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코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
카사블랑카 증시가 주간 거래를 마친 18일, 모로칸 올 셰어즈(Moroccan All Shares·MASI) 지수가 전장 대비 1.30%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이날 상승세는 은행, 음료, 운송 섹터가 주도했다.
2025년 7월 18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MASI 지수는 장중 내내 우호적인 투자 심리를 반영하면서 38개 종목이 상승했고 19개 종목이 하락, 6개 종목이 보합권에 머물렀다. 특히 제약사 Marocaine Ste de Therapeutique SA(종목 코드 SOT)는 5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하며 9.56% 급등해 장을 마쳤다.
같은 날 강세를 보인 종목은 Involys(+6.78%), Med Paper(+6.39%)로, 각각 163.90마드리브, 28.98마드리브에 거래를 마감했다. 반면 Salafin은 –6.28%로 577.30마드리브, Societe Equipement Domestique et Menager SA는 –5.45%로 1,110.00마드리브, Label Vie는 –3.61%로 4,780.00마드리브를 기록하며 하락 상위권에 올랐다.
글로벌 원자재·통화 시장 동향
국제 원유 가격도 완만한 오름세를 보였다.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8월물은 배럴당 67.77달러로 0.34%(0.23달러) 상승했고, 북해산 브렌트유 9월물은 69.71달러로 0.27%(0.19달러) 올랐다. 금 8월물 선물 역시 0.44%(14.70달러) 오른 3,360.00달러/트로이온스에 거래를 마쳤다.
외환 시장에서는 EUR/MAD 환율이 0.24% 오른 10.53마드리브, USD/MAD 환율은 0.43% 내린 9.03마드리브를 기록했다. 한편 미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미국 달러 인덱스(US Dollar Index) 선물은 97.98포인트로 0.47% 하락했다.
심층 해설 및 용어 설명
MASI(Moroccan All Shares Index)는 모로코 카사블랑카 증권거래소(CSE)에 상장된 전체 종목을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한 대표 지수다. 마치 한국의 KOSPI와 유사한 개념으로, 현지 경제·산업 전반의 건강성을 가늠하는 잣대로 활용된다.
또한 EUR/MAD, USD/MAD 등 통화쌍은 유로·모로코 디르함, 미국 달러·모로코 디르함 간 교환비율을 뜻한다. 모로코 디르함(MAD)은 현지 통화로, 해외 투자자가 모로코 증시에 접근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환위험 요인이다.
이번 장세에서 눈에 띄는 점은 제약·IT 중소형주의 강세가 두드러졌다는 사실이다. 주가가 5년 만에 최고치를 돌파한 Marocaine Ste de Therapeutique SA는 수급 호재와 함께 팬데믹 이후 헬스케어 수요 확대의 수혜를 받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전문가 시각
현지 애널리스트들은 은행·소비재·운송 업종이 올해 이익 증가세를 기록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부추겼다고 분석한다. 또한 유럽발 경기 회복과 더불어 관광업 회복 전망이 모로코 운송·서비스 업종에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했다.
한편 일부 전문가는 “전반적인 상승 랠리에도 Salafin, Societe Equipement Domestique et Menager SA 등 소비 관련주가 조정을 받은 점은 금리 방향성에 대한 불확실성과 맞물려 있다”는 평가를 내놨다. 금리 상승은 소비 금융 비용을 끌어올려 가계·기업의 차입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향후 관전 포인트
단기적으로는 유가 반등과 금값 상승세가 모로코 수입 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변수다. 모로코는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아 유가 상승 시 교역조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금 가격 상승은 외환보유고 다변화 전략의 일환으로 금 비중을 확대해 온 모로코 중앙은행에 긍정적인 시그널이 될 수 있다.
또한 USD/MAD 환율 하락세가 지속된다면 외국인 투자자에게는 디르함 강세가 실질 투자 수익률을 잠식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시 유입 자금이 단기적으로 변동성에 노출될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모로코 증시는 견조한 내수와 관광 산업 회복, 그리고 은행 대출 확대 기대 등을 바탕으로 중·장기 상승 여력을 확보하고 있다. 다만 최근 글로벌 원자재 가격과 미국 달러화 방향성 등 대외 변수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투자자는 매크로 지표 변화를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
본 기사는 원문에 포함된 데이터·통계·날짜·기관명을 그대로 옮기되, 국내 독자를 위해 용어 해설과 시장 분석을 추가한 번역문이다. 모든 수치는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 제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