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정한 8월 1일 자체 마감 시한을 앞두고,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Howard Lutnick)이 “이번 주 안에 모든 무역협정 관련 결정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7월 29일, 로이터통신(Reuters) 보도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금요일(8월 1일)까지 모든 사안을 정리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간 중국 및 유럽연합(EU)과 각각 별도의 통상 협상을 이어 왔으며, 이번 발언은 일련의 협상이 막바지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한다.
“We’re going to have things done by Friday.” — Howard Lutnick, U.S. Commerce Secretary, CNBC 인터뷰 중
‘8월 1일 마감 시한’은 트럼프 대통령이 스스로 설정한 내부 목표다. 관세·보조금·규제 등 주요 쟁점을 일괄 처리해 대선 국면이 본격화하기 전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을 줄이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EU와의 협상에서는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디지털 서비스 규제가 핵심 의제다. 양측은 7월 27일(현지시간) 기본 합의 틀을 공개했지만, 구체적 세율·규제 범위를 두고 막판까지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러트닉 장관은 “EU 논의와 중국 논의는 서로 다른 트랙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과의 협상을 “their own thing”이라고 표현하며 두 협상을 분리해 바라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철강·알루미늄 관세(Section 232)는 국가안보 위협을 이유로 부과되는 무역장벽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 같은 근거로 글로벌 관세를 단행했으며, EU는 이에 맞서 보복관세를 고지한 바 있다. 이번 협상이 타결되면 해당 관세가 일정 부분 철폐·완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유럽 철강업체와 미국 수입업자 모두에게 직접적인 비용 변화를 야기할 전망이다.
한편, 디지털 서비스 규제(digital services regulations)는 구글·메타·애플 등 글로벌 IT 대기업의 세원(稅源)을 각국이 자국 내에서 확보하기 위해 마련하는 제도다. ‘디지털세(세금)’와 ‘콘텐츠 심사 요건’까지 포괄하는 개념이지만, 용어 자체가 한국 독자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다. 이번 미·EU 협상에서는 과세 기준과 데이터 이전(data transfer) 원칙이 주요 쟁점으로 지목된다.
중국과의 협상은 별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마감 시한이 동일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구체적인 의제·조건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핵심 쟁점으로 관세율·지식재산권 보호·농산물 구매량 등이 꾸준히 거론돼 왔다.
시장 참가자들은 ‘8월 1일’ 이후 발표될 결과물이 글로벌 무역 흐름과 자산 가격 전반에 단기 변동성을 불러올 수 있다고 평가한다. 특히 원자재·자동차·반도체 관련 업종은 관세 변화에 따라 실적 가시성이 급변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다만 러트닉 장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협상 내용의 구체적 세부조항이나 절충안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이는 실무진 협상이 여전히 진행 중임을 보여 주는 대목으로, 최종 발표 직전까지 양측의 전략적 비공개가 이어질 것이라는 해석에 힘을 싣는다.
분석 및 전망*기자의견※사실과 구분
트럼프 대통령이 스스로 제시한 짧은 시한은 협상 상대에게도 압박 카드로 작용한다. 협정 체결이 순조롭게 마무리될 경우, 미국은 대선 국면 이전에 ‘통상 정책 성과’를 부각할 수 있다. 반대로 합의 실패 시에는 관세 인상 혹은 보복 관세 확대라는 ‘강수’가 현실화할 여지가 있다. 결과적으로 국제 금융시장은 향후 며칠간 변동성이 확대될 소지가 높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8월 1일까지 구체적 결론을 내리겠다고 재차 확인함에 따라, 글로벌 투자자·기업·정책당국은 이번 주 결과 발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발표 시점과 동시에 제시될 세율·규제 텍스트의 상세한 문구가 향후 수개월간의 통상·투자·환율 흐름을 규정할 핵심 요인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