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화 선물, 금요일 상승 마감…주간 기준 12월물 134포인트 급등

면화 선물이 금요일 장에서 4~42포인트 상승하며 마감했다. 특히 12월물은 주간 기준으로 134포인트 올랐다. 같은 날 원유 선물은 배럴당 30센트 반등해 $60.87을 기록했고, 미 달러인덱스$0.197 상승한 99.545로 마감했다다.

2025년 11월 3일, Barchart 보도에 따르면, 10월 30일 온라인 경매 플랫폼 더 심(The Seam)의 경매에서는 699베일이 파운드(lb)당 평균 63.03센트에 거래됐다. 글로벌 현물 지표인 Cotlook A 지수는 목요일 기준 100포인트 상승해 77.40센트를 나타냈다. 또한 ICE 공인 면화 재고는 10월 30일 기준 4,303베일 감소해, 공인 재고 수준이 13,749베일로 집계됐다다.

세부 호가를 보면, Dec 25 Cotton65.54에 마감해 42포인트 상승했고, Mar 26 Cotton66.73으로 4포인트 올랐다. 반면 May 26 Cotton67.90으로 1포인트 하락했다. 이와 같은 혼조 흐름에도 불구하고, 주간 누적으로는 12월물이 강세를 주도했다다.

주목

시장 맥락과 의미

이번 금요일 장의 특징은 원유달러가 동시에 강보합을 보이는 가운데, 면화 선물이 견고한 매수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가격은 달러 강세 시 역풍을 받을 수 있으나, 이날은 현물·선물 체인에서의 거래 지표가 가격 하방을 방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다. 특히 더 심(The Seam)실거래 평균가Cotlook A 지수의 동반 상승은, 단기 현물 수요와 국제 현물 프리미엄이 선물 가격을 지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다.

“10월 30일 기준 ICE 공인 재고가 4,303베일 줄어 13,749베일로 내려앉았다는 점은, 즉시 인도 가능한 인증 물량이 감소했음을 뜻한다. 이는 단기 타이트닝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공인 재고는 선물 인도에 사용 가능한 규격 적합 물량을 의미하며, 재고 축소는 현물·근월 선물 스프레드를 팽팽하게 만들 수 있다다.


핵심 지표 요약

주목

면화 선물: 금요일 4~42포인트 상승 마감, 12월물 주간 +134포인트
원유 선물: +$0.30 → $60.87
미 달러인덱스: +$0.197 → 99.545
The Seam 온라인 경매(10/30): 699베일, 평균 63.03센트/lb
Cotlook A 지수(목요일): +100포인트 → 77.40센트
ICE 공인 재고(10/30): -4,303베일 → 13,749베일


계약별 마감가 상세

Dec 25 Cotton65.54로 마감해 +42포인트를 기록했다. Mar 26 Cotton66.73으로 +4포인트, May 26 Cotton67.90으로 -1포인트를 각각 기록했다다.

참고: 기사에 포함된 계약 명칭과 링크는 원문 표기를 따른다. 예컨대 Dec 25(2025년 12월 인도), Mar 26(2026년 3월 인도), May 26(2026년 5월 인도) 등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만기별 선물 스플릿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다.


용어 설명Guide

포인트(point)선물: 선물 호가 단위로, 종목별 최소 가격 변동 단위를 가리킨다. 면화 선물의 ‘포인트’ 증감은 일중 변동 강도를 가늠하는 지표다.
베일(bale): 면화 묶음 단위로, 국제 거래에서 표준화된 포장 단위를 의미한다.
Cotlook A 지수: 영국의 Cotlook이 산출하는 국제 면화 현물 기준가로, 다종 원산지 면화를 반영한 지표다.
ICE 공인 면화 재고: Intercontinental Exchange가 규정한 품질·등급 기준을 충족해 인도 가능한 면화 재고를 뜻한다.
The Seam: 면화 등 농산물을 거래하는 온라인 경매·거래 플랫폼으로, 현물 흐름을 반영한다.
미 달러인덱스: 주요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의 가치 지표로, 달러 강세는 통상 달러 표시 상품 가격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다.


시장 해석과 실무적 시사점

단기 수급 관점에서는 ICE 공인 재고 감소Cotlook A 지수 상승의 조합이 근월 강세를 지지하는 요인으로 읽힌다. 이는 스프레드 트레이더에게 근월-원월 간 캐리/인버전 점검을 요구하며, 현물 바이어에게는 조달 타이밍 재검토 신호가 될 수 있다다.

거시 변수 측면에서는 달러 인덱스의 일일 반등원유 가격의 소폭 상승이 동시에 관찰됐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가격은 농업 투입 비용과 물류비에 간접 영향이 있으며, 달러 강세는 비(非)달러권 수요의 가격 저항을 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면화 선물이 상승 마감했다는 사실은, 수급·현물 프리미엄 요인이 우세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다.

리스크 체크: 현물 지표가 개선되는 와중에도, 선물 만기별 디커플링(예: May 26의 소폭 하락)이 확인된다. 이는 만기별 헤지 수요 차이, 스프레드 포지셔닝, 혹은 기대 재고 경로에 대한 상이한 해석을 반영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는 커브 전반의 베이시스·스프레드를 병행 점검하고, 현물 오퍼운임, 품질 프리미엄의 변동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다.


관련 리서치 및 참고 기사

– Soft Commodities in Q3 – What are the Prospects for Q4 and Beyond?
– Will Cotton Ever Rally?
– As China Shuns U.S. Ag Products, Make This 1 Trade Now
– Corn, Soybean, Wheat, Cotton: Let’s Break Down What You Need to Be Watching This Week


서비스 안내

Don’t Miss a Day: 원유부터 커피까지, Barchart의 최고 수준 상품 분석 뉴스레터를 무료 구독할 수 있다다.


공시 및 고지

기사 게재일 기준으로, Austin Schroeder는 본 기사에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에 한한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하라.

본 기사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Nasdaq, Inc.의 견해를 반드시 반영하지는 않는다다.


편집 메모

본 기사는 원문 정보를 충실히 번역·정리했으며, 수치·날짜·기관명 등 핵심 데이터를 원문에 기초해 정확히 전달했다. 용어 설명 단락을 추가해 국내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시장 해석은 공개된 수치 범위 내에서 일반적 메커니즘을 근거로 한 분석이며, 추가 정보의 가정 없이 보수적으로 제시했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