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티커: $SPX, ETF: SPY)는 0.99% 내렸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티커: $DOWI, ETF: DIA)는 0.23% 하락했다. 나스닥 100 지수(티커: $IUXX, ETF: QQQ)는 1.47% 밀렸다. 같은 날 12월물 E-미니 S&P 선물은 0.95%,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1.37% 떨어졌다.
2025년 10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증시는 대형 기술기업(일명 ‘매그니피센트 세븐’)의 실적 엇갈림과 금리상승 부담이 겹치며 약세를 보였다. 메타 플랫폼스 주가는 11% 이상, 마이크로소프트는 2% 넘게 급락했고, 반면 알파벳은 2% 이상 상승했다.
전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12월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경계하면서 10년물 국채금리가 2.5주 최고치(4.11%)로 치솟은 점도 투자심리를 냉각시켰다. 파생상품 시장은 12월 9~10일 FOMC 회의에서 25bp 추가 인하 가능성을 72%로 반영하고 있으며, 2026년 말까지 총 82bp 인하(기준금리 3.06% 예상)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무역 완화 재료도 등장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관세 휴전 연장에 합의했다. 미국은 중국산 펜타닐 관련 품목 관세를 20%에서 10%로 인하하고, 상호 관세 일부 유예를 1년 연장한다. 중국은 미국산 대두·수수 등 농산물 구매를 재개하며, 희토류 자석 수출 규제를 일시 정지한다. 이에 따라 희토류·농업·화학업종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번 주는 173개 S&P 500 기업이 실적을 내놓는 ‘실적 슈퍼위크’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보고한 기업의 84%가 시장 전망치를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 기록을 경신 중이다. 다만 3분기 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7.2%에 그쳐 2년 만에 최저폭으로 둔화될 전망이며, 매출 성장률도 5.9%로 2분기(6.4%)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 기술주가 실적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하면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 월가 트레이더 발언*
연방대법원은 11월 5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법적 정당성에 대한 구술 심리를 진행한다. 하급심은 해당 관세가 ‘긴급 권한’을 악용했다며 위법 판결을 내린 바 있다. 대법원이 이를 확정하면 이미 부과된 관세 환급과 행정부의 관세권 제한이 불가피해질 가능성이 있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은 5주째 이어지며 고용·소비·지표 공백 등 부정적 파급을 확대하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최대 64만 명이 강제 휴직에 들어가 실업률이 4.7%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해외 증시는 혼조였다. 유로 Stoxx 50 지수는 0.12% 하락,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73% 하락(10년래 최고치에서 후퇴)했고, 일본 닛케이225는 사상 최고치 경신 후 0.04% 상승 마감했다.
금리·채권 시장
12월물 10년물 미 국채선물(ZNZ5)은 6.5틱 밀려 연속 이틀 약세를 기록했다. 현물 10년물 금리는 1.9bp 오른 4.095%로 2.5주 최고치(4.114%)를 나타냈다. 트럼프·시진핑 회담으로 안전자산 수요가 줄고,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브레이크이븐 레이트)이 2주 최고치(2.312%)로 올라 채권을 압박했다.
유럽 국채도 독일 10년물 금리가 2.643%(+2.2bp), 영국 10년물이 4.424%(+3.2bp)로 상승했다. 유로존 3분기 GDP는 전분기 대비 0.2%, 전년 대비 1.3% 증가해 예상(0.1%, 1.2%)을 웃돌았고, 10월 경기심리지수는 96.8로 2.5년 최고를 기록했다. 독일 10월 CPI(조화지수)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3% 상승했다.
ECB는 예고대로 예금금리 2.00%를 동결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는 “미·EU 무역합의, 중동 휴전, 미·중 관계 개선이 성장의 하방 위험을 완화했다”고 말했다. 스왑시장은 12월 18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로 반영 중이다.
주요 종목 동향
‘매그니피센트 세븐’ 중 메타(META)는 연간 비용 전망을 1,160억~1,180억 달러로 상향(시장 컨센서스 1,156억 달러)하며 11% 급락했다. 테슬라(TSLA) ‑4%, 아마존(AMZN) ‑3%, 마이크로소프트(MSFT)·엔비디아(NVDA)는 2% 넘게 하락, 시가총액 상위주가 지수를 끌어내렸다.
반면 알파벳(GOOGL)은 TAC 제외 3분기 매출 874.7억 달러로 예상(851.1억 달러)을 웃돌며 3%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화학 기업 FMC가 실적 및 가이던스 하향으로 45% 폭락했고, 치폴레(CMG) ‑18%, 스프라우츠 파머스 마켓(SFM) ‑26% 등 소비재가 약세를 보였다. 보잉(BA)은 도이치은행이 ‘매수→보유’로 하향하며 6% 내렸다.
반면 C.H. 로빈슨(CHRW)은 3분기 EPS 호조와 20억 달러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로 19% 급등, 가디언트 헬스(GH)는 연간 매출 전망 상향(9.65억~9.70억 달러)으로 28% 뛰었다. 메트세라(MTSR)는 노보노디스크가 주당 56.50달러(총 65억 달러) 인수 제안 후 최대 77.75달러 조건부 지급 계획을 내놓으면서 23% 급등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율(Breakeven Inflation)은 명목 국채금리와 물가연동국채(TIPS) 금리 차이로 계산한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다. 투자자들이 향후 10년간 예상하는 평균 물가상승률을 의미하므로 중앙은행 정책과 금리전망을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된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은 메타·애플·아마존·알파벳·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테슬라 등 시총 상위 초대형 기술주 7종목을 통칭한다. 이들 주가는 S&P 500 수익률을 좌우할 정도로 시장 영향력이 크다.
향후 일정 및 실적 발표
10월 31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애플(AAPL)과 아마존닷컴(AMZN)이 실적을 공개한다. 같은 날 애브비, 엑손모빌, 쉐브론 등 25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11월 5일 연방대법원 구술 변론, 12월 9~10일 FOMC 회의, 12월 18일 ECB 회의가 예정돼 있어 금리·무역 이슈가 연말 증시 변동성에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 주: 인용문은 기사 원문에 근거한 시장 참가자 발언 요약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