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유튜브 TV 송출 협상, ABC·ESPN 복귀 놓고 계속 진행 중
(Reuters) 월트 디즈니는 금요일, 구글의 YouTube TV와 ABC와 ESPN의 송출 재개를 위해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다. 디즈니 계열 네트워크는 페이-TV 서비스인 유튜브 TV에서 송출이 중단된 상태다.
2025년 11월 7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유튜브 TV는 월요일에 ABC와 ESPN을 복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는 선거일(Election Day) 보도를 위해 ABC를 다시 유튜브 TV에 복귀시키려는 디즈니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이뤄진 것이다.
디즈니 엔터테인먼트 공동 회장 데이나 월든(Dana Walden)과 앨런 버그먼(Alan Bergman), 그리고 ESPN 회장 지미 피타로(Jimmy Pitaro)는 금요일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다.
“유튜브 TV는 여전히 시장 수준 이하의 특혜 조건을 요구하고 있으며, 양보는 거의 하지 않고 있다.”
세 사람은 같은 메모에서, 디즈니가 유튜브 TV와의 협상을 시작하며 “최근 만료된 라이선스 조건보다 전체 비용이 더 적게 드는 딜”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다. 이어 “이는 유튜브 TV가 자신들의 고객에게 실제로 돌려줄 수 있는 비용 절감”이라고 덧붙였다.
디즈니는 또 해당 메모에서, 지난여름 이후 다른 유통사들과 체결한 합의와 동등한 수준의 공정한 조건을 유튜브 TV에도 제안했다고 밝혔다다.
유튜브 TV는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즉각 응답하지 않았다다.
미국에서 가장 큰 페이-TV 유통사 가운데 하나인 YouTube TV는 올해 들어, 자사 플랫폼에서 네트워크를 내리겠다고 경고하는 여러 회사들과 연쇄적인 협상을 벌여왔다다.
양사에 따르면, 지난주 목요일 늦은 시간 유튜브 TV에서 디즈니 계열 네트워크의 송출이 중단됐다. 이는 라이선스 합의 도출에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양측은 각각의 성명을 통해 밝혔다다.
핵심 포인트 요약해설
디즈니는 ABC·ESPN의 복귀를 목표로 유튜브 TV와 협상을 지속 중이다. 선거일 보도를 앞두고 유튜브 TV가 복원 제안을 내놨으나, 디즈니 측은 시장가 대비 낮은 특혜 조건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다. 디즈니는 최근 만료된 계약보다 비용이 낮은 제안으로 시작했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환원 가능한 절감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다. 현재 유튜브 TV의 공식 입장은 미회신 상태다.
용어 설명과 맥락
페이-TV1는 시청자가 구독료를 지불하고 이용하는 유료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다. 유튜브 TV는 구글이 운영하는 인터넷 기반 페이-TV 서비스로, 전통적 케이블/위성 TV를 대체하는 가상 MVPDmultichannel video programming distributor로 분류된다다. 이들 서비스와 방송사·콘텐츠사는 일반적으로 라이선스(송출) 계약을 체결하며, 계약 갱신 시점에 가격·번들·권리 등을 둘러싼 카리지(carriage) 협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다.
“네트워크가 암흑화(went dark)”했다는 표현은, 계약 만료 혹은 분쟁으로 인해 해당 플랫폼에서 채널의 송출이 일시 중단됐음을 뜻한다다. 이번 사례에서 디즈니 소유의 ABC·ESPN 등 네트워크가 유튜브 TV에서 목요일 밤 이후 시청 불가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한다다.
전문가적 시각: 업계 관행과 이번 협상의 의미
카리지 협상은 전통 매체와 스트리밍의 경계가 흐려지는 국면에서 점점 더 빈번해지고 있다다. 플랫폼은 구독료 인상 억제와 가입자 이탈 방지를 위해 콘텐츠 비용 최소화에 초점을 맞추고, 콘텐츠 보유사는 콘텐츠 가치에 상응하는 보상을 요구하는 경향이 강해졌다다. 이러한 힘겨루기는 종종 일시적 송출 중단으로 이어지며, 그 시점이 대형 스포츠 중계나 선거 보도 등 시청 수요가 높은 이벤트와 맞물릴 경우, 협상 압박이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여준다다.
이번 사안에서 디즈니가 밝힌 “최근 만료된 라이선스보다 전체 비용이 낮은 제안”과 “다른 유통사들과 합의한 수준에 부합”한다는 주장은, 통상 자사 제안의 시장 정합성을 부각해 협상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다. 반대로 유튜브 TV가 요구하는 “시장 이하 특혜 조건”이라는 지적은, 플랫폼이 가격 민감성이 높은 가입자 기반을 고려해 더 낮은 단가를 지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다. 이처럼 가격·패키징·권리가 맞물린 구조에서는, 특정 채널의 단독·우선 배치나 광고 인벤토리 및 디지털 권리 활용 범위가 핵심 쟁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다.
결과적으로, 양측이 선거일 보도라는 시점적 요인을 의식하면서도, 장기적 계약의 기준점을 당장 확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 한시적 복구 또는 단기 연장 같은 과도기적 해법이 선택될 여지도 있다다. 다만, 기사 시점 기준으로는 그러한 절충안이 공식화되지는 않았다고 이해된다다.
소비자에게 의미하는 바
시청자 입장에서는, ABC·ESPN의 일시 중단은 뉴스·스포츠 등 실시간 콘텐츠 접근성 저하로 직결된다다. 특히 주요 이벤트 시즌에는 불편이 증폭될 수 있다다. 일반적으로 이런 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플랫폼은 부분 환불·할인·대체 채널 안내 등을 검토하기도 하지만, 이는 각 사례별로 상이하며 본 기사에서는 관련 조치가 언급되지 않았다다. 이용자는 공식 공지를 통해 복구 시점과 구독 정책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다.
결론과 향후 변수
현재 디즈니와 유튜브 TV는 ABC·ESPN 송출 재개를 위한 협상을 지속하고 있다다. 디즈니는 시장 수준의 공정 조건을 제시했다는 입장이고, 유튜브 TV는 즉각적인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다. 합의의 시점과 조건은 여전히 불투명하며, 선거일 보도 수요와 구독자 경험에 대한 고려가 협상의 압력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다. 업계 관행상, 일시 복구·단기 연장·포괄 합의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열려 있으며, 향후 공식 발표가 나올 때까지는 상황 주시가 필요하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