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시장 동향] 미국 시카고 선물거래소(CME)에서 면화(Cotton) 선물이 29일(현지 시각) 대부분의 월물에서 0.91~0.96센트 상승하며 강세로 거래를 마쳤다.
2025년 10월 3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같은 날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2월물은 배럴당 60.36달러로 0.21달러 올랐고, 미국 달러 인덱스(DXY)는 0.502포인트 상승한 98.955를 기록했다. 에너지·통화 시장의 동반 강세가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날 밤부터 다음 날 새벽(한국 시간)까지 한국 서울에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회동을 주시했다.
“정상회담에서 긍정적 언급이 나오면 농산물 수출 확대 기대가 면화 시세에 즉각 반영될 것”이라는 관측이 증권가에서 제기됐다.
거래 데이터 및 현물지표
글로벌 전자거래 플랫폼 ‘더 심(The Seam)’의 28일(화) 온라인 경매 결과, 총 3,401베일(1베일≈226.8kg)이 파운드당 61.63센트의 평균 가격에 거래됐다. 같은 날 Cotlook A 지수는 전일 대비 35포인트 상승한 75.95센트로 집계됐다. ICE(Intercontinental Exchange) 인증 면화 재고는 10월 28일 기준 전일보다 500베일 늘어난 18,052베일이다.
주요 월물 종가(¢/lb)*
- 2025년 12월물(Dec 25) : 66.01 (+0.96)
- 2026년 3월물(Mar 26) : 67.51 (+0.91)
- 2026년 5월물(May 26) : 68.71 (+0.91)
* 괄호 안은 전일 대비 포인트 증감.
투자자 노트
본 기사 작성자 Austin Schroeder는 해당 종목에 대해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모든 정보는 투자 참고용이며, 자세한 내용은 바차트(Barchart) 공시 정책을 참조하면 된다. 또한 “기사 속 견해는 필자 개인 의견으로, 반드시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삽입됐다.
관련 기사 하이라이트
- 3분기 소프트 커머디티 동향과 4분기 전망
- 면화, 반등장은 올 것인가?
- 중국의 미 농산물 회피 속 추천 트레이드
- 옥수수·대두·밀·면화: 이번 주 핵심 체크포인트
전문가 해설 및 용어 풀이
① Cotlook A Index는 전 세계 여러 원면(原棉) 가격을 평균한 국제 현물지표다. 주로 파운드당 센트(¢/lb) 단위로 발표되며, 국제무역에서 가격 기준점으로 활용된다.
② ICE 인증 재고는 뉴욕 ICE 선물거래소가 규정 품질 기준에 따라 공인한 실물 면화 재고를 의미한다. 재고 증감은 현·선물 가격 차(基差)와 인도 가능성에 영향을 준다.
③ The Seam은 면화·콩 등 농산물을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경매 낙찰가는 현물 시장의 수급 상황을 빠르게 반영한다.
기자 시각
최근 국제 면화 시세는 글로벌 의류 판매 둔화와 중국 방직업체의 수입 축소로 지난 1년간 하락 압력을 받아왔다. 그러나 18,000베일대까지 줄어든 ICE 인증 재고와 OPEC+ 감산 여파로 반등한 유가가 투기적 매수를 유발하고 있다. 이번 트럼프·시진핑 회동이 “농산물 구매 확대”라는 구체적 성과를 낸다면 면화 선물은 70센트선을 단기적으로 시험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와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기조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