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캐릭터.AI에 ‘저작권 침해 중단’ 요구 서한 발송

월트 디즈니 컴퍼니(Walt Disney)가 캐릭터.AI(Character.AI)에 대해 자사 지식재산권(IP) 침해를 즉각 중단하라는 ‘시스 앤드 디시스트(cease-and-desist) 서한을 발송했다.

2025년 9월 30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디즈니는 지난주 발송한 공문에서 캐릭터.AI 플랫폼이 자사 캐릭터를 무단으로 활용해 재정적 피해뿐 아니라 장기적인 브랜드 훼손 위험까지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디즈니는 서한에서

주목

“우리의 우려는 재산권 보호를 넘어, 캐릭터.AI가 디즈니 캐릭터를 ‘무기화’해 브랜드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고 밝혔다. 이 같은 조치는 비영리단체 ‘ParentsTogether Action’과 ‘Heat Initiative’가 공동 발표한 조사보고서를 근거로 이뤄졌다.


문제의 조사보고서와 주요 쟁점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캐릭터.AI의 챗봇 상당수가 아동 대상 ‘그루밍(grooming)’ 및 성적 착취, 정서적 조작, 중독 유발 패턴을 보였다. 이에 따라 디즈니는 자사 캐릭터를 악용한 부적절 콘텐츠가 “장기적으로 미디어 제국의 명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캐릭터.AI 측은 로이터에 “서비스 내 모든 캐릭터는 사용자 생성(UGC)이며, 일부는 기존 유명 캐릭터에서 영감을 받았을 뿐”이라며 “저작권 보유자가 상호작용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문제 캐릭터를 즉시 삭제했다”고 해명했다.


LLM(대규모 언어모델) 기반 서비스의 구조

캐릭터.AI는 LLM(Large Language Model)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가 직접 챗봇을 만들고, 실존 인물이나 가상의 캐릭터처럼 대화하도록 설계된 플랫폼이다. 챗GPT와 동일한 구조로 방대한 텍스트 학습을 통해 언어패턴을 모방한다.

주목

‘시스 앤드 디시스트’는 법적 분쟁 전 단계에서 위반 행위를 즉시 중단하라는 요구 공문을 의미한다. 응하지 않을 경우 손해배상 청구나 가처분 신청 등 강력한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디즈니, AI 업계 저작권 수호에 공격적 행보

월트 디즈니는 2025년 9월 초 중국 AI 업체 미니맥스(MiniMax)를 비롯해 콤캐스트(Comcast)의 유니버설(Universal),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Warner Bros Discovery)와 함께 관련 소송을 제기했다. 앞서 6월에는 미드저니(Midjourney)를 상대로 “무단 상업 서비스 제공”을 문제 삼으며 공동 소송을 진행하기도 했다.

디즈니가 잇따라 AI 기업에 ‘철권’ 대응을 펼치는 배경에는 스트리밍·테마파크·머천다이즈 등 멀티유즈 비즈니스 모델을 지탱하는 핵심 자산이 IP 라이선스라는 점이 자리한다. 업계 전문가들은

“AI가 만든 2차 창작 시장이 커질수록 ‘저작권 경계’가 불분명해져, 전통 엔터테인먼트 기업과 AI 스타트업 간 갈등이 격화될 것”

이라고 전망한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기자의 분석에 따르면, 디즈니의 이번 조치는 AI 분야 전체에 ‘레드라인 설정’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글로벌 콘텐츠 기업이 본격적으로 법적 무기를 꺼내 듦에 따라, 스타트업들은 저작권 필터링·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비용을 크게 늘려야 한다. 결과적으로 자본력이 부족한 신생 기업의 시장 진입 장벽이 높아질 수 있다.

반면 생성 AI 생태계에서는 ‘공정 이용(Fair Use)’ 범위를 둘러싼 논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법원은 이미 사진·음악 분야에서 AI 학습 자료의 합법성을 두고 엇갈린 판결을 내놓고 있어, 최종 판례가 나올 때까지 법적 불확실성이 지속될 전망이다.

한편 캐릭터.AI는 안드레센 호로위츠(a16z) 등 실리콘밸리 유력 VC로부터 10억 달러 이상 가치를 인정받아 주목받은 회사다. 이번 사안은 빅테크·콘텐츠 기업과 AI 스타트업 간 ‘협업’이 아닌 ‘충돌’ 국면을 부각시키며, 투자자들의 리스크 평가에 새로운 변수를 던졌다.


용어 풀이

그루밍(grooming) : 아동·청소년을 장기간에 걸쳐 심리적으로 길들여 성적 착취로 유도하는 범죄 수법.
시스 앤드 디시스트(cease and desist) : 위법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재발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은 법적 경고장.
대규모 언어모델(LLM) : 인터넷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해 인간과 유사한 자연어를 생성·이해하는 인공지능 기술.
공정 이용(Fair Use) :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도 일정 요건 아래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미국 저작권 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