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합의 훈풍에 S&P500·나스닥100 사상 최고치 경신

미국 주요 주가지수, 무역 협상 기대감 속 사상 최고치 기록

미국 증시는 28일(현지시간) S&P500 지수나스닥100 지수가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마감했다. 이날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02% 상승했고, 나스닥100 지수는 +0.36% 올라 신기록을 다시 썼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4% 하락했다.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이 전한 바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주말 동안 타결된 미·EU 간 무역 합의미·중 관세 휴전 연장 가능성에 주목했다. 양측의 긍정적 신호가 위험자산 선호도를 높인 결과라는 분석이다.

S&P500 차트

무역 이슈: 미·EU 합의 및 미·중 관세 휴전 연장

유럽연합(EU)과 미국은 27일 새로운 관세 체계를 합의했다. 합의에 따르면 EU는 대(對)미 수출품 대부분에 대해 15%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게 된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앞서 경고했던 최대 50% 관세보다는 완화된 조건이다. 또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미 재무장관 재닛 베센트와 중국 국무원 부총리 허리펑이 8월 12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만나 90일 관세 휴전을 연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양측이 고율 관세를 피하고 대화를 이어가기로 한 점이 투자심리를 되살렸다”는 월가 트레이더들의 평가가 이어졌다.


채권시장과 경제지표: 수급 불균형 속 금리 상승

그러나 증시는 장중 한때 상승 폭을 반납했다. 미 재무부의 5년물 국채(700억 달러) 입찰이 부진해 입찰 경쟁률(Bid-to-Cover) 2.31을 기록, 최근 10회 평균(2.39)을 밑돌자 금리가 급등했고 주식 매도세로 이어진 것이다. 동시에 재무부가 3분기 국채 발행 예상 규모를 1조100억 달러로 상향 조정한 점도 금리 상승 압력을 키웠다.

같은 날 발표된 7월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제조업 전망지수0.9로, 전월 대비 13.6포인트 급등하며 6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장 전망(-9.0)을 크게 웃도는 호조가 투자심리를 지지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 JOLTS(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 미 노동부가 발표하는 구인·이직 보고서로, 노동 수급 상황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 PCE(Core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Price Index):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로,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개인소비지출 물가 상승률을 뜻한다.


이번 주 예정된 주요 이벤트

투자자들은 8월 1일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관세 결정 시한과 30~31일 열리는 2일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주시하고 있다. 연준은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방기금선물시장은 9월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63%로 반영했다.

경제지표 일정으로는 30일 6월 JOLTS 구인건수(755만 명 예상)7월 소비자신뢰지수(96.0 예상)가 발표된다. 31일에는 7월 ADP 고용(+8만 명 예상), 2분기 GDP(+2.4% 연율), 핵심 PCE(+2.3%)가 공개된다. 8월 1일에는 신규실업수당 청구(22만3천 건), 고용비용지수(0.8%), 6월 개인소득·지출 등 물가·소비 지표가 대거 대기 중이다. 8월 2일 발표되는 7월 비농업부문 고용(+10만9천 명)과 실업률(4.2%)도 관전 포인트다.

나스닥 선물


기업 실적: ‘매그니피센트 세븐’ 주목

이번 주는 S&P500 편입 종목의 38%가 실적을 발표하는 ‘슈퍼 위크’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메타플랫폼스(수요일), 애플·아마존(목요일) 등 ‘매그니피센트 세븐’ 기업 성적표가 시장의 방향성을 가를 전망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S&P500 기업의 3분의 1이 실적을 공개했으며, 이 가운데 82%가 컨센서스를 상회해 2분기 이익 증가율은 +4.5% 전년 대비로 예상치를 웃돌고 있다.

섹터·종목 동향

반도체주는 미·EU 합의 수혜 종목으로 꼽혔다. AMD가 나스닥100 내 상승률 1위(+4%)를 기록했으며, ON·KLAC·ASML·MRVL·TXN·AMAT·NXPI가 2~3%대 올랐다. 엔비디아·램리서치·글로벌파운드리스·마이크로칩·퀄컴도 1% 이상 강세였다.

에너지주 역시 WTI 유가가 1주 만에 2% 이상 급등하면서 동반 상승했다. 다이아몬드백에너지(+4%), 데번에너지(+3%), APA·코노코필립스·필립스66(+2% 이상) 등이 대표적이다.

LNG 관련주로는 벤처글로벌(+4%), 셰니어에너지·EOG리소시스(+1% 이상)가 올랐다. 이는 EU가 미국산 에너지 구매를 확대하기로 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금·구리 가격 하락 여파로 뉴몬트(-3%)·프리포트맥모란(-2%) 등 광업주는 약세를 면치 못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AI 서버 수요 기대감으로 S&P500 상승률 1위(+10%)를 차지했다.

나이키(+3%)는 JP모간 체이스가 목표주가 93달러로 상향하며 ‘비중확대’로 업그레이드한 것이 호재였다. 웨더포드(+3%)는 파이퍼샌들러의 투자의견 상향(오버웨이트)으로 상승했다.

반면 레브티(-8%)는 연간 EPS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해 급락했고, 센틴(-5%), 코인베이스(-3%), 길리어드(-2%), 악센추어(-2%), 시스코(-1%) 등은 목표가 하향 또는 정책 리스크로 조정을 받았다.


채권·외환: 금리·통화정책 변수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4.404%로 1.6bp 상승했다. 안전자산 선호가 약화된 데다 대규모 국채 발행 계획이 금리에 상방 압력을 가했다. 유럽 채권시장에서는 독일 10년물 금리가 2.689%(-2.9bp)로 하락한 반면, 영국 10년물은 4.647%(+1.2bp)로 상승했다.

유럽중앙은행(ECB) 집행위원인 카지미르 위원은 “경제가 급격히 둔화하지 않는 이상 9월 금리 인하는 적절치 않다”고 선을 그었다. 스왑시장은 9월 ECB의 25bp 인하 확률을 17%로 반영하고 있다.


전망 및 전문가 시각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15~50% 일괄 관세’ 발효 시한(8월 1일)이 임박함에 따라, 이번 주 후반까지도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다만 미·EU, 미·중 협상이 잇달아 진전을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우위를 유지할 가능성도 높다.

한 애널리스트는 “이번 주 발표될 고용·물가 지표와 빅테크 실적 모두 긍정적이면 S&P500이 5,800선까지 단기 랠리를 이어갈 여지도 있다”면서도, “국채 수급 부담과 관세 변수는 여전히 상단을 제약할 수 있는 리스크”라고 평가했다.

QQQ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