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갈루루】 로이터 통신이 실시한 전문가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인도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주요 20개국(G20) 평균 수준까지 높아지기까지는 빠르면 20년, 길게는 3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7월 22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경제학자와 정책 전문가 40명 가운데 32명(80%)이 ‘인도 여성 노동참가율(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Rate·FLFPR)은 수십 년 내에 G20 국가와 견줄 수준에 도달하기 어렵다’고 응답했다. 이 가운데 18명은 ‘30년 이상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8명만이 ‘10~20년 사이’라고 전망했다.
1. 현황: 인도 여성, 여전히 노동시장 주변부
인도 정부의 최근 주기적 노동력 조사(PLFS·2023~2024년)에 따르면, 여성 노동참가율은 27.8%에서 31.7%로 상승했다. 그러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2047년까지 제시한 목표치 70%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 FLFPR이란? 일정 시점에 경제활동을 하거나 하기를 원하는 여성 인구 비율을 뜻한다.
세계은행 자료를 보면 인도는 G20 국가 중 최하위로, 사우디아라비아와 튀르키예(터키)보다도 낮으며, 인접국인 방글라데시와 부탄에도 뒤처져 있다. G20 평균은 약 50%다.
2. ‘좋은 일자리’ 부족… 가계 생계형 자영업이 지표 왜곡
아쇼카대학 경제학과장인 아슈위니 데시판데 교수는 “여성이 종사하는 일자리 대부분이 생존을 위한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참여가 늘었다고 해도 생태계 전환을 이끌 만한 고품질 일자리와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또 “국민총생산(GDP) 유사 국가 대비 일자리 위기가 더 심각하며, 일자리가 부족하면 남성이 우선권을 갖는 구조가 고착화돼 있다”고 말했다.
실제 근로 여성 중 정규 임금·급여 직종에 종사하는 비율은 15.9%에 불과하다. 계약서, 안정적 급여, 복리후생이 보장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것이다. PLFS는 농촌 여성 근로자의 73.5%, 도시 여성 근로자의 40% 이상이 자영업(Self-employment) 형태라고 밝혔다.
“가계 소득이 올라가야 진정한 고용 효과로 평가할 수 있는데, 그런 현상은 보이지 않는다. 생계형·고통형(distress-driven) 자영업이 늘어난 탓일 가능성이 크다.” – 로사 아브라함 아짐프렘지대학 부교수
3. 통계에 대한 회의감
설문 응답자 43명 중 32명(약 74%)은 “공식 통계가 현실을 가리고 있다”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실업과 불완전 고용(Under-employment) 수준을 정부가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본다.
특히 안전 문제와 무급 돌봄 노동이 여성의 구직 의지를 꺾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5년 ‘시간사용조사(Time Use Survey)’에 따르면, 여성은 가사·돌봄에 하루 평균 5시간을 쓰는데 이는 남성의 세 배가 넘는다.
4. 과제와 정책적 해법
고칼레정치경제연구소 전임 교수인 상기타 슈로프는 “가임기와 경제활동기가 겹치는 여성 특성상, 육아 부담과 시설 부족이 결정적 제약”이라며 “공공 보육시설 확충, 안전한 통근·근무환경, 차별금지 강화 등 공격적 정책介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맨체스터대학 개발경제학의 비나 아가왈 교수도 “젊은 여성에게는 도시·소도시의 안전한 호스텔, 직장까지의 안전한 교통, 직장 내 성희롱 법 집행이 필수”라며 “여성경제학자들이 수년간 외쳐온 정책 제안이 과연 정부에 닿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5. 용어 해설 및 국제 비교
G20은 세계 주요 20개국의 협의체로, 선진국과 신흥국이 포함돼 있다. 회원국 간 경제 규모·정책 수준 차이가 크지만, 노동시장 지표 비교에서는 국제적 벤치마크로 자주 활용된다.
또한 자영업(Self-employment)은 임금근로자가 아닌 개인사업이나 가족경영 형태를 의미한다. 생계형 자영업은 낮은 소득과 불안정한 구조 탓에 ‘질 낮은 일자리’로 분류되며, 선진국 기준의 고용 안전망이 부족하다.
6. 전문가 시각
전문가들은 여성의 경제활동 확대가 인도의 ‘인구 보너스’를 실현할 핵심 조건이라고 입을 모은다. 여성 인력이 생산과 소득에 기여하지 못하면, 거대한 청년층도 ‘인구 부담’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경고다.
다만 정책적 개선 없이 양호한 통계치만을 추구할 경우 ‘통계 착시’가 심화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수치가 아닌 실질 임금, 근로 조건, 사회 인식 변화가 최종 지표”라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