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축우 선물, 수요일 현물 거래 관망 속 약세 마감

[시카고 선물시장] 도축우(fat cattle) 선물이 22일(현지시간) 화요일장을 0.10~0.50달러 하락세로 마감하며 차익 실현 부담을 드러냈다. 현물(cash) 시장은 아직까지 공급목록(show list)을 모으는 수준에 머물러 실질적인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2025년 7월 23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비육우(도축우) 선물 가격이 주춤한 반면, 비육 전 송아지(feeder cattle) 선물은 0.65~0.90달러 상승하며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다. CME(시카고상품거래소) 비육 전 송아지 지수(CME Feeder Cattle Index)는 7월 21일 기준 전일 대비 1.03달러 오른 326.83달러를 기록했다.

USDA(미국 농무부)가 집계한 도매 박스드 소고기(Wholesale Boxed Beef) 가격은 혼조세를 나타냈다.

“Choice(고급육) 박스는 1백 파운드(lb)당 372.50달러로 0.43달러 상승했고, Select(중품) 박스는 347.94달러로 2.11달러 하락했다.”

이에 따라 고급육과 중품육의 가격 차이인 Chc/Sel 스프레드는 24.56달러까지 확대됐다.


같은 날 USDA는 도축(cattle slaughter) 물량이 화요일 하루 112,000두(head)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주간 누계는 217,000두로, 전주 대비 13,000두, 전년 동기 대비 21,983두 감소했다. 이는 여름철 더위로 인한 사료 섭취 감소와 생산자들의 출하 지연 전략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선물가격 상세 현황

Live Cattle Aug 25
2025년 8월물 비육우(LE*1)은 224.975달러에 마감, 0.250달러 하락했다.

Live Cattle Oct 25
10월물 비육우(LE*2)는 221.125달러로 0.500달러 내렸다.

12월물 비육우(LE*3)는 221.650달러로 0.100달러 밀렸다.

Feeder Cattle Aug 25
8월물 비육 전 송아지(GF*1)는 328.275달러, 0.675달러 상승했다.

9월물 비육 전 송아지(GF*2)는 328.575달러, 0.875달러 올랐다.

10월물 비육 전 송아지(GF*3)는 326.875달러, 0.900달러 상승 마감했다.


전문가 시각과 시장 의미

① 현물 거래 공백이 시세 압박
현재 가공업체(packers)와 사육농가(feedlots) 간의 호가 탐색(price discovery)이 지연되면서 선물 시장이 방향성을 잡지 못하고 있다. 현물 거래가 개시되는 수요일 이후 가격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소지가 높다.

② 박스드 비프 혼조, 소비 경향 관찰 필요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Choice 등급은 강세를 보였지만 Select 등급이 약세를 보이며 스프레드가 확대됐다. 이는 가계의 소비 성향이 고급 스테이크 커트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업계가 가격 전가(price pass-through)에 성공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③ 도축 두수 감소가 공급 타이트닝(tightening) 신호
전주와 전년 대비 도축 마릿수가 크게 줄어든 점은, 사육 기간을 늘려 체중을 더 끌어올리려는 생산자 전략과 더불어, 장기적으로 공급 타이트화를 부추길 수 있다. 이는 4분기 이후 선물 곡선(backwardation)의 완화 내지 상승 전환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다.

④ 비육 전 송아지 선물 강세의 배경
옥수수 등 사료곡물 가격이 계절적 하락세를 보이면서 사육 마진(feedlot margin)이 소폭 개선된 것이 전 송아지 선물 강세를 견인했다. 비용 감소가 고스란히 매입가(Basis)에 반영되면서 기존 대비 높은 입식 의향이 포착되고 있다.


용어 해설초보자를 위한 추가 정보

도축우(Fat Cattle)는 출하 직전 체중을 충분히 올린 비육 단계의 소를 의미한다. 미국 선물시장에서 거래되는 Live Cattle이 여기에 해당한다.

비육 전 송아지(Feeder Cattle)는 아직 체중이 덜 나가 사료를 추가 급여해야 하는 중량 600~800파운드의 어린 소를 가리킨다. 농가는 Feeder Cattle을 매입해 약 150~200일간 사육 후 Fat Cattle로 전환, 도축장에 출하한다.

박스드 비프(Boxed Beef)는 부위별로 절단·포장(Boxed)돼 식당·소매점에 납품되는 소고기 제품을 뜻한다. Choice·Select 등급은 육질, 마블링, 연도 등을 기준으로 나눈 USDA 소고기 등급 체계다.


기자 견해 및 전망

현물 거래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수요일 이후, 가격은 2024~2025년 두 번째 하반기 고점을 다시 테스트할 가능성이 있다. 도축 용적이 줄어들고 박스드 비프 수급이 타이트해지는 구간에 접어든다면, 선물 시장은 조정 이후 재차 상승 레그(leg)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여름철 수요 피크 이후 가을철 소비 둔화와 글로벌 수입 감소 여파가 맞물릴 경우, 상승폭은 제한될 수 있다.

사료곡물 선물의 변동성, 달러화 강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그리고 연준(Fed)의 금리 정책이 소매 소비 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해야 한다. 생산자들은 헤지 비율(hedge ratio)을 점진적으로 높여 가격 리스크를 관리하고, 가공업체는 스프레드 확대 국면에서 마진 확보에 집중할 시점이다.

© 2025 Nasdaq, Inc. 해당 기사에서 언급된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이 아니며, 작성자 Austin Schroeder는 해당 증권에 대해 직·간접적 이해관계가 없음을 밝혀둔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공시(Disclosure) 정책을 참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