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프 캐피털, 밸류에이션 부담 이유로 쇼피파이 투자의견 ‘매수’→‘보유’ 하향

【뉴욕】 미국 증권사 루프 캐피털(Loop Capital)이 전자상거래 플랫폼 쇼피파이(Shopify Inc.)에 대한 투자의견을 종전 ‘매수(Buy)’에서 ‘보유(Hold)’로 하향 조정했다. 목표주가(12개월)는 120달러로 유지해 밸류에이션(기업가치)만을 근거로 판단했으며, 기업의 펀더멘털 악화와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2025년 7월 22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쇼피파이 주가는 올해 들어 21% 상승해 같은 기간 나스닥 종합지수(Nasdaq Composite)의 9% 상승폭을 크게 웃돌았다. 현재 주가는 루프 캐피털이 제시한 목표주가를 약 7% 상회하고 있으며, 52주 신고가에 근접해 거래되고 있다.

루프 캐피털 애널리스트는 “2025 회계연도 매출 추정치의 14.7배에 거래되는 현 주가는 이미 높은 낙관론을 반영하고 있다”면서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진 현 시점에서는 추가 매수보다 관망이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우리는 쇼피파이가 AI를 활용해 머천트(판매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진(수익성)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 믿는다.” — 루프 캐피털 보고서 中

루프 캐피털은 ‘쇼피파이 매직(Shopify Magic)’으로 불리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능과 고객 서비스·재무 등 내부 업무 자동화가 영업비용 증가율을 억제해 매출 성장률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잉여현금흐름(FCF) 마진 역시 동반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 용어 해설

• 보유(Hold): 투자 의견 중 하나로, 현재 주가 수준에서 적극 매수하거나 매도할 이유가 뚜렷하지 않을 때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목표주가와 실제 주가 사이의 괴리가 크지 않을 때 사용된다.

• 배수(멀티플): 주가가 특정 재무지표(매출·이익 등)의 몇 배에 거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P/S(주가매출비율)·P/E(주가수익비율) 등이 대표적이다. 본 기사에서는 2025년 예상 매출의 14.7배를 적용했다.

루프 캐피털은 주가의 단기 급등높은 변동성을 감안해 “보다 매력적인 진입 시점을 기다리겠다”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다만 “쇼피파이가 온라인뿐 아니라 오프라인 리테일 운영체계에서도 지배적인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장기 성장 스토리에는 여전히 긍정적 견해를 유지했다.


기자 시각 및 추가 분석

쇼피파이는 2022년 물류 부문 구조조정 이후 비용 최적화에 집중하며 수익성 회복에 성공하고 있다. 올 상반기 잉여현금흐름 전환은 자본시장의 신뢰를 얻는 데 주효했다. 그러나 주가가 목표주가를 넘어서기 시작하면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AI 기반 서비스 고도화로 추가적인 매출원이 창출될 경우 멀티플 상승 여력은 존재하지만, 단기 과열 논란을 줄이려면 ▲신규 서비스 모네타이즈(수익화) 속도 ▲글로벌 결제·물류 파트너십 확대 여부가 핵심 변수로 꼽힌다.

결론적으로, 현재 시장은 쇼피파이가 ‘리테일 운영체계의 OS’가 될 것이라는 장기 청사진에 높은 프리미엄을 부여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주가 조정 시점을 이용해 분할 매수 전략을 고려할 수 있으며, 다음 분기 실적 발표에서 AI 도입이 실제 비용구조에 미친 효과를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