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정부, 아디다스 ‘오악사카 슬립온’ 논란…전통 지식 보상 요구

멕시코 정부가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Adidas)에 전통 지식 사용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발단은 멕시코계 미국인 디자이너 윌리 차바리아(Willy Chavarria)가 아디다스와 협업해 선보인 ‘Oaxaca Slip On’ 스니커즈가 멕시코 원주민 전통 샌들 ‘와라체(huarache)’의 직조 기법을 차용했으나, 해당 지역 장인에게 아무런 이익이 돌아가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2025년 8월 9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멕시코 문화부는 “디자인 도용 피해를 입은 오악사카 원주민 공동체에 적절한 배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멕시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대기업이 원주민 공동체로부터 제품·아이디어·디자인을 무단 차용하는 사례가 빈번하다”며 법적 대응 가능성을 시사했다.

사건의 배경

디자이너 차바리아는 최근 논란이 된 ‘오악사카 슬립온’ 출시 이전에도 엘살바도르 CECOT 초대형 교도소 수감자를 주제로 한 파격 컬렉션으로 미국 패션계에서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제품은 중국에서 제조된 반면, 명칭에는 멕시코 남부 오악사카(Oaxaca) 주가 사용돼 현지 여론의 거센 반발을 샀다.

멕시코 정부의 공식 입장

멕시코 마리나 누녜스 문화부 차관은 “아디다스 측이 오악사카 주 정부에 연락해 ‘피해 공동체에 대한 배상(restitution)’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는 멕시코가 자라(Zara)의 모회사 인디텍스(Inditex)와 루이비통(Louis Vuitton) 등에 제기한 과거 문화 전통 보호 분쟁과 맥락을 같이한다.

“멕시코 정부는 국내외 대기업이 원주민의 지적 재산을 상업적으로 활용할 때 반드시 공정한 이익 공유가 선행돼야 한다고 믿는다.” — 마리나 누녜스 차관

디자이너 차바리아의 사과

차바리아는 10일 공식 성명을 통해 “이 디자인이 오악사카 커뮤니티와 직접적·의미 있는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되지 못한 점을 깊이 사과한다”며 “오악사카의 강력한 문화·예술적 정신을 기리고자 한 의도였지만 결과적으로 존중이 부족했다”고 인정했다.

아디다스의 침묵

그러나 아디다스 본사는 현재까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글로벌 브랜드가 문화적 민감성 문제로 구설에 오르면 브랜드 이미지·매출·주가에 직격타를 받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핵심 용어 해설

  • 와라체(huarache): 멕시코 원주민이 수백 년 전부터 착용해 온 가죽·섬유 직조 샌들로, 오악사카·미초아칸 등 남부 지역에서 특히 발달해 있다.
  • CECOT: 엘살바도르 정부가 2023년 가동한 초대형 교도소 ‘테러수감자 수용센터’(Centro de Confinamiento del Terrorismo)로, 최대 4만 명을 수용할 수 있다.
  • 문화 전용(Cultural Appropriation): 특정 문화 집단의 요소를 원저작자 동의 없이 무단 차용해 상업적·미학적 이익을 취하는 행위를 말한다.

전문가 시각

지적 재산권 전문 변호사들은 본 건이 ‘전통 지식(Traditional Knowledge)’ 보호에 관한 국제 규범 부재의 허점을 드러낸 사례라고 분석한다. 현행 파리 협약·베른 협약은 주로 개인 창작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공동체 문화유산 보호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다국적 브랜드가 공정 무역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MZ세대 소비자의 신뢰를 얻으려면, 단순 사과를 넘어 공동 개발·로열티 지급·장인 교육 투자구체적 상생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향후 전망

멕시코 정부가 법적 절차를 공식 개시할 경우, 아디다스는 비용 부담뿐 아니라 유사 사례 예방을 위한 내부 디자인 검증 시스템 강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이번 사안이 국제 사회에서 전통 문화 보호에 관한 정책·법 제정 논의를 촉발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기자 의견* 본 기자는 이번 논란이 단순한 브랜드·디자이너의 실수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며, 글로벌 패션·스포츠 업계가 원주민 문화유산 활용 시 ‘무형 자산의 공유 가치’를 어떻게 실질적으로 환원할 것인지가 향후 기업 ESG 평가에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라 전망한다.

* 본 단락은 기자의 전문적 분석이며, 기사 본문의 사실 관계와는 별개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