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CEO, 인공지능 전략 청사진 공개
미국 캘리포니아 멘로파크에 본사를 둔 메타 플랫폼스(NASDAQ: META)의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가 ‘개인 초지능(personal superintelligence)’을 전 세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2025년 7월 30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저커버그는 이날 성명을 통해 메타의 인공지능(AI) 시스템이 이미 스스로를 개선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초지능(superintelligence) 실현이 이제 가시권에 들어왔다”고 선언했다.
저커버그는 “메타의 목표는 모든 사람에게 개인 초지능을 제공해, 각자가 가치를 두는 영역에서 이를 활용하도록 돕는 것”이라며,
“일부 경쟁사들은 초지능을 중앙집중적으로 통제해 모든 ‘가치 있는 일’을 자동화하고, 인간은 그 생산물로 생계를 유지하는 모델을 추구한다”
고 지적했다. 그는 메타가 추구하는 방향은 “개인을 강화(empower)하는 AI”라고 강조했다.
‘초지능’과 ‘스마트 글라스’ 용어 해설
초지능(superintelligence)은 인간 최고 수준의 지능을 넘어서는 AI를 의미한다. 이는 문제 해결·창의·학습 속도 등 모든 지적 능력에서 인간을 압도하는 개념으로, 업계에서는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이후 단계로 분류한다.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es)는 카메라·센서·프로세서를 탑재한 안경형 웨어러블 기기를 가리킨다. 사용자의 시각·청각 정보를 실시간 수집해 AI가 문맥을 파악함으로써, 스마트폰을 대체할 차세대 1인용 컴퓨팅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개인화·맥락 이해 기능, 차세대 컴퓨팅의 핵심
저커버그는 “사용자 목표를 깊이 이해하는 개인 AI 시스템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스마트 글라스가 시청각 문맥을 동시에 포착해 사용자를 실시간으로 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주요 컴퓨팅 툴”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그는 광범위한 접근성(accessibility)을 보장하되, 신규 안전 이슈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어떤 기술을 오픈소스로 공개할지에 대해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결정적 10년”에 대비하는 메타
저커버그는 “이번 10년이 기술의 진로를 좌우하는 결정적 시기”라며, 메타가 인간의 역할을 대체하는 대신 사람을 돕는 AI를 구축하겠다는 철학을 재확인했다. 그는 회사가 추구하는 분산형 접근(decentralized approach)이 민주적인 가치를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메타는 Llama 시리즈로 대표되는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비롯해, 이미지·음성·멀티모달 인공지능 연구를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Llama 4에서는 파트너 개발자들이 자체 앱에 메타 AI를 손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API를 개선했다.
산업 내 파장 및 향후 과제
전문가들은 메타의 이번 발표가 개인형 AI 시장 경쟁을 더욱 격화시킬 것으로 전망한다. 한편, 초지능이 실제 상용화될 경우 노동시장 재편, 윤리·규제 이슈, 데이터 거버넌스 등 복합적 문제도 함께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저커버그는 성명 말미에서 “기술 발전과 안전을 모두 충족하는 균형점을 찾기 위해 산업·학계·정부의 협력이 필수”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