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의 4.250% 예탁 우선주(비누적), 시리즈 O (티커: MS.PRO)가 목요일 장중 배당수익률 6%를 넘어섰다. 기준은 분기 배당을 연환산한 $1.0625이며, 이날 장중 최저가는 $17.21까지 내려갔다고 전했다. 우선주 비교 데이터베이스인 Preferred Stock Channel에 따르면, 같은 날 ‘금융(Financial)’ 카테고리 우선주의 평균 수익률은 7.17%였다.
2025년 11월 1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MS.PRO는 최근 종가 기준으로도 액면 청산우선가액 대비 28.20% 할인되어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동일 카테고리 평균 할인율 16.43%보다 큰 폭이다. 이 우선주는 비누적(non-cumulative) 구조이므로, 배당이 한 차례라도 누락되면 일반주(Common) 배당 재개 전에 과거 미지급분을 소급해 지급할 의무가 없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핵심 지표 요약: 배당수익률이 6%를 넘었다는 의미는, 시장가격 하락(장중 최저가 $17.21)과 고정배당(연환산 $1.0625)의 조합으로 실현된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우선주 가격이 하락하면 동일한 명목 배당금 기준의 실효 수익률은 상승한다. 나스닥닷컴 보도는 또한 ‘금융’ 섹터 우선주 평균 수익률(7.17%)과 비교해 MS.PRO의 수익률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음을 시사하나, 개별 종목의 구조(비누적), 신용 스프레드, 금리 레벨, 콜 옵션 여부 등의 차이가 평균치와의 괴리를 만든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할인율과 리스크 시사점: 최근 종가 기준 청산우선가액 대비 28.20% 할인은 동일 섹터 평균 16.43%보다 크다. 청산우선가액(liquidation preference)은 발행사가 파산·청산 시 우선주 투자자가 일반주에 앞서 배분받을 수 있는 기준 금액을 뜻한다. 가격이 이 기준 대비 큰 폭으로 할인되어 거래된다는 사실은, 한편으로는 상대적 수익률 매력을 제공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시장 참여자들이 반영한 금리·신용·구조적 리스크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유의사항: 이 우선주는 비누적(non-cumulative) 구조다. 따라서 배당이 한번 건너뛰어질 경우, 과거 미지급분을 추후 소급하여 지급할 의무가 없다. 이는 누적(cumulative) 우선주와의 본질적 차이로, 보수적 배당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라면 구조적 리스크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용어 설명과 구조 이해: 예탁 우선주(Depositary Shares)는 통상 기초가 되는 우선주 1주를 여러 개의 예탁증서로 분할해 유통시키는 형태를 말한다. 투자자는 예탁증서를 매매하지만, 배당 권리와 청산우선권 등은 기초 우선주를 통해 간접적으로 보유한다. 비누적은 앞서 설명했듯 미지급 배당이 쌓이지 않는 구조이며, 이는 은행·금융기관 우선주에서 자본규제와 발행 설계상 흔히 볼 수 있다.

배당 히스토리: 원문은 모건스탠리 4.250% 예탁 비누적 우선주 시리즈 O의 과거 배당 내역 차트를 제시한다. 히스토리는 배당의 규칙성·지속성·변동성을 확인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특히 비누적 구조에서는 결손 구간이 존재하는지 면밀한 점검이 요구된다.
동일 거래일 주가 동향: 목요일 장중 기준, MS.PRO는 약 0.9% 하락했으며, 모건스탠리 보통주(티커: MS) 역시 약 0.6% 하락했다. 우선주와 보통주는 수익구조·위험계층·배당정책에서 차이가 있어 동행하거나 괴리되는 구간이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전문가 관점: 금리·신용·구조 3요소 점검
첫째, 금리: 고정배당 우선주는 시장금리와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기 쉽다. 금리가 상승하면 동일 배당의 상대가치는 낮아지므로 가격은 하락하고 수익률은 상승한다. 최근 6% 상회는 가격 조정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둘째, 신용: 발행사 신용 스프레드는 우선주 가격에 즉각 반영된다. 은행·증권사의 규제 환경, 자본 적정성, 이익 변동성은 스프레드에 영향을 준다. 셋째, 구조: 비누적 특성은 누적 우선주 대비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우선주는 발행사 콜옵션이 붙어 있어, 금리 하락 시 발행사가 조기 상환(call)해 투자자의 장기 고수익 구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적 요소는 할인율 확대 혹은 수익률 프리미엄으로 보상되는 경향이 있다.
투자자 실무 체크리스트: (1) 배당의 안정성과 결손 이력 여부, (2) 발행사의 신용 프로파일, (3) 금리 시나리오(장단기 금리와 인플레이션 경로), (4) 콜옵션·전환조건 등 증권 조건, (5) 세제·원천징수 등을 종합 점검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 투자자가 해외 우선주에 투자할 경우, 환율 변동이 총수익에 미치는 영향도 크므로 환헤지 전략을 병행할지 검토해야 한다.
요약: 이번 보도는 MS.PRO가 6%를 상회하는 배당수익률을 기록했고, 청산우선가액 대비 28.20% 할인 거래 중임을 전했다. 또한 ‘금융’ 섹터 평균 수익률 7.17%, 평균 할인율 16.43%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가치와 구조적 리스크를 함께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비누적 우선주의 특성상 미지급 배당의 소급 의무가 없다는 점이 재차 강조됐다.
* 연환산 설명: 분기 배당을 연간 기준으로 환산한 수치다. 예컨대 분기 배당 D가 고정적일 때 연환산 배당은 통상 4×D로 계산한다. 본 기사에서 언급된 $1.0625는 분기 배당을 연간 기준으로 환산한 값이다.
기사 말미 고지: 본문에 인용된 ‘견해와 의견’ 문구는 원문의 내용을 그대로 번역한 것으로, 해당 견해는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원문은 밝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