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2분기 GDP 0.3% 급락… 경제장관 “대담한 구조개혁 시급”

[베를린]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의 카타리나 라이헤(Katherina Reiche) 장관이 2분기 국내총생산(GDP)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라이헤 장관은 22일 기자단에 보낸 성명을 통해 “이번 수치는 행동의 긴급성을 잘 보여준다”고 밝혔다.

2025년 8월 22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독일 연방통계청(데슈타티스)의 잠정치 확정 결과, 2024년 2분기 독일 GDP는 전 분기 대비 –0.3%를 기록해 기존 –0.1% 잠정치보다 낙폭이 커졌다. 이는 직전 분기(+0.3%) 반등 흐름이 단기간에 꺾였음을 의미한다.

라이헤 장관은 “독일 경제가 글로벌 경쟁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보다 대담하고 장기적인 구조개혁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2분기 수치가 확정되면서 독일 내 정책·산업계 전반에서 규제 완화, 디지털·친환경 인프라 투자, 노동·연금 체제 개선 등 ‘3대 개혁 어젠다’가 재차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연방통계청은 또 2024년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조정 기준 +0.2%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물가·영업일 변동을 제거한 실질 수치이며, 유로존 전체의 평균 전망치(+0.5% 내외)를 크게 밑돈다.


GDP·분기 대비 성장률이란 무엇인가

GDP(국내총생산)는 한 국가의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화폐 단위로 합산한 지표다. 분기 대비 성장률(Quarter-on-Quarter)은 직전 분기와 비교해 산출되므로 경기의 단기 흐름을 읽는 데 유용하다. 반면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Year-on-Year)은 계절 요인을 보정해 장기 추세를 파악한다.

이번처럼 분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이 두 분기 이상 이어지면 기술적 경기침체(Technical Recession)에 진입했다는 표현을 쓰게 된다. 전문가들은 “이미 2023년 중반 회복 국면이 미약했기 때문에 향후 6개월간 지표가 추가로 악화될 경우 경기침체 논의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독일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과제

독일은 2010년대 중반까지 ‘유럽의 성장 엔진’으로 불렸지만, 코로나19 팬데믹·우크라이나 전쟁·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복합 위기를 거치며 성장 동력이 둔화됐다. 특히 에너지 전환(이른바 Energiewende) 과정에서 천연가스 가격 급등과 산업 전력요금 인상이 제조업 경쟁력을 약화시켰다.

이에 독일 정부는 ① 규제 혁신, ② 디지털·AI 인프라 확대, ③ 친환경 전환 가속화를 3대 축으로 한 중장기 경제 로드맵을 추진 중이다. 라이헤 장관은 “세법 개편과 행정 절차 간소화로 기업 투자를 촉진하고, 고급 인력 유입과 연구·개발(R&D) 세제 지원을 병행해 생산성 정체를 타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시장·전문가 반응

독일 상공회의소(DIHK)는 성명에서 “기업들이 에너지 비용과 관료주의 부담으로 투자 결정을 미루고 있다”며, 연방정부가 제시한 개혁안이 실행 단계까지 속도를 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베를린자유대학 경제연구소(FU Berlin Institute)의 클라우스 노이만 교수는 “EU 내 다른 국가의 경기 회복세와 비교할 때 독일의 성장 모멘텀이 예상보다 빠르게 식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금융시장에서는 독일 국채(분트) 수익률이 장중 소폭 하락했다가 보합권으로 돌아섰다. 투자자들이 경기 둔화를 이미 상당 부분 선반영했다는 분석이다. 유로화는 달러 대비 1.08달러선에서 제한적 약세를 이어갔다.


전문가 견해

기자 해설: 이번 GDP 하락은 제조업 분야의 역풍, 특히 화학·자동차·기계 산업의 수출 부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독일 특유의 ‘수출 주도’ 성장 모델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녹색 전환 압력에 직면하면서, 내수 및 서비스업 비중을 확대하려는 정책적 전환이 절실하다. 또한 노사관계 경직성과 고령화가 투자·고용 여력을 제약하고 있어 연금 제도 개혁과 숙련 인력 확보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

아울러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 긴축이 독일 내 금리 부담을 높이고 투자 심리를 약화시키는 만큼, 재정·통화정책 간 공조가 관건이다. ECB가 금리를 동결하거나 인하로 전환할 경우, 독일 경제는 2025년 상반기부터 점진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설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황, 중국 경기 둔화, 미·중 기술 패권 갈등 등 외부 리스크가 남아 있어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


라이헤 장관은 마지막으로 “경제 주체 모두가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고 새로운 산업구조를 구축해야 한다”며 “향후 수주 내에 구체적인 입법·예산 로드맵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독일의 개혁 속도가 유럽 경기 회복의 바로미터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