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 러시아 외무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가 국영 방송 채널 로시야-1 인터뷰에서 “영토 변경이 종종 분쟁 해결의 필수 구성 요소”라고 강조했다.
2025년 8월 19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라브로프 장관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같이 언급하며, 현재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의 약 5분의 1을 점령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라브로프는 인터뷰에서 “역사적으로 대다수의 무력 분쟁은 협상 과정에서 영토 교환이나 경계 수정 문제를 포함해 왔다”며, 우크라이나 사태도 예외가 될 수 없다고 시사했다. 그는 구체적인 지명이나 조건은 밝히지 않았지만, 영토 문제를 중심에 둔 협상이 평화 정착의 관건이 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미국의 움직임
한편,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지도부와 각각 교섭 중이며, 잠재적 평화안의 핵심 요소로 “land-swapping(토지 교환)”을 거론했다. 그는 양국이 서로가 인정할 만한 방식으로 국경을 재조정해야 전쟁을 종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용어 설명*
Land-swapping은 분쟁 당사국이 서로의 영토를 맞교환하거나 특정 지역의 주권을 이전하는 방식으로 영토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간단히 ‘영토 교환’으로 번역되지만, 실제 협상에서는 인구 구성·경제 가치·전략적 위치 등 복합적인 요소가 고려된다.
“영토 문제를 테이블 위에 올리지 않고서는 어떤 협상도 실질적 진전에 도달하기 어렵다” — 세르게이 라브로프
국제 분쟁 연구자들에 따르면, 1945년 이후 체결된 주요 휴전·평화협정 가운데 약 40%가 경계선 조정 또는 영토 특구 설정을 포함했다. 이는 영토 변경이 현실 정치에서 ‘마지막 조정 카드’로 자주 활용됨을 시사한다.
뚜렷한 점령 현황을 유지하는 러시아는 협상 테이블에서 지렛대로 삼을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확보했지만, 우크라이나와 서방국가들은 ‘국제법상 영토 보전 원칙’을 이유로 영토 양보를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 차이는 향후 협상 난항을 예고한다.
전문가들은 “영토 변경이 포함되더라도 안전보장 메커니즘·전후 복구 계획·난민 문제 등을 패키지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즉, 단순한 경계 재설정만으로는 전쟁 종식 이후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기사는 AI 기술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으며 편집자의 검토를 거쳤다†. 자세한 사항은 인베스팅닷컴 이용 약관(T&C)을 참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