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X 지수가 4거래일 연속 상승 랠리 이후 8월 8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에서 소폭 약세를 보였다.
2025년 8월 8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전날 자정부터 동맹국과 교역 상대국에 대한 고율 관세를 공식적으로 발효한 가운데, 일부 주요 독일 기업의 2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밑돌며 투자심리가 냉각됐다1.바이든 행정부가 도널드 트럼프의 2018년 관세 체계 일부를 유지·강화한 조치로 분석된다.
러시아-미국 정상회담 기대감도 혼재됐다. 모스크바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향후 며칠 안에 회담을 준비 중이라고 확인했으며,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 전쟁의 일시 휴전에 대한 기대가 시장에 잠시 유입됐다. 그러나 관세 인상에 따른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이 강해지면서 독일 수출주 중심의 포지티브 모멘텀은 제한됐다.
지수 및 종목 동향
장중 한때 24,195.69까지 상승했던 DAX는 결국 전일 대비 58.95포인트(−0.24%) 하락한 24,131.75에 거래됐다. 보험·IT 대형주가 약세를 주도했다.
보험 재보험(re-insurance) 업계가 특히 부진했다. 뮌헨르(Munich Re) 주가는 7% 넘게 빠졌다. 회사는 2025년 보험수익 전망을 하향 조정했으며, 2분기 보험계약 관련 매출이 전년 동기 149억5,000만 유로에서 147억8,000만 유로로 1.2%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뮌헨르의 2분기 순이익은 30.2% 증가한 20억9,000만 유로, 주당순이익(EPS)은 32.9% 오른 15.94유로를 기록했으나, 매출성장 둔화가 투자자를 실망시켰다.
같은 재보험사 하노버뤼크(Hannover Rueck)도 4% 가까이 떨어졌다. 보험 재보험은 보험사가 위험을 서로 분산해 대규모 재해·사고에 대비하도록 하는 2차 보험 구조다. 통상 금리 환경·자연재해 빈도에 민감해 실적 변동성이 크다.
기타 대형주 중 Allianz와 SAP는 각각 1.7%, 1.6% 하락했다. 도이체 텔레콤, 도이체 부어제, 심라이즈, 콘티넨탈도 소폭 내렸다.
반면 방산·자동차 부품사 라인메탈(Rheinmetall)이 3.6%, 헬스케어 기업 프레지니우스(Fresenius)가 3.3% 상승하며 방어했고, 지멘스(+1.8%), 머크(+1.7%), 코메르츠방크·다임러 트럭·포르쉐 오토모빌 홀딩이 1~1.4% 올랐다.
에너지 대기업 RWE, 반도체업체 인피니언,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 부동산사 보노비아, 도이체방크, 항공엔진 MTU Aero Engines, 포르쉐, 진단기기 키아겐, 화장품사 베어스도르프, 화학 유통사 브렌탁도 소폭 오름세를 나타냈다.
시장 영향·전문가 해석
시장 참가자들은 “관세 인상이 최종 소비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경우 유럽 제조업 전반에 부정적”이라며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독일 기업들의 이익률이 압박받을 가능성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 애널리스트는 “DAX가 지난 4거래일 동안 약 2.5% 상승한 만큼 차익 실현 매물과 매크로 불확실성이 맞물려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앞으로 예정된 미국·러시아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에너지 가격이 조정될 경우 독일 산업계의 원가 구조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독일은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가 크게 축소됐지만, 여전히 유럽 전력·가스 가격 변동에 민감하다는 점이 변수로 남아 있다.
한편, 나스닥닷컴 기사 마지막 부분은 “기사 내 의견은 필자의 개인 의견이며 나스닥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다”고 명시했다. 이는 해외 경제 전문 매체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책임 면책조항(disclaimer)으로, 정보 제공의 객관성을 높이고 투자자 스스로의 판단을 강조하기 위한 관행이다.
용어 해설
재보험(Re-insurance)은 1차 보험사가 인수한 계약 일부를 다른 보험사(재보험사)에 전가해 위험을 분산하는 제도다. 대형 자연재해나 글로벌 팬데믹과 같이 예상치 못한 대규모 손실에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재보험사 실적은 대형 사고 발생 빈도·규모, 금리, 환율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관세(Tariff)는 국가가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보호무역·세수 확보·무역협상 카드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관세율 인상은 수입 원가와 소비자 가격을 끌어올려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으며, 보복 관세를 초래해 글로벌 교역 감소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