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트럼프 대통령에게 100억 달러 신규 투자 ‘명시적 약속’ 없었다고 밝혀

도요타, 트럼프 언급 ‘100억 달러 투자’ 사실상 부인

일본 도요타자동차는 미국 내에 10억 달러가 아닌 100억 달러 규모의 새로운 투자를 약속했다는 일각의 보도와 달리, 그와 같은 ‘명시적 약속(explicit promise)’은 없었다고 밝혔다.

2025년 10월 29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전날 일본을 방문한 자리에서 “도요타가 미국에 약 100억 달러(약 13조 6,000억 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도요타 측은 이를 즉각 공식 부인하며 투자 규모와 시점을 구체적으로 약속한 적이 없다고 재차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월 28일 저녁 도쿄에서 진행된 한 행사에서 “도요타가 미국에서 크게 투자할 준비를 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숫자로 ‘100억 달러’를 거론했다. 그는 “일자리 창출에 있어 일본 기업들의 기여에 감사한다”는 일반론을 펼치면서도, 현장에서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주목

그러나 히로유키 우에다 도요타 사장실 상무는 다음 날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막한 재팬 모빌리티 쇼(Japan Mobility Show)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

‘100억 달러 신규 투자’라는 표현은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 기대감이 들어간 발언으로 보이며, 회사가 구두든 서면이든 그러한 액수를 ‘명시적으로’ 약속한 적은 없다

”고 강조했다.

우에다는 이어 “우리는 과거에도 그랬듯 미국 시장과 현지 고용을 위해 계속해서 투자해 왔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프로젝트나 규모는 사업 환경과 시장 수요에 따라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재팬 모빌리티 쇼는 기존 도쿄모터쇼를 대체한 행사로, 전통 자동차사뿐 아니라 모빌리티·배터리·소프트웨어 기업까지 참여해 미래 이동성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 경영진들이 신기술과 투자 계획을 밝히는 플랫폼이기도 하다.

주목

도요타는 이미 미국 켄터키·텍사스·미시시피·앨라배마 등 10여 개 주에 생산·연구 거점을 두고 있다. 회사 자료에 따르면 2017~2023년 사이 미국 내 누적 투자액은 약 380억 달러에 달하며, 6만 5,000명 이상의 직접 고용을 창출했다. 특히 전기차·배터리 라인 증설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연구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는 추세다.

외국인직접투자(FDI)는 해외 기업이 타국에 공장·지사를 설립해 운영권을 행사하며 자본·기술·노동을 투입하는 행위를 말한다. 대규모 FDI는 경기 부양과 고용 창출 효과가 크지만, 여러 국가 간 무역·통상 협상 과정에서 정치적 발언으로 과장되거나 오용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전문가들은 “정부 수뇌부의 발언이 실제 투자계획 확정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한다.

일본과 미국 간 자동차 무역은 1980년대부터 민감한 통상 이슈였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 미국은 ‘무역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일본·유럽 자동차사에 미국 생산 확대를 압박해 왔다. 시장 연구기관 마켓인사이트는 “기업의 실질적 투자 의사결정은 정치적 요구가 아닌 수익성·공급망·세제 인센티브 등에 달려 있다”고 분석했다.

증권가에서는 트럼프 언급에 따라 도요타·미국 부품주 주가가 단기적으로 변동성을 보일 수 있으나, 공식 부인으로 사실상 ‘해프닝’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가 많다. 한 애널리스트는 “투자 규모가 불투명해진 만큼, 구체적인 공장 부지 선정이나 세제 협상으로 이어질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 용어 설명 및 배경
명시적 약속(explicit promise): 계약서·합의서·공식 성명 등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법적 구속력을 가진 약속을 의미한다.
재팬 모빌리티 쇼: 1954년 시작된 도쿄모터쇼가 2023년부터 개칭한 행사로, 전기차·드론·로봇·AI 등 이동성 전반을 아우른다.

[전문가 시각]
경제·산업 전문 기자로서 보건대, 이번 사안은 정치·외교 레토릭과 실제 기업경영 판단의 괴리를 보여 주는 대표 사례다. 기업은 구체적인 투자 타당성을 최우선으로 삼는 반면, 정치 지도자는 거시적 메시지를 강조하기 쉽다. 향후에도 정치적 수사(rhetoric)에 따른 시장 과열 반응에는 냉정한 팩트 체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