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개장 동향] 23일(미국 동부시간) 미국 주식시장은 혼조세로 출발했다. S&P 500 지수는 0.25% 상승하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5% 오르며 2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나스닥 100 지수는 0.14% 하락했다. 동시에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26% 올랐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15% 밀렸다.
2025년 7월 23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긍정적인 무역 뉴스가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밤 일본과의 새로운 무역 합의를 전격 발표하며, 8월 1일부터 적용 예정이던 25% 관세를 15%로 인하하기로 했다. 또한 일본 정부가 미국에 5,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펀드를 조성하고, 보잉 항공기 100대 구매, 미국산 쌀 수입 75% 확대, 80억 달러 규모의 기타 농축산물 구매, 연간 170억 달러로 방위비 지출 확대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나스닥 100 지수는 자동차 부품용 반도체주의 약세로 압박을 받았다. 텍사스인스트루먼츠(Texas Instruments) 주가는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자동차 부문에서 진정한 광범위한 회복이 아직 나타나지 않는다”는 경영진 발언이 나오자 12% 급락했다. ON세미컨덕터는 7% 이상,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6% 이상 내렸고, NXP세미컨덕터·애널로그디바이스·글로벌파운드리스도 2% 넘게 하락했다.
주요 경제 지표
같은 날 발표된 6월 기존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2.7% 감소한 393만 채(연율 기준)로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400만 채, −0.7%)를 크게 밑돈 수치다. 주택 지표 부진은 주가엔 부담이지만, 완화적 통화정책 기대를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주택대출은행협회(MBA)에 따르면 7월 18일까지 한 주간 모기지 신청 건수는 0.8% 증가했다. 구입 신청지수는 3.4% 늘었으나 재융자 지수는 2.6% 감소했다. 30년 고정금리 평균 모기지 금리는 전주 대비 2bp 오른 6.84%였다. 이처럼 bp(베이시스포인트)는 1bp=0.01%를 의미한다.
관세 관련 추가 변수
일주일 전 트럼프 대통령은 150여 개 국가에 10~15% 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서한을 보내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미·EU·멕시코산 제품에는 30%, 캐나다 일부 품목에는 35% 관세를 8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발표해 시장 변동성이 커진 상태다.
이번 주 일정
장 마감 이후 알파벳(구글 모기업)과 테슬라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24일(목)에는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가 5천 건 증가한 22만6천 건으로 예상되며, 7월 S&P 미국 제조업 PMI는 52.7로 0.2p 하락할 전망이다. 25일(금) 발표될 6월 내구재(방위·항공 제외) 신규 주문은 0.2% 증가가 예상된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에서는 7월 29~30일 FOMC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 확률을 5%로, 9월 16~17일 회의에서는 58%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2분기 실적 시즌이 본격화하면서 S&P 500 기업 중 약 20%가 이번 주 성적표를 공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S&P 500의 2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연초 예상치(2.8%)를 웃도는 3.2%로 추정된다. 그러나 야데니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11개 업종 가운데 6개 업종만이 순이익 증가를 기록할 전망으로, 2023년 1분기 이후 최저 수준이다.
해외 증시
유럽 스톡스 50 지수는 0.88% 올랐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9.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뒤 0.01% 상승 마감했다. 일본 니케이225 지수는 3.51% 급등해 1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리·채권
9월물 미 국채 10년물 선물 가격은 8틱 하락했고, 수익률은 3bp 상승한 4.374%를 기록했다. 미·일 무역 합의로 안전자산 수요가 줄어든 데다, 미 재무부가 이날 20년 만기 국채 130억 달러를 발행해 공급 부담이 가중됐다. 다만 기존주택 판매 부진과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BEI)이 1주일 만에 최저치인 2.386%로 떨어진 점은 채권가를 지지했다.
유럽채권 수익률도 상승했다.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는 1.4bp 오른 2.604%,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4.2bp 상승한 4.611%다. 스와프시장은 24일(목) 예정된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2%로 보고 있다.
섹터·종목별 동향
AI(인공지능) 수요 급증으로 미국 최대 전력망 운영사 PJM 인터커넥션이 전력 공급 확보 비용이 사상 최대 161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 전망하자 전력주가 강세를 보였다. 테일런 에너지는 8%, 비스트라 6%, NRG 에너지 5%, 콘스텔레이션 에너지 4% 이상 상승했다.
반도체 외에도 실적 발표가 주가를 좌우했다. 램프 웨스턴은 4분기 매출 16억8,000만 달러로 컨센서스(15억9,000만 달러)를 상회하며 20% 급등해 S&P 5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GE 버노바는 매출 91억1,000만 달러로 예상치(88억 달러)를 웃돌아 14% 올랐다.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도 매출 호조와 연간 가이던스 상향으로 13% 상승했다.
반면 결제 서비스 업체 파이서브는 유기적 매출 성장률이 8%로 예상치(8.91%)를 밑돌아 17% 급락하며 S&P 500 하락률 1위를 기록했다. 오티스 월드와이드는 매출 부진과 연간 가이던스 하향으로 11% 하락했다. 유니티 소프트웨어는 BTIG가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도’로, 목표주가를 25달러로 제시하면서 3% 약세를 보였다.
이번 주 실적 공개 예정 기업
알파벳, 아테앤티, 보스턴 사이언티픽, 칩틀레 멕시칸 그릴, CME 그룹, 크라운 캐슬, CSX, 프리포트-맥모란, GE 버노바, 제너럴 다이내믹스, 하스브로, 힐튼, IBM, 램프 웨스턴, 라스베이거스 샌즈, NVR, 오라일리 오토모티브, 패키징 코프, 레이먼드 제임스 파이낸셜, 서비스나우, 테슬라, 티모바일US, 유나이티드 렌털스 등이다.
용어 설명
‘E-미니 선물’은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가지수 선물의 소형 계약을 뜻한다. 개인 투자자도 활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bp(베이시스포인트)’는 금리 변동 폭을 표시할 때 쓰이며 1bp는 0.01%p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BEI)’은 명목 국채와 물가연동 국채(TIPS)의 수익률 차이를 통해 시장이 기대하는 향후 물가상승률을 추정한 값이다.
※ 본 기사는 투자판단을 위한 자료가 아니며, 모든 수치는 원문에 제시된 정보를 그대로 번역·재구성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