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압력 완화에 뉴욕증시 혼조…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고조

뉴욕증시가 10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장중·종가 기준 모두 사상 최고치를 다시 쓰며 0.30% 상승했고, 나스닥100 지수도 4주 만의 고점을 기록하며 0.04% 올랐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8% 내렸다.

2025년 9월 1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8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둔화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힘이 실리자 위험 자산을 재평가했다. 이에 따라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는 5개월 만에 최저치인 4.03%로 6bp 하락했고, 같은 만기 국채선물(12월물)은 7.5틱 상승했다.

지수별 세부 흐름을 보면 9월물 E-미니 S&P 500 선물은 0.28% 올랐고, E-미니 나스닥 선물도 0.02% 상승했다. 주: E-미니는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소형 선물계약으로, 레버리지 거래 수단으로 활용된다.

주목

이날 장을 지탱한 최대 동력은 오라클(Oracle)이었다. 오라클 주가는 35% 급등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AI(인공지능) 인프라 관련 종목 전반에 불을 지폈다. 회사는 “2026 회계연도 이후 4개 연도 동안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이 각각 320억 달러, 730억 달러, 1,140억 달러, 1,14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공격적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반면 다우지수는 애플(Apple)세일즈포스(Salesforce) 약세가 부담으로 작용했다. 애플은 신형 아이폰·애플워치·에어팟 발표가 시장 기대에 못 미쳤다는 평가 속에 3% 넘게 하락했고, 오라클 실적이 ‘전통적 소프트웨어 수요 부진’을 드러내자 세일즈포스도 3%대 약세를 나타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습 과정에서 폴란드 영공을 침범한 드론을 폴란드군이 격추한 사건”

도 투자심리를 눌렀다. 유럽 내 지정학적 리스크가 재부각되면서 안전자산 선호가 부분적으로 확대됐다.

글로벌 경기 우려도 존재한다. 중국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0.4% 하락해 6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고, 생산자물가지수(PPI)는 2.9% 하락하며 3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중국발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세계 성장 둔화 우려로 직결된다.

주목

미국 주택시장 지표는 다소 긍정적이었다. 모기지은행협회(MBA)에 따르면 9월 5일로 끝난 주간 모기지 신청은 전주 대비 9.2% 증가했으며, 30년 만기 고정금리 평균은 6.49%로 11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왔다.

근원 물가 지표도 완화됐다. 8월 PPI는 전년 대비 2.6% 상승해 전월 3.1%에서 둔화됐고, 식품·에너지 제외 지수 역시 2.8% 상승으로 예상치(3.5%)를 하회했다. 시장은 12일 발표될 8월 CPI에서 전년 대비 2.9% 상승(근원 3.1%)을 전망하고 있다.

연준의 통화정책 전망과 관련해 단기 금리선물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00% 반영하고 있으며, 50bp 인하 가능성도 10%로 가격에 반영됐다. 10월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확률은 78%로 집계됐다. 연말까지 연방기금금리가 현재 4.38%에서 3.65%로 총 73bp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가 시장 가격에 내재돼 있다.

해외 주식시장도 혼조였다. 유로 Stoxx 50 지수는 1.5주 만의 고점에서 0.14% 밀렸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13% 올랐다. 일본 닛케이225 지수는 0.87% 상승 마감했다.

채권시장 동향

10년 만기 독일 국채금리는 1개월 만의 최저치인 2.631%까지 밀린 뒤 2.652%로 마감(-0.8bp).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633%로 1bp 올랐다. 미 재무부는 이번 주 1,19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입찰 중이며, 10년물 390억 달러 입찰에서는 응찰률(bid-to-cover) 2.65로 최근 10회 평균 2.56을 상회해 수요가 견조했다.

한편, 연준의 독립성을 둘러싼 논란도 있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셸 쿡 연준 이사를 해임하려 시도했고, 스티븐 미란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직을 유지한 채 연준 이사직을 겸임하려 한다는 보도가 나오며 정치적 압박이 거론됐다.

주요 종목 움직임

AI 인프라 테마가 증시를 주도했다. 오라클 외에도 코어위브(+17%), 브로드컴(+9%), 아리스타 네트웍스(+6%), 엔비디아(+3%) 등이 급등했다. AI 전력 수요 증가 기대에 전력주도 동반 강세를 보였다. 버티브 홀딩스(+9%), 비스트라(+8%), 컨스텔레이션 에너지·GE 버노바(각 +6%), 탈렌 에너지(+3%) 등이 대표적이다.

의료·바이오 분야에서는 트라베레 테라퓨틱스가 美 식품의약국(FDA)에서 자문위원회 심사 없이 신장 질환 치료제의 보충신청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는 소식에 26% 급등했다.

반면, 약세 종목도 눈에 띄었다. 시놉시스는 연간 조정 EPS 전망을 12.76~12.80달러로 제시해 컨센서스(15.11달러)를 크게 밑돌며 35% 폭락했고, 츄이(-16%), 트레이드 데스크(-11%), HP(-2%) 등도 부진했다.

투자 용어 간단 해설

  • PPI(Producer Price Index): 생산단계의 물가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소비자물가(CPI)의 선행지표 성격이 있다.
  • E-미니 선물: S&P 500·나스닥 등 주요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소형 선물계약. 증거금이 낮아 기관·개인이 모두 활용한다.
  • Bid-to-Cover: 국채 입찰 시 응찰금액을 발행금액으로 나눈 비율로, 2.0 이상이면 양호한 수요로 평가된다.

기자 관전평

물가·금리·AI라는 세 축이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이번 주 소비자물가 지표가 예상대로 둔화세를 이어간다면, 연준의 선제적 완화 기조에 대한 확신이 더욱 굳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 경우 10년물 금리가 추가로 4% 아래를 테스트할 수 있으며, 고평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대형 기술주 랠리는 심화될 수 있다. 다만 지정학적 변수와 중국 경기둔화는 잠재적 리스크로, 투자자들은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분산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