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딧(RDDT) 펀더멘털 집중 진단
투자 리서치 플랫폼 발리디아(Validea)가 공개한 ‘구루 펀더멘털 리포트’에 따르면, 레딧 주식(티커: RDDT)은 총 22개 구루 전략 가운데 파르타 모한람(Partha Mohanram)의 P/B 성장 투자 모델에서 가장 높은 평점을 받았다. 해당 모델은 낮은 북 투 마켓(book-to-market) 비율을 보이면서도 지속적 성장 가능성을 시사하는 재무 지표를 갖춘 종목을 선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2025년 7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레딧은 기업 가치가 큰 대형주 성장주(large-cap growth)로 분류되며 산업 분류상 비즈니스 서비스 섹터에 속한다. 모한람 모델 적용 결과, RDDT의 총점은 77%를 기록했다. 발리디아는 일반적으로 점수가 80%를 넘기면 ‘관심 대상’, 90%를 넘기면 ‘강력 관심’으로 판단하며, 77%는 관심 직전 단계로 해석된다.
평가 세부 항목은 다음과 같다.
• 북/마켓 비율: 통과(PASS)
• 총자산이익률(ROA): 실패(FAIL)
• 영업활동현금흐름/자산: 통과
• 영업활동현금흐름 대비 ROA 비교: 통과
• ROA 변동성: 통과
• 매출 변동성: 실패
• 광고비/자산: 실패
• 설비투자(CAPEX)/자산: 통과
• 연구개발(R&D)/자산: 통과
전략·지표 해설
북 투 마켓(B/M) 비율은 주가순자산비율(P/B)의 역수로, 낮을수록 시장에서 평가받는 가치가 장부가 대비 높음을 의미한다. 모한람 모델은 성장주의 특성상 P/B가 높을 수밖에 없다는 기존 편견에서 벗어나, 낮은 B/M을 유지하면서도 성장 지표가 우수한 기업을 찾는 데 주력한다.
또한 영업활동현금흐름(Operating Cash Flow)을 자산 총액으로 나눈 수치는 기업이 실제로 현금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창출하는지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이 수치가 ROA보다 높으면 장부상 이익이 현금흐름으로 뒷받침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매출 변동성과 광고비 비중이 ‘실패’ 판정을 받은 점은 레딧의 사업 모델 특성상 경기 및 광고 시장 변동에 노출돼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R&D 투자와 CAPEX 비율이 ‘통과’ 판정을 받았다는 점은 플랫폼 기술 고도화와 장기 성장 전략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파르타 모한람 교수와 그의 모델
모한람 교수는 현직 토론토대학교 로트먼 경영대학원의 존 H. 왓슨 가치투자 석좌를 맡고 있으며, 과거 컬럼비아 경영대학원에서 재직했다. 그는 2005년 발표한 논문
“Separating Winners from Losers among Low Book-to-Market Stocks using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를 통해, 성장주도 재무제표 분석을 통해 ‘승자’와 ‘패자’를 구별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했다. 이후 그의 모델은 다양한 퀀트(quant) 펀드와 리서치 조직에서 핵심 스크리닝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전문가 시각
레딧은 2024년 3월 성공적으로 나스닥 상장에 데뷔한 이래, 커뮤니티 기반 광고 매출 확대와 데이터 라이선싱 사업으로 수익 다각화를 꾀해 왔다. 77%라는 평점은 아직 ‘강력 매수’ 시그널은 아니지만, 미래 성장 스토리를 주가가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R&D/자산 비율 통과는 AI 추천 알고리즘 개선·신규 기능 도입 등 플랫폼 경쟁력 제고가 가시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광고 시장 둔화와 콘텐츠 관리 리스크는 여전히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본 모델에서 ROA 항목이 실패로 나타난 것도 수익성 지표가 아직 이익률 관점에서 완전히 안정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재무 건전성, 이용자 성장률, 광고 단가 추이 등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필요가 있다.
배울 만한 용어
① ROA(Return on Assets): 기업이 자산 1달러당 얼마의 순이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로, 높을수록 자산 활용 효율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② 영업활동현금흐름: 순이익과 달리 실제 현금 유입·유출을 반영한 지표로, 회계적 수익과 현금 기반 수익의 차이를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
③ 변동성(Variance): 특정 지표가 기간별로 얼마나 변동했는지 측정한다. 낮은 변동성은 실적 안정성을 시사한다.
발리디아(Validea) 개요
발리디아는 워런 버핏·벤저민 그레이엄·피터 린치·마틴 즈바이그 등 시장의 전설적 투자자 전략을 모델 포트폴리오로 구현해 온 퀀트 기반 투자 리서치 회사다. 각 전략별로 종목을 분석해 점수를 매기며, 투자자에게 데이터 중심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이번 레딧 리포트 역시 이러한 ‘구루 전략’ 시리즈 중 하나다.
향후 관전 포인트
• 77%에서 80% ‘관심’ 구간 진입 여부
• 광고 시장 회복에 따른 매출 변동성 완화
• 데이터·AI 서비스 매출 확대 속도
결론적으로, 모한람 모델 결과는 레딧이 질적 성장을 꾀하며 재무 구조 개선을 병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플랫폼 특유의 네트워크 효과와 커뮤니티 충성도가 실적에 얼마나 빠르게 반영될지에 따라, 향후 점수와 주가 흐름이 큰 변곡점을 맞이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