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SPX)와 나스닥 100 지수($IUXX)이 29일(현지시각) 장중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S&P500 현물지수는 전장 대비 0.02% 상승 마감했고, 나스닥100은 0.36% 올랐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4% 하락했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02% 내렸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35% 올랐다.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주가 상승의 1차 배경은 미국-EU 간 무역 합의다. 전날 타결된 합의로 EU는 대부분의 대미 수출품에 대해 15% 관세를 부과받게 됐는데,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초 경고했던 최대 50% 관세보다 낮은 수준이다. 시장 참여자들은 “최악은 피했다”는 안도감을 표시했다.
또 다른 호재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한 미-중 무역 휴전 연장설이다. 보도에 따르면 베셴트 미 재무장관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는 8월 12일 스톡홀름에서 만나 현재의 관세 휴전을 90일 추가 연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시장은 주식 랠리를 따라가지 못했다. 미 재무부가 실시한 700억 달러 규모 5년물 국채 입찰 수요가 부진해 10년물 국채금리는 1.6bp 오른 4.404%를 기록했다. 입찰의 응찰倍率(bid-to-cover ratio)는 2.31로 최근 10차 평균 2.39를 하회했다. 재무부가 3분기 차입 예상치를 애초 5,540억 달러에서 1조100억 달러로 대폭 상향 조정한 점도 금리 상승 요인으로 꼽혔다.
그러나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코어 PCE가 2분기 2.3%로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7월 댈러스 연은 제조업 전망지수(0.9)가 6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경기 연착륙 기대도 부각됐다.
이번 주 관전 포인트
시장 참가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8월 1일 고율 관세 발동 시한을 주시하고 있다. 그는 “모든 국가에 15~50%의 단일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30일부터 이틀간 회의를 열어 정책금리를 4.25~4.50%로 동결할 전망이다. FedWatch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은 3%에 불과하지만, 9월 회의에서는 63%로 높아진다.
경제지표 일정도 빼곡하다. 30일 JOLTS 구인건수(예상 755만 건),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예상 96)가 발표되며, 31일에는 ADP 고용(+8만 명), 2분기 GDP(+2.4%), 코어 PCE(+2.3%)가 공개된다. 8월 1일에는 개인소득·지출, 신규실업수당청구, 고용비용지수, 시카고 PMI가 줄줄이 대기 중이다. 2일에는 7월 비농업고용(+10만9천 명)과 실업률(4.2%), ISM 제조업지수(49.5)가 발표된다.
실적 시즌 ‘피크 위크’
이번 주는 S&P500 구성 종목의 38%가 실적을 공개한다. ‘매그니피센트 세븐’ 중 마이크로소프트·메타 플랫폼스가 30일, 애플·아마존이 31일 실적을 내놓는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3분의 1가량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2%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S&P500의 2분기 순익 증가율은 연초 전망치(+2.8%)를 웃도는 +4.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 주식시장은 혼조세였다. 유로스톡스50 지수는 2주 최고치에서 0.27% 밀렸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12% 상승, 일본 닛케이225는 1.10% 하락 마감했다.
금리·채권
9월물 10년 만기 T-노트 선물(ZN)은 7틱 내렸고,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9bp 하락한 2.689%,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1.2bp 오른 4.647%를 기록했다. 유럽중앙은행(ECB) 집행이사 카지미르 위원은 “9월 금리 인하는 경기 급격한 악화 증거가 없는 한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스왑시장은 ECB가 9월 11일 회의에서 25bp 인하할 확률을 17%로 반영하고 있다.
섹터·종목별 움직임
반도체주는 미-EU 무역 합의 호재로 일제히 상승했다. AMD는 4% 넘게 올랐고, ON·KLAC·ASML·MRVL·TXN·AMAT·NXPI는 2% 이상 상승 마감했다. 엔비디아·램리서치·글로벌파운드리즈 등도 1% 이상 올랐다.
에너지주는 WTI 유가가 2% 넘게 올라 1주 최고치를 찍으면서 강세를 보였다. 다이아몬드백 에너지(+4%), 데번 에너지(+3%), APA·코노코필립스·필립스66(+2%↑) 등이 두각을 나타냈다. LNG 관련주인 벤처글로벌(+4%), 셰니에르 에너지(+1%↑)도 EU의 미국산 에너지 대량 구매 약속에 힘입어 상승했다.
반면 금·구리 광산주는 금속 가격 급락으로 압박을 받았다. 뉴몬트는 3% 이상, 프리포트맥모란은 2% 이상 하락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10%)는 AI 서버 수요 기대감으로 S&P5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고, 나이키(+3%)는 JP모건이 ‘비중확대’로 상향조정하며 다우지수 내 상승폭 1위에 올랐다.
반면 센틴(-5%)은 캔터 피츠제럴드가 ‘중립’으로 강등했고, 코인베이스(-3%)는 모네스 증권사가 ‘매수→중립’으로 하향 조정하며 약세를 보였다. 길리어드 사이언스(-2%)는 미 보건복지부(HHS)가 예방 의료 서비스 권고 자문위 해체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으로 HIV 예방약 리스크가 부각됐다.
오늘의 실적 발표 일정(7월 29일)
아메리칸타워(AMT), 보잉(BA), 부킹홀딩스(BKNG), 시저스엔터테인먼트(CZR), 코닝(GLW), 일렉트로닉아츠(EA), 머크(MRK), 노퍽서던(NSC), 페이팔(PYPL), 프록터앤드갬블(PG), 로열캐리비안크루즈(RCL), 스타벅스(SBUX), UPS, 유나이티드헬스(UNH), 비자(V) 등 30여 개 기업이 실적을 내놓는다.
전문가 해설: 생소한 용어 정리
E-미니 선물은 CME가 운영하는 전자거래 전용 소액 지수선물로, 기관뿐 아니라 개인도 손쉽게 S&P500·나스닥 등 지수에 레버리지 투자를 할 수 있는 상품이다.
Bid-to-Cover Ratio는 국채 입찰 시 총 응찰 규모를 발행 규모로 나눈 값이다. 2 이상이면 수요가 견조하다는 의미이며, 2 미만이면 수요 부족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