉스, IBEX 홀딩스, 칼비스타, 케스트라 메디컬, 크로거, 러브색, RH 등이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Nasdaq

본 보도자료 작성 시점(9월 10일) 기준, 원문 저자인 리치 애스플런드는 기사에서 언급된 종목에 직·간접적 보유지분이 없다고 밝혔다. 이 글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됐으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자세한 사항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