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가권지수(Taiwan Stock Exchange, TSE)가 최근 두 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약 400포인트(1.8%)를 더해 23,375포인트선 바로 아래에서 마감했다. 전문가들은 투자 심리가 여전히 견조한 만큼 25일 금요일 장에서도 제한적이나마 추가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2025년 7월 2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중 무역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각국 간 무역 협정 체결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아시아 증시에 완만한 낙관론이 형성되고 있다. 유럽과 미국 증시가 혼조 마감했음에도 아시아 투자자들은 차익 실현 매물과 저가 매수세가 교차할 것으로 예상돼 방향성은 제한적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전일(24일) TSE는 금융주, 기술주, 플라스틱주가 엇갈린 흐름을 보인 끝에 소폭 상승으로 거래를 마쳤다. 장중 지수는 23,295.31~23,455.09포인트 범위에서 움직였으며, 결국 55.06포인트(0.24%) 오른 23,373.73포인트에 종가를 형성했다.
주요 업종 및 종목 동향
금융주 중에서는 Cathay Financial이 0.33% 상승했고, Mega Financial은 0.12% 하락했다. CTBC Financial(0.32%↑)과 First Financial(0.34%↑)이 강보합권을 나타냈으나 Fubon Financial은 0.24% 밀렸다. E Sun Financial도 0.61% 떨어졌다.
기술주에서는 Hon Hai Precision(폭스콘) 주가가 4.82% 급등하며 장세를 견인했다. 고가광학부품주 Largan Precision 역시 1.69% 상승했고, Catcher Technology는 0.47% 올랐다. 반면 Delta Electronics는 0.38% 하락했다. 파운드리 업계 대장주인 TSMC, 휴대폰 칩 설계사 MediaTek, 디스플레이 구동 칩 업체 Novatek Microelectronics는 변동 없이 보합권에 머물렀다.
플라스틱·화학주에서는 Formosa Plastics가 2.24% 밀려 부진했으나, Nan Ya Plastics가 2.37% 오르며 차별화됐다. Asia Cement는 1.59% 후퇴했다.
글로벌 증시 흐름과 재료
미국 뉴욕증시는 24일(현지시간) 혼조세로 장을 마쳤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316.38포인트(0.70%) 하락해 44,693.91포인트를 기록했고, 나스닥종합지수는 37.94포인트(0.18%) 올라 21,057.96포인트, S&P500지수는 4.44포인트(0.07%) 상승한 6,363.35포인트에 각각 마감했다.
미국 재무부 스콧 베슨트(Scott Bessent) 장관은 “협상이 이전보다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실질적인 진전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미 영국,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가 미국과 합의를 이룬 가운데, 캐나다·인도·한국·EU 등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8월 1일 시한을 앞두고 협상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소식이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지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경제 지표
미 상무부는 6월 신규주택판매가 예상보다 적게 반등했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미 노동부는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을 깨고 감소했다고 밝혔다. 두 지표가 혼재하며 경기 전망은 여전히 팽팽하게 맞서는 상황이다.
에너지 시장에서는 WTI(서부텍사스산원유) 9월물 가격이 배럴당 66.12달러로 전일 대비 0.87달러(1.33%) 상승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이 지난주 원유 재고가 예상보다 큰 폭으로 줄었다고 밝힌 것이 배경이다.
전문가 해석 및 전망
대만 현지 애널리스트들은 “지수 레벨이 사상 최고치 부근에 근접해 있어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될 가능성도 상존하지만, 무역협상 진전이 확인되는 한 중기적 상승 추세는 유지될 것”이라고 진단한다. 특히 Hon Hai, Largan 등 대형 IT주에 외국인 매수가 집중되는 흐름이 지수 방어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미국발 경제 지표에서 주택시장 둔화 조짐이 이어지거나, 8월 1일 데드라인을 앞둔 무역협상이 난항을 겪을 경우 단기 변동성 확대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시장 참여자들은 실적 모멘텀을 보유한 종목 중심의 선별적 매매 전략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WTI(West Texas Intermediate)는 미국 텍사스 서부 지역에서 생산되는 경질유를 말한다. 국제 유가 벤치마크로 널리 활용되며, 배럴당 달러로 거래된다.
파운드리(Foundry)는 반도체 설계만 담당하는 업체(팹리스)로부터 주문을 받아 실제 칩을 제조하는 기업을 가리킨다. TSMC가 대표적이다.
차익 실현(Profit Taking)은 투자자가 보유 중인 자산이 일정 수준 상승했을 때 이익을 확정하기 위해 매도하는 행위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