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이 CHIPS and Science Act(이하 CHIPS법) 지원금을 받는 대가로 인텔(Intel)이 정부에 지분(equity)을 넘겨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19일(현지시간) CNBC ‘Squawk on the Street’ 인터뷰에서 “우리는 우리 돈에 대한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약속한 자금을 제공하되, 트럼프 행정부는 그 대가로 비의결권 지분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5년 8월 19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루트닉 장관의 발언은 인텔을 둘러싼 정부 참여 가능성을 공식화한 첫 사례다. 그는 “지배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 세금으로 지원되는 돈을 단순 보조금이 아닌 투자 관점에서 전환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주가 반응도 즉각적이었다. 인텔 주가는 19일 7% 급등해 최근 상승세를 이어갔다. 앞서 여러 매체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과 다양한 방식의 ‘관여’를 검토 중이라고 전한 바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8일 “화이트하우스가 인텔 지분 10% 취득을 논의 중이며, 이 경우 미국 정부가 최대주주가 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소프트뱅크 그룹(SoftBank)은 18일 인텔에 20억 달러(약 2% 지분)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팩트셋(FactSet)에 따르면 이로써 소프트뱅크는 인텔의 5대 주주로 올라섰다.
루트닉 장관은 “정부가 확보할 지분은 비의결권·비거버넌스(non-voting, non-governance) 형태가 될 것”이라며 “경영 간섭 없이 투자 수익만을 추구한다”고 강조했다.
기술 업계의 추가 동향
- 빌 게이츠와 윌리 웡카가 만난 듯한 82세 억만장자 CEO, 주디 포크너의 ‘소프트웨어 공장’ 이야기
- 삼성전자가 폴더블폰 인기로 미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며 애플의 아성을 위협
- 오픈AI, 5,000억 달러 기업가치로 60억 달러 규모 구주 매각 협상 중
- “IPO 시장, 금주화(禁酒) 시대 끝” — 기술기업 상장 바람이 지나치게 뜨겁다는 우려
인텔 측은 관련 사안에 대해 “입장 없다”며 공식 논평을 거부했다.
루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다른 CHIPS법 수혜 기업에도 동일한 지분 교환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실제로 인텔은 79억 달러의 보조금을, 대만 TSMC는 66억 달러를 각각 배정받은 상태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는 인텔과 TSMC에 돈을 ‘그냥’ 주려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부 돈을 주면 그만큼 지분을 달라’고 요구한다”며 두 행정부의 차별화를 부각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삼성·TSMC 등 해외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 내 제조 시설을 확대하는 ‘리쇼어링(Reshoring)’을 핵심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인텔은 AI 특수에도 불구하고 고급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TSMC 등에 밀려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다. 회사를 재건하기 위해 대규모 파운드리 투자를 단행했지만, 아직 주요 고객 확보에 실패했다. 지난 3월, 전(前) 캐드던스 CEO 리프-부 탄(Lip-Bu Tan)을 새 최고경영자(CEO)로 영입했고, 전임 팻 겔싱어(Pat Gelsinger)는 2024년 12월 해임됐다.
탄 CEO는 14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연루 의혹을 들어 그의 사임을 요구하기도 했다.
CHIPS법이란?
CHIPS and Science Act는 2022년 미 의회가 통과시킨 반도체 제조·연구 투자법이다. 미국 내 칩 생산시설 건설·확장을 위해 총 527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세액공제를 제공하고, 공급망 강화와 기술 연구를 지원한다. 당초 바이든 행정부는 ‘반도체 리더십 회복’을 목표로 지원금을 무상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투자형 보조로 바꾸는 전략을 검토 중이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저자의 의견이 아닌, 시장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일반적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지분 투자자로 참여할 경우, 재정 투입의 효율성과 장기 수익 확보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향후 산업 정책이 주가 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한다. 특히 비의결권 지분이라 하더라도 정부 존재 자체가 경영 자율성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인텔 입장에서는 추가 자금 조달·정부 후광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 파운드리 확대 전략에 숨통이 트일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