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알래스카 정상회담에서 부인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의 친서를 직접 전달한 사실이 확인됐다. 해당 서한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과정에서 발생한 아동 납치·이송 문제를 핵심 의제로 다뤘다.
2025년 8월 16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 행정부 고위 관계자 2명은 “멜라니아 여사가 러시아 측의 아동 강제이송 문제를 인도적 차원에서 직접 제기했다”며 서한의 존재를 공식 확인했다. 슬로베니아 출신인 멜라니아 여사는 이번 알래스카 순방에는 동행하지 않았다.
푸틴과의 회담 배경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알래스카 앵커리지에 위치한 미군 기지에서 약 3시간 동안 비공개 회담을 가졌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즉각 휴전에는 합의하지 못했다. 이번 정상회담 중 트럼프 대통령이 멜라니아 여사의 친서를 손수 건넨 것으로 알려졌다.
서한의 핵심 — 아동 이송 문제
두 명의 백악관 관계자는 서한의 구체적 문구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우크라이나 어린이 수만 명이 러시아 본토 혹은 러시아 점령 지역으로 보호자 동의 없이 이송·입양됐다는 사실을 문제 삼았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이를 유엔 집단학살 협약상 전쟁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쟁지역의 취약 아동을 보호하고 있을 뿐”이라는 모스크바 측 기존 입장은 여전하다.*러시아 외무부 설명
국제사회 반응 및 법적 쟁점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2022년 전면 침공 이후 러시아가 “수백만 우크라이나 아동의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강제이송·입양을 두고 전시국제법 위반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전문가 시각
국제형사법 전문가들은 멜라니아 여사의 친서가 인도주의 의제를 미·러 정상급 협상의 전면에 끌어올렸다는 점에 주목한다. 정상회담 의제 대부분이 군사·지정학 관련 사안에 집중되는 관행을 감안할 때, 영부인 명의 서한은 상대국 지도자에게 직접 도덕적 압박을 가하는 비전통적 외교 수단으로 평가된다.
용어 설명
“집단학살(Genocide)“은 특정 민족·인종·종교 집단을 전부 또는 일부 파괴할 의도로 행해지는 살해·신체적·정신적 피해를 포함한다. 러시아의 아동 강제이송이 실제 ‘집단학살’ 요건을 충족하는지는 국제사법재판소(ICJ)와 국제형사재판소(ICC)의 최종 판단 사안이다.
향후 전망
백악관은 서한과 관련해 추가 언급을 자제했으나, 인권단체들은 이를 계기로 미·러 간 인도적 협의 채널이 복원될 여지를 기대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실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 본 기사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부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등 실명이 그대로 사용되었으며, 모든 수치·날짜·장소·인용은 로이터통신 원문을 바탕으로 번역·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