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리언(Lean) 호그 선물이 22일(현지시간)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다. 가장 근월물인 8월물은 전장 대비 0.40달러 오른 107.750달러에 거래를 종료한 반면, 10월·12월물은 각각 0.475달러, 0.050달러 하락해 90.500달러, 82.850달러로 마감했다.
2025년 7월 23일, 나스닥닷컴(Nasdaq.com)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장중 흐름은 미 농무부(USDA)와 CME가 발표한 현물 가격 및 지수 상승에 힘입어 개장 초 강세를 보였으나, 월물 간 차별화된 매물이 출회되면서 결과적으로 혼조에 그쳤다.
USDA가 발표한 22일 오후(미 동부 기준) 전국 기준(FOB) 지육(돼지도체) 현물 가격은 달러 기준 cwt(체중 100파운드당) 118.15달러로 전일 대비 1.37달러 떨어졌다. 부분육 중에서는 피크닉과 햄이 상승했지만, 버트(어깨살)가 4.28달러, 벨리(삼겹 부위)가 4.42달러 급락해 총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반면 CME 리언 호그 현물지수(Lean Hog Index)는 7월 18일자 기준 전일 대비 0.27달러 오른 108.20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USDA 전국 기초 호가(현물 생돈 가격)는 113.95달러로 전일보다 3.48달러 급등하며, 현물시장의 탄탄한 수급 상황을 재확인시켰다.
용어 해설 및 시장 구조
리언 호그 선물은 지방 함량이 적은 돼지고기를 대상으로 한 표준화 선물 계약으로, 미국 내 식육 가공업체와 농가가 가격 변동 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주로 활용한다. ※계약 단위는 40,000파운드이며,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된다.
CME 리언 호그 지수는 2일간 가중 평균된 현물 가격을 바탕으로 산출되는 현물기준 지표로, 선물 만기 정산에 사용된다. 현물 가격 자체는 USDA가 조사하는 각 지역 경매·협상 가격을 종합해 작성된다.
USDA 포크 컷아웃 지수는 도매 육가공 단계에서 부위별 평균 가격을 합산한 값으로, 가공업체의 마진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 지표다. 부위별로 가파른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컷아웃 지수 변동폭이 확대되고, 이는 선물 가격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공급 동향
USDA는 22일 도축 두수를 47만6,000마리로 추정했다. 주간 누적(월~화요일)은 92만3,000마리로, 전주 같은 기간보다 8,000마리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주간과 비교하면 1만618마리 감소해 전년 대비 공급 타이트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농가·도축장 관계자들은 여름철 더위로 인해 사료 섭취가 줄어 평균 도체 중량이 감소하는 반면, 휴가철 내수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면서 가격 지지 요인이 형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선물 가격 세부 내역
8월물은 종가 기준 0.40달러 상승했지만, 10월물·12월물은 각각 0.475달러, 0.050달러 약세를 기록해 월물 간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구조가 일부 완화되는 모습이다. 이는 현물 지표가 강세를 보였음에도 불구, 원가 부담을 우려한 가공업체 매도세가 중·장기 월물에 집중된 결과로 풀이된다.
시장 참가자들은 단기적으로 현물 랠리가 이어질 경우 8월물 상승폭이 확대될 수 있으나, 하반기 공급 증가 전망이 유효한 만큼 10월·12월물 변동성도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해당 기사 작성자 오스틴 슈뢰더(Austin Schroeder)는 보도 시점에서 기사에 언급된 어떠한 종목에도 직·간접적으로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 목적이 아닌 일반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자세한 사항은 바차트 공개정책(Disclosure Policy)을 참조하라는 면책 조항이 제시돼 있다.
또한 나스닥 측은 “기사에 나타난 견해와 의견은 전적으로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향후 관전 포인트
애널리스트들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사료 원료인 옥수수·대두 가격 변동이 향후 돼지고기 선물 시장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한다. 특히 중국·멕시코 등 주요 수입국의 수요 변화가 컷아웃 지수와 도축 두수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국제 무역 동향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날 혼조세는 현물 타이트와 선물 고평가 부담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되며, 투자자들은 단기 스프레드 전략을 통해 변동성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