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 2025년 말까지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 제시
미국 대형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25년 말 이전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이번 분석은 모건스탠리의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인 마이클 게이펀(Michael Gapen) 이끄는 이코노미스트 팀의 보고서에 기반한다.
2025년 7월 29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게이펀 팀은 노동시장 약화가 정부·제조업 부문을 넘어 서비스업까지 확산될 경우, 연준이 올해 말(2025년)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이들은 기본 시나리오로는 2025년까지 금리 동결이 유지될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했다.
연준은 7월 30일(현지 시각)부터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통화정책을 논의한다. 시장에서는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현행 5.25%~5.50%로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최근 연준 위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격적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불확실성을 이유로 ‘관망 기조’를 강조해 왔다.
1) 서비스업 고용 급감
모건스탠리는 서비스업 중심의 월간 비농업부문 고용(payrolls)이 5만 명 이상 감소하는 흐름이 지속된다면, 연준이 금리 인하 버튼을 누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업은 미국 경제 활동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핵심 동력이다.
이번 주에는 7월 고용보고서 등 굵직한 고용 지표가 발표될 예정이다. 시장 컨센서스는 7월 신규고용이 전월 14만7,000명에서 10만8,000명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2) 예상 밖의 이민(Immigration) 변화
모건스탠리는 이민 규제 강화로 노동 공급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으나, 실제로는 불법 국경 월경 등 비공식 인구 유입이 늘 경우 노동시장 참여율이 지지돼 조기 금리 인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3) 서비스업 물가 디스인플레이션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은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서비스 부문에서 물가 상승률이 둔화된다면 관세로 인한 물가 상방 압력을 상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경우 연준은 관세발(發) 인플레이션을 ‘일시적(transitory)’으로 판단해 정책 완화에 나설 명분을 얻게 된다.
4) 관세 비용 전가율의 ‘낮고 길어진’ 흐름
기업이 관세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점진적으로 전가하면서 PCE(개인소비지출) 물가가 전년 대비 2.6%~2.8% 수준에 머무를 경우에도 금리 인하 논리가 강화될 수 있다. 이는 연준의 2% 물가 목표보다는 높지만, 물가가 고정적으로 상승한다고 볼 수 없는 구간이기 때문이다.
5) 기업 실적 훼손 → 주가 압박
마지막으로, 기업이 관세 비용을 흡수(吸收)해 이익이 감소하고 주가가 하락한다면, 금융여건 악화를 완충하기 위해 연준이 예상보다 빠른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도 언급됐다.
용어 해설 및 추가 분석
디스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둔화되는 현상이지만,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과는 다르다. 관세 비용 전가율(pass-through)은 기업이 부담한 관세를 어느 정도 소비자에게 전가하느냐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통상 전가율이 높을수록 소비자 물가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 시장 가격에는 ‘연준 동결’이 상당 부분 반영돼 있지만, 노동시장·물가·기업실적 세 축이 동시에 약화될 경우 투자자 심리가 급변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업 고용은 미국 GDP의 구조적 핵심이므로, 월간 5만 명 이상의 감원은 정책 방향을 뒤흔들 결정적 신호가 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모건스탠리는 여전히 ‘연준은 2025년 내내 금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기본 시나리오를 고수한다. 즉, 위 다섯 가지 요소 중 복수의 요인이 동시에 실현될 때만 금리 인하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준금리가 장기간 고점에서 유지될 가능성이 유효한 만큼,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 변동성, 고용지표 추세, 그리고 관세 정책의 진행 상황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변동성이 확대되는 국면에서는 방어적 포트폴리오 구성 및 리스크 관리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참고: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물가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로, CPI(소비자물가지수)보다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