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츠바이크 모델로 본 M&T뱅크(MTB) 정량 분석

【미국 대형은행 M&T뱅크(MTB)에 대한 심층 정량 분석】

2025년 8월 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투자 리서치 업체 발리디아(Validea)는 자사의 22개 ‘구루(guru)’ 전략 가운데 마틴 츠바이크(Martin Zweig)식 성장 투자 모델MTB를 평가한 결과 69%의 점수를 부여했다고 밝혔다.

이 점수는 80% 이상이면 전략적 관심, 90% 이상이면 강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되는 내부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대형 상업은행 업종 가운데 상대적으로 견조한 펀더멘털을 시사한다. MTB는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 대형(large-cap) 가치주로, ‘머니센터 뱅크(Money Center Banks)’¹ 산업에 속한다.


1. 마틴 츠바이크 전략 핵심 지표

마틴 츠바이크는 ‘지속적·가속적 이익 성장’을 중시한다. P/E(주가수익비율), 매출 및 이익 성장률, 부채 수준이 주요 점검 항목이다. 핵심 평가 결과는 아래와 같다.

PASS P/E 비율
PASS 매출 대비 순이익 성장 추세
FAIL 최근 분기 매출 성장률
PASS 현재 분기 순이익
PASS 전년 동기 대비 분기 순이익
PASS 당기 분기 순이익 증가율
PASS 최근 여러 분기 누적 순이익 증가율
FAIL 당기 분기 EPS가 직전 3개 분기보다 커야 한다는 조건
PASS 당기 EPS가 장기 평균 성장률을 상회해야 한다는 조건
FAIL 이익 지속성(Persistence)
FAIL 장기 EPS 성장률
PASS 내부자 거래(Insider Transactions)

총 12개 세부 항목 가운데 8개를 통과해 69%라는 종합 점수가 산출됐다.


2. 세부 분석 링크

투자자는 발리디아가 제공하는 다음 리포트를 통해 개별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EPS 성장률내부자 매입·매도 내역이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3. 마틴 츠바이크란 누구인가

미국 전설적 투자자 마틴 츠바이크는 15년간 뉴스레터 수익률이 연평균 15.9%를 기록하며 Hulbert Financial Digest가 집계한 리스크 조정 수익률 1위에 오른 인물이다. 뮤추얼펀드와 헤지펀드를 운용하면서도, 수집품 투자로도 유명하다. 예컨대 영화 ‘더티 해리’에서 사용된 총기, 코모도어 밴더빌트 서명 주식증서, 그리고 어린 시절 주유소에서 보았던 옛날식 가솔린 펌프 등을 보유한 사실이 알려졌다.


4. 투자자 관점: 편집자 해설

① 의미 있는 69%
69%라는 점수는 ‘구매 결정’의 명확한 신호는 아니지만, 실적 안정성과 밸류에이션 매력을 동시에 갖춘 대형은행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단, 세부 항목에서 매출 성장률(Money Center Banks 특유의 금리·대출 환경 영향)장기 EPS 성장률이 미달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② 금리 사이클과 매출 성장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국면에서 예대마진 확대는 가능하나, 경기 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신규 대출 수요 감소와 대손비용 상승이 매출 성장률을 억제할 수 있다.

③ 내부자 거래의 ‘PASS’ 의미
내부자 매입 트렌드는 경영진이 자사 가치에 대한 확신을 갖고 있음을 반영한다. 발리디아 기준에서 ‘PASS’로 평가된 것은 최근 6개월간 순매입 규모가 순매도의 두 배 이상이었기 때문이다.

④ 투자 시사점
기존 주주라면 자본비율·대손충당금 적정성 추이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신규 투자자는 80% 이상에 근접할 때까지 관망하거나, 다른 가치·성장 지표와 교차 확인 후 비중 조절이 바람직하다.


5. 용어 해설

P/E Ratio(주가수익비율) : 회사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투자자가 ‘얼마만큼의 가격’을 지불해 ‘1달러의 이익’을 사는지를 보여준다. 숫자가 낮을수록 저평가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으나, 성장 속도와 함께 봐야 한다.

Money Center Banks : 뉴욕·샌프란시스코 등 금융 중심지에 본점을 두고, 국내외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대규모 도매금융을 수행하는 초대형 상업은행을 의미한다. 시티그룹, JP모건체이스 등이 대표적이다.

Insider Transactions : 경영진·임원·주요주주(지분 10% 이상)의 자사주 매수·매도를 말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Form 4로 공시된다.


© 2025 Nasdaq.com & Valide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