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메타 ‘깜짝 실적’…S&P·나스닥 사상 최고 경신

S&P 500 지수0.60%,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0.30%, 나스닥 100 지수0.70% 각각 상승하며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일제히 급등했다. 특히 S&P 500과 나스닥 100은 장중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2025년 7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 심리는 마이크로소프트(MSFT)메타 플랫폼스(META)가 시장 기대치를 훌쩍 넘는 실적을 발표한 데 힘입어 크게 개선됐다. 두 기업은 인공지능(AI) 관련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히며 대형 기술주 전반에 강한 매수세를 이끌었다.

같은 시각 9월물 E-미니 S&P 500 선물은 0.53% 올랐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60% 뛰었다. E-미니(E-mini) 선물은 정규 지수선물 대비 계약 규모를 축소한 상품으로, 개인·기관 모두가 운용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거래량이 많다.


경제 지표 역시 장중 흐름에 영향을 미쳤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18,000건으로 전주 대비 1,000건 증가했지만 시장 전망치(224,000건)를 하회하며 노동시장 탄탄함을 재확인했다.

한편 6월 개인소비지출(PCE)은 전월 대비 0.3% 증가해 예상치(0.4%)를 밑돌았으나, 개인소득은 0.3% 늘어 전망치(0.2%)를 상회했다. 특히 근원 PCE 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8% 올라 예상치(2.7%)를 웃돌면서 ‘물가 점착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근원 PCE는 연준(Fed)이 가장 선호하는 물가 지표로,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해 실질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2분기 고용비용지수(ECI)는 0.9% 상승해 예상치 0.8%를 상회했고, 7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7.1로 4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예상치(42.0)를 크게 상회했다.


무역정책도 주목받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대만과도 일정 수준 합의에 도달해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언급했다. 또 태국·캄보디아가 휴전에 합의함에 따라 두 국가와의 무역 협정도 추진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을 ‘관세 데드라인’으로 못 박고 있다. 7월 16일 그는 150여 개국에 관세를 10~15%로 설정하겠다는 서한을 보낼 계획이라고 발표했고, 지난주에는 “

15%에서 50% 사이의 단일 관세를 적용할 것

”이라고 밝혀 최소 기준선을 상향 조정했다.


연방기금(FF) 선물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40%로, 10월 28~29일 회의에서는 34%로 각각 반영하고 있다. 전날 제롬 파월 의장은 “관세발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는 만큼 현재 완만하게 제약적(moderately restrictive)인 통화정책 기조가 적절하다”고 언급해 조기 금리 인하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증시는 이번 주에만 S&P500 편입 종목의 38%가 실적을 내놓는 ‘슈퍼 위크’에 돌입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분기 S&P500 기업들의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실적 시즌 개막 전 전망치(2.8%)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미 3분의 1가량이 발표된 가운데 82%가 시장 예상치를 넘었다는 점도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해외시장에서는 유럽 EURO STOXX 50 지수가 2.5주 최고치에서 밀려 0.68% 하락 마감했고, 중국 상하이 종합지수는 1주 최저치로 1.18% 내렸다. 반면 일본 닛케이2251.02% 올랐다.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는 2.700%로 0.5bp 내렸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3.5주 최저치인 4.557%까지 떨어졌다. 유로존 6월 실업률은 사상 최저치 6.2%를 유지했고, 독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EU 조화기준)는 전년 대비 1.8% 올라 10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주요 종목별 등락

상승 종목※괄호 안은 당일 주가 상승률

• 메타 플랫폼스(META) — 11%↑: 2분기 매출 475억3,000만 달러(컨센서스 448억3,000만 달러) 기록, 연간 설비투자(CapEx) 가이던스를 660~720억 달러로 상향.
• 마이크로소프트(MSFT) — 6%↑: 4분기 매출 764억4,000만 달러(컨센서스 738억9,000만 달러) 발표.
• 이베이(EBAY) — 15%↑: 2분기 매출 27억3,000만 달러로 시장 예상을 상회, 3분기 매출 전망도 상향.
• 카바나(CVNA) — 21%↑: 2분기 매출 48억4,000만 달러로 시장 전망(45억7,000만 달러) 웃돌아.
• 노르웨이지안 크루즈 라인(NCLH) — 12%↑: 2분기 조정 EBITDA 6억9,400만 달러, 탑승률 전망 103%로 상향.

하락 종목

• 어라인 테크놀로지(ALGN) — 30%↓: 2분기 매출 10억1,000만 달러, 3분기 가이던스도 컨센서스 하회.
• ARM 홀딩스(ARM) — 13%↓: 2분기 주당순이익(EPS) 전망 중앙값이 시장 예상치 밑돌아.
• 박스터 인터내셔널(BAX) — 17%↓: 2분기 매출 28억1,000만 달러, 연간 EPS 전망 하향.
• 램리서치(LRCX) — 7%↓: 중국 고객사의 지출 둔화 가능성 언급.
• 퀄컴(QCOM) — 4%↓: 3분기 모바일 칩 부문 매출 63억3,000만 달러, 컨센서스 미달.


채권 시장에서는 9월물 미 국채 10년물 선물이 3틱 상승했고, 수익률은 4.350%로 2bp 하락했다. 영국 길트 상승에 따른 연동효과, 월말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수요 등이 매수세를 지지했다. 다만 높은 근원 PCE 및 고용비용지수는 연준의 완화적 스탠스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채권 강세폭을 제한했다.

유럽중앙은행(ECB) 금리선물은 9월 11일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1%만 반영 중이다. 이는 ECB가 인플레이션 궤적을 좀 더 신중히 지켜보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향후 일정 및 전망

시장 관심은 8월 1일 관세 데드라인, 8월 2일 발표될 7월 미국 고용보고서(비농업 신규고용 +10만9,000명, 실업률 4.2% 예상), 평균시간당임금(+0.3% m/m·+3.8% y/y 예상), ISM 제조업지수(49.5 예상),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61.8 예상) 등에 집중돼 있다.

또한 ‘매그니피센트 세븐’ 가운데 애플(AAPL)아마존(AMZN)이 장 마감 이후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테크 업종 랠리 지속 여부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필자는 AI 설비투자 확대관세 리스크라는 양대 변수가 단기적으로 변동성을 높일 것으로 보면서도, 견조한 실적 성장세가 주가 조정 시 매수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다. 다만 근원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2%)를 여전히 상회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리 인하 기대를 서둘러 앞당기기보다는 지표 확인이 선행돼야 한다고 본다.

현 단계에서 투자자들은 실적 추정치 상향 여부, 기업들의 CapEx 가이던스, 미·중 무역 긴장 재현 가능성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핵심 용어 해설: CapEx(자본적 지출)은 설비·기술·부동산 등 장기 자산 취득을 위한 투자금으로, 기업 성장 의지를 가늠하는 지표다. ECI(고용비용지수)는 임금·급여·복리후생 등 인건비 변동을 반영해 노동시장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측정한다. 핵심(Core) PCE는 변동성이 큰 음식료·에너지를 제외한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로,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성을 읽는 데 핵심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