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화 선물이 화요일 장에서 27~74포인트 하락하며 약세로 마감했다. 외부 변수는 혼조를 보였는데, 국제 유가는 배럴당 32센트 하락한 반면, 달러 인덱스도 212포인트 하락했다. 통상 원유와 달러의 동반 약세는 원자재 전반의 방향성 신호가 엇갈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25년 11월 1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주간 작황진척(Crop Progress) 보고에서 텍사스(TX)는 전체 포장 중 13%가 볼(boll) 형성 단계에 진입했고, 조지아(GA)는 12%로 집계됐다. 두 주 모두 평년치 대비 2%포인트 높다. 작황 등급에서는 ‘양호/우수(good/excellent)’ 비중이 한 주 사이 6%포인트 떨어져 50%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Brugler500 지수는 11포인트 하락한 331로 집계됐다. 주별로는 텍사스가 9포인트, 조지아가 14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ICE 인증 면화 재고는 감인취소(decert) 4,818베일이 발생하면서 7월 1일 기준 54,217베일로 감소했다. 현물 지표인 Cotlook A Index는 6월 27일 기준으로 파운드당 82.95센트까지 또다시 175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미국 농무부(USDA)의 평균 세계 가격(Average World Price, AWP)은 직전주 하락에서 반등해 +1.58 상승, 파운드당 58.23센트로 고시됐다. 본 AWP는 7월 4일까지 유효하다. 미국 독립기념일 연휴로 인해 다음 FSA의 AWP 발표는 7월 5일(금) 미 동부시간 오전 8시에 예정돼 있다.
종목별 종가는 다음과 같다. Jul 24 Cotton (연결)은 69.33에 마감해 74포인트 하락했다. Dec 24 Cotton (연결)은 72.7로 40포인트 하락 마감했고, Mar 25 Cotton (연결)은 74.39에 마감하며 37포인트 하락했다.
게시일 기준으로, Alan Brugler는 본 기사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에 한정된다. Barchart 공시 정책을 참고할 수 있다.
여기에 표명된 견해와 의견은 저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해석과 시사점편집자 주: 당일 장에서 면화 선물이 하락한 가운데, 외부 변수(원유·달러)의 동반 약세와 작황 지표의 혼재된 신호가 동시에 관찰됐다. 특히 ‘양호/우수’ 비율이 50%로 내려온 점과 Brugler500이 331로 후퇴한 점은 생산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함을 시사한다. 반면, ICE 인증 재고가 5만4천 베일대로 축소된 것은 현물 타이트 신호로 해석될 여지가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선물 가격에 즉각적인 지지로 연결되지 않았다. 이 같은 엇갈림은 현물-선물 스프레드와 인덱스 지표의 변화를 면밀히 추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용어 설명: Brugler500 지수는 농업 시장에서 널리 참조되는 업계 지표로, 주간 작황 등급(불량~우수)을 0~500 범위의 단일 수치로 환산해 상대적 작황 추세를 가늠하는 데 사용된다. ICE 인증 재고는 선물 인도 적격성을 갖춘 거래소 인증 면화 재고를 뜻하며, 단기 수급 상황을 보여주는 레퍼런스로 활용된다. Cotlook A Index는 국제 현물 면화 가격을 반영하는 대표 지표로, 전 세계 평균 현물가의 방향성을 요약한다. USDA AWP(평균 세계 가격)는 미국 농무부가 고시하는 국제 면화 평균가로, 고시 기간 동안 가격 참조에 사용된다. 기사에 언급된 포인트 하락은 선물가격 변동 단위를 의미하며, 일일 변동 폭을 정량적으로 보여준다.
실무 체크포인트: AWP는 7월 4일까지 유효하고 다음 고시는 7월 5일(금) 08:00 EDT에 예정돼 있어, 가격 참조 일정에 맞춘 내부 정산·리스크 관리 일정 조정이 요구된다. 또한 텍사스·조지아의 볼 형성 진척률이 평년을 상회하는 가운데 작황 등급은 후퇴하고 있어, 주간 Crop Progress의 추가 변화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합: 이번 주 면화 시장은 선물가격 약세, 현물 지표 혼조, 작황 지수 후퇴라는 세 가지 축이 맞물렸다. 단기적으로는 가격 하방 압력이 확인됐지만, ICE 재고 감소와 AWP 반등 등 일부 견조 신호도 공존한다. 투자자와 수급 당사자는 주간 작황 지표, Cotlook A Index, AWP 고시 일정의 삼박자를 함께 모니터링하며 포지션과 조달·판매 전략의 균형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