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체 텔레콤, 3분기 순이익 17.9% 감소…조정 실적 개선·2025년 EBITDA AL 가이던스 상향

도이체 텔레콤(Deutsche Telekom, 티커: DTE.MI)이 2025년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한 가운데, 2025년 3분기 당기순이익(비지배지분 차감 후)은 24억3천만 유로로 집계되어 전년 동기 대비 17.9%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주당순이익(EPS)은 0.50유로로 전년 동기 0.60유로에서 하락했다. 반면, 조정(Adjusted) 기준으로는 순이익이 27억 유로14.3% 증가했으며, 조정 EPS도 0.55유로로 전년 동기 0.47유로에서 개선됐다.

2025년 11월 13일, RTT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회사의 수익성 지표 가운데 핵심으로 꼽히는 조정 EBITDA AL유기적(Organic) 기준으로 2.9% 증가해 111억 유로를 기록했다. 이는 리스효과를 반영한 이익창출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경영활동의 내실을 강조하는 최신 추세와 부합한다.

매출 측면에서는 총매출(Net revenue)유기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289억 유로를 달성했다. 서비스 매출(Service revenues)은 같은 기준으로 3.6% 늘어나, 기반 사업에서의 견조한 흐름을 확인시켰다.

주목

2025년 가이던스 상향

도이체 텔레콤은 2025년조정 EBITDA AL약 453억 유로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는 종전 제시치(450억 유로 초과)에서 상향된 것이다.

핵심 포인트: 회사는 조정 EBITDA AL을 중심으로 중장기 수익성 지향을 재확인했으며, 서비스 매출의 유기적 성장과 결합해 영업기반의 견조함을 시사한다.


세부 실적 정리

당기순이익(비지배지분 차감 후): 24억3천만 유로(전년 대비 -17.9%)
EPS: 0.50유로(전년 0.60유로 대비 하락)
조정 순이익: 27억 유로(전년 대비 +14.3%)
조정 EPS: 0.55유로(전년 0.47유로 대비 개선)
조정 EBITDA AL: 유기적 기준 +2.9%111억 유로
총매출: 유기적 기준 +3.3%289억 유로
서비스 매출: 유기적 기준 +3.6%

주목

해석과 시사점

겉으로 보이는 보고 기준 순이익은 감소했지만, 조정 기준 실적유기적 성장률은 개선세를 보였다. 이는 본업에서 창출되는 수익성 지표가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조정 EPS 0.55유로보고 EPS 0.50유로를 상회해,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체력 측면에서의 개선을 강조한다. 또한 2025년 조정 EBITDA AL 453억 유로라는 새로운 전망치는 기존의 ‘450억 유로 초과’ 가이던스를 명확히 상회하는 수치로, 경영진이 리스 비용을 포함한 수익성에 대한 가시성을 높게 보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기적(organic) 성장 지표의 비중이 커진 것은 최근 통신 산업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흐름이다. 유기적 기준이란 환율 변동이나 인수·합병 등 구조적 변화를 제외하고 기존 사업의 내재 성장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 기준에서 총매출 +3.3%, 서비스 매출 +3.6%를 기록했다는 점은, 통신 서비스의 안정적 수요가 실적을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용어 해설

• 비지배지분 차감 후 순이익: 연결 재무제표에서 자회사 중 모회사(도이체 텔레콤)가 지배하지 않는 부분(비지배지분)을 제외한 순이익을 뜻한다. 이는 주주에게 귀속되는 이익을 더 정확히 보여준다.

• 조정(Adjusted) 실적: 일회성 비용·수익, 회계적 조정 등 경상적이지 않은 항목을 제거한 지표다. 기업의 본질적 영업력을 평가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본 기사에서 조정 순이익조정 EPS는 이러한 조정 후 수치를 의미한다.

• EBITDA AL: EBITDA after Leases의 약자로, 이자·법인세·감가상각·무형자산상각 차감 전 영업이익(EBITDA)에 리스(lease) 효과를 반영한 지표다. 통신업처럼 장기 인프라 투자와 리스가 중요한 산업에서, 현금창출력과 영업 효율성을 가늠하는 핵심 벤치마크로 활용된다.

• 유기적(Organic) 성장: 환율·M&A 등 외생 변수의 영향을 제거한 성장률이다. 기업의 동질적인 사업 기반에서의 성장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투자자 관점의 체크포인트

1) 조정 실적과 보고 실적의 괴리: 보고 순이익은 감소했으나, 조정 순이익과 조정 EPS는 개선됐다. 이는 일회성 요인 배제 시의 영업체력 회복을 시사한다.
2) EBITDA AL 중심의 가이던스: 2025년 453억 유로 전망은 전년 대비 지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경영진의 자신감을 반영한다.
3) 유기적 매출 성장: 총매출과 서비스 매출 모두 유기적으로 증가해, 핵심 서비스 수요의 견조함을 재확인했다.


출처 및 고지

RTT뉴스는 “추가 실적 뉴스, 실적 캘린더, 종목별 실적 정보”를 자사 웹사이트(rttnews.com)에서 제공한다고 전했다.

본 문서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으로,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