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대형 기술주 실적 호조에 급등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하며 S&P 500과 나스닥 100이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31일(현지시간) 오후 1시 30분 기준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60%,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30%, 나스닥 100 지수는 0.70% 각각 올랐다. 동시에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53%,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60% 상승했다.
2025년 7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랠리는 마이크로소프트(MSFT)와 메타 플랫폼스(META)가 시장 예상을 웃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향후 인공지능(AI) 투자 확대를 공언한 것이 직접적 촉매로 작용했다. 두 기업 모두 설비투자(CapEx) 지출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해 성장 기대에 불을 지폈다.
E-미니 선물은 S&P 500·나스닥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소형(‘mini’) 선물 계약으로, 정규 주식시장 개장 전후에 투자자 심리를 가늠하는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또한 코어 PCE 물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다. 고용비용지수(ECI)는 인건비·복리후생 변화를 반영해 인플레이션 압력을 보여주는 척도로 사용된다.
주요 거시지표: 고용은 견조, 소비는 둔화
미 노동부에 따르면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18,000건으로 시장 예상치(224,000건)보다 적었다. 6월 개인소비지출은 전월 대비 0.3% 증가해 예상치(0.4%)에 미치지 못했으나, 개인소득은 0.3% 늘어 시장 예상(0.2%)을 상회했다.
6월 근원 PCE 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 대비 2.8%로 예상치(2.7%)를 웃돌았고, 2분기 고용비용지수는 0.9% 올라 전망치(0.8%)보다 높았다.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7.1로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거시 지표 요약①
① 신규 실업수당 청구: 21.8만 건
② 6월 개인소비지출: +0.3%
③ 6월 개인소득: +0.3%
④ 6월 근원 PCE: +2.8% y/y
⑤ 2분기 고용비용지수: +0.9%
⑥ 7월 시카고 PMI: 47.1
트럼프 대통령, 관세 압박 수위 ‘15%~50%’로 상향 시사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대만과도 유사한 합의를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또한 태국·캄보디아와는 휴전에 합의하며 추가 무역협정을 검토 중이다. 그는 8월 1일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150여 개국에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관세가 물가 압력을 높여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제한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1bp=0.01%p) 금리 인하 가능성을 40%, 10월 회의에서는 34%로 각각 반영하고 있다.
美·유럽 채권시장 동향
9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T-노트)는 3틱 상승했고, 금리는 4.350%로 2bp 하락했다. 월말 포트폴리오 리밸런싱과 영국 길트 10년물 강세가 미국 채권 금리 하락을 이끌었다. 다만 예상보다 높은 근원 PCE와 고용비용지수는 금리 인하 기대를 누그러뜨렸다.
유럽에서는 독일 10년물 금리가 2.700%로 0.5bp 내렸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3주 반 만에 최저 수준인 4.579%로 2.4bp 하락했다. 독일 7월 CPI는 1.8%로 10개월래 최저를 기록했다.
개별 종목 움직임
상승 종목
Meta Platforms는 매출 475억 3,000만 달러로 시장 예상(448억 3,000만 달러)을 뛰어넘고, 올해 CapEx 전망치를 660~720억 달러로 상향해 나스닥 100에서 11% 급등했다.
Microsoft는 4분기 매출 764억 4,000만 달러로 컨센서스(738억 9,000만 달러)를 상회하며 다우 지수를 주도했다.
그 밖에 eBay(+15%), Carvana(+21%), CH 로빈슨 월드와이드(+13%), 노르웨이지언 크루즈 라인(+12%), CVS 헬스(+5%) 등이 호실적에 급등했다.
하락 종목
Align Technology는 2분기 매출 부진으로 30% 넘게 급락했다. Arm Holdings(-13%), Baxter International(-17%), Lam Research(-7%), Qualcomm(-4%), International Paper(-3%) 등도 실적·가이던스 실망으로 약세를 보였다.
이번 주·이번 달 관전 포인트
이번 주는 S&P 500 편입 기업의 38%가 실적을 발표하는 ‘실적 시즌 최대 분수령’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3분의 1 수준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2%가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 2분기 전체 S&P 500 순이익은 전년 대비 4.5% 증가가 예상돼 시즌 전 전망치(2.8%)를 웃돌고 있다.
8월 2일 발표될 7월 고용보고서는 비농업 고용이 10만 9,000명 증가하고 실업률은 4.2%로 0.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날 발표되는 ISM 제조업 지수,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도 매크로 방향성을 가늠할 중요 잣대다.
관세 데드라인(8월 1일)을 앞두고 무역협상 진전 여부가 증시 변동성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15%~50% 단일 관세로 간단히 해결할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은 시장의 관세 하단 기대치를 끌어올리고 있다.
자료: Barchart·블룸버그·미 노동부·미 상무부·유로스타트·기업 실적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