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100 등 미국 주요 주가 지수가 30일(현지시간) 일제히 약세로 마감했다. 지수별로 보면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99%,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3%, 나스닥 100 지수는 -1.47% 하락했다. 선물시장에서도 12월물 E-미니 S&P 500 선물은 -0.95%,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1.37% 떨어졌다.
2025년 10월 31일,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이날 시장을 압박한 가장 큰 요인은 ‘매그니피센트 세븐(Magnificent Seven)’1로 불리는 초대형 기술주의 실적 부진이었다. 메타 플랫폼스(Meta Platforms)는 11% 이상,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2% 넘게 밀리며 투자자 기대를 충족하지 못했다. 반면 알파벳(Alphabet)은 3분기 실적이 전망치를 웃돌며 2%대 상승 마감했다.
전날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12월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에 선을 그은 여파도 이어졌다. 이에 따라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장중 4.11%로 2주 반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주식시장의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작용했다.
금리·통화정책 동향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는 12월 9~10일 FOMC 회의에서 25bp(0.25%포인트) 추가 인하 가능성을 72%로 반영하고 있다. 또한 2026년 말까지 총 82bp 인하해 정책금리가 3.06% 수준까지 낮아질 것으로 가격에 반영돼 있다.
반면, 유럽중앙은행(ECB)은 이날 예금금리를 2.00%로 동결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미·EU 무역협상 진전, 중동 휴전, 미·중 관계 개선 등이 유로존 성장의 하방 위험을 완화했다”고 평가했다. 스왑시장은 12월 18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 수준으로만 보고 있다.
무역·정책 이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관세 휴전’ 연장과 일부 수출통제 완화를 포함한 무역 합의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중국산 펜타닐 관련 제품에 대한 관세를 20%에서 10%로 낮추고, 상호 보복관세 유예 기간을 1년 더 연장한다. 대신 중국은 미국산 대두·수수 등 농산물 수입을 재개하며 희토류 자석 수출 통제를 중단하기로 했다.
다만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정책(Reciprocal Tariffs)’을 둘러싼 법적 다툼은 계속된다. 연방대법원은 11월 5일 해당 관세의 합법성을 놓고 구두변론을 열 예정이다. 하급심에서는 이미 행정부의 ‘가짜 비상권’ 주장에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관세 부과를 위법으로 판단했다.
미국 정부 셧다운 장기화
미 연방정부 셧다운은 5주째 지속되고 있다. 정부 통계 발표 지연과 640,000명의 연방직 일시 해고(furlough)로 노동시장·소비 둔화 우려가 확대됐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실업률이 4.7%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해외 증시·경제지표
해외 증시는 혼조세였다. 유로Stoxx 50 지수는 -0.12% 하락,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래 고점에서 -0.73% 조정받았고, 일본 닛케이225는 사상 최고치 경신 후 +0.04% 상승 마감했다.
유로존 3분기 GDP는 전기 대비 +0.2%,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해 시장 기대를 상회했다. 10월 경제심리지수는 96.8로 2년 반 만의 최고치를 나타냈다. 독일 10월 조정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3%를 기록했다.
미 국채 및 글로벌 금리
12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 선물(ZNZ5)은 -6.5틱 하락했고, 현물 금리는 4.095%(+1.9bp)로 상승해 2주 반 만의 고점인 4.114%를 터치했다. ‘관세 휴전’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 감소와 10년 만기 기대 인플레이션(Breakeven Inflation Rate)이 2.312%로 2주 최고치를 기록한 점이 채권 가격을 압박했다.
유럽 채권시장에서도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는 2.643%(+2.2bp),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424%(+3.2bp)로 동반 상승했다.
주요 실적 발표 및 종목별 동향
이번 주는 S&P 500 편입 기업 173곳이 실적을 발표하는 ‘실적 슈퍼위크’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보고를 마친 기업의 84%가 컨센서스를 상회해 2021년 이후 최대 비트(Beat) 비율을 기록 중이다. 다만 3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7.2% YoY로 2년 만의 최저 수준, 매출 증가율은 +5.9%로 2분기(6.4%)보다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매그니피센트 세븐(Magnificent Seven)은 시가총액 상위 7개 미국 기술주(애플·마이크로소프트·메타·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테슬라)를 일컫는 용어다.
부진한 종목
메타 -11%·테슬라 -4%·아마존 -3%·마이크로소프트 -2%·엔비디아 -2% 등 대형주가 시장을 압박했다. 특히 메타는 연간 비용 가이던스를 1,160~1,180억 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낙폭이 컸다. FMC(-45%), 스프라우츠 파머스 마켓(-26%), 치폴레(-18%), 시그나 그룹(-17%), 이베이(-15%), 인터내셔널 페이퍼(-12%) 등도 실적 실망으로 급락했다.
선전한 종목
알파벳 +3%, 가던트 헬스 +28%, 메트세라 +23%(노보 노르디스크 인수 제안), C.H. 로빈슨 월드와이드 +19%, 아메텍 +7%, 헌팅턴 잉걸스 +6%, 얼라인 테크놀로지 +5%, 일라이 릴리 +4% 등은 호실적·M&A 수혜로 상승했다. 보잉은 도이체방크의 투자의견 하향으로 6% 급락해 다우존스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향후 실적 일정(10월 31일)
애브비(AbbVie), AGCO, AON, 칼라일 그룹, Cboe 글로벌 마켓, 차터 커뮤니케이션, 셰브론, 처치&드와이트, 콜게이트-팜올리브, 도미니언 에너지, 엑슨모빌, 연방부동산투자신탁, 리어, 린데, 라이온델바젤, 매디슨 스퀘어 가든 스포츠, 미들비, 뉴웰 브랜드, 엔벤트 일렉트릭, 원메인 홀딩스, 오르가논, RBC 베어링스, T.로우프라이스, W.W. 그레인저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1 ‘매그니피센트 세븐’은 헐리우드 서부극 제목을 차용한 용어로, 미국 시가총액 상위 7개 기술주를 묶어 표현한다. 이들 종목은 지수 흐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실적 부진 시 전체 시장 변동성을 확대하는 경향이 있다.
이 기사는 투자 판단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등장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가 아니다. 취재·편집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최종 투자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