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tariff)가 이번 주 발표되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의 핵심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모건스탠리 애널리스트들은 관세가 향후 수개월 동안 물가에 상승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2025년 8월 11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관세 적용 시점과 실제 선적·무역 우회(real trade diversion) 등 현실적 요인이 맞물리면서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상향되는 경향을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를 작성한 Seth Carpenter 애널리스트 팀은 “시간이 지나면서 시차(위치·시점 간 간극)가 줄어들지만, 그 간극이 인플레이션 지표에 지연 효과를 불러오는 원인을 설명한다”고 분석했다.
재고 관리 전략 역시 관세 비용이 기업에서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시점을 늦출 수 있다고 모건스탠리는 지적했다. 특히 자동차 업계가 신형·고가 모델 출시 때까지 가격 인상을 미루는 관행이 뚜렷하며, 이는 운송·교통 부문이 CPI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변동성이 크다는 점에서 물가에 민감하게 반영된다고 설명했다.
실효 관세율(effective tariff rate)은 실제 징수액과 수입액으로 계산하는데, 5월 8.7%, 6월 8.9%로 집계됐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표한 공식 관세율(대다수가 15% 이상)보다 낮은 수준이다.
“6월 CPI는 관세발(發) 인플레이션이 시작됐음을 분명히 보여줬다. 과거 사례를 보면 관세가 완전히 전가돼 물가에 반영되기까지 3~5개월이 걸린다.” — 모건스탠리 보고서
시장 전문가들은 12일(현지시간) 발표될 7월 CPI 헤드라인(전년 동월 대비)이 2.8%로 다소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전월 대비 상승률은 0.3%에서 0.2%로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식품·에너지처럼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한 근원 CPI(core CPI)는 전년·전월 기준 모두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6월 데이터에서 특정 관세 대상 품목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다는 신호가 관찰된 만큼, 세부 항목별 추이가 시장의 관심사다.
CPI와 함께 노동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이중 목표(물가 안정·고용 최대화)를 구성한다. 물가 상승률이 Fed 목표치 2%를 상회하면서 금리 인하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경계가 지속됐다.
그러나 이달 초 발표된 7월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했고, 5~6월 수치도 큰 폭 하향 조정돼 노동시장이 냉각되고 있다는 신호가 나왔다. 이는 향후 완화적 통화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다는 해석과 함께 연준의 고민을 깊게 한다.
모건스탠리는 “9월까지 추가적인 고용·물가 지표가 한 차례씩 더 발표된다”며 “관세가 두 지표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시장과 Fed가 주의 깊게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어 풀이 및 배경 설명
1CPI(Consumer Price Index)는 일반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서비스 가격 변동을 추적하는 대표적 물가지수다.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와 개념이 동일하다.
2관세(tariff)는 수입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보호무역 정책 수단이지만 미국 기업·소비자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3근원 CPI는 식품·에너지처럼 계절·국제 변수로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해 기저 물가 흐름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4실효 관세율은 명목 관세율과 달리 실제 징수액을 기준으로 계산해, 무역 우회나 예외 조치 등을 고려한 실질 부담을 나타낸다.
※ 모건스탠리 보고서는 2024년 8월 9일 자로 발간됐으며, 위 내용은 원문을 바탕으로 번역·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