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 선물, 첫 거래일에 두 자릿수 하락…작황 둔화·기술적 매도 압력

[대두 선물 가격 급락] 주말 직후 첫 거래일인 7월 21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대두(soybeans) 선물은 매수세 유입이 제한되면서 부셸당 9~13센트 하락 마감했다. cmdtyView가 집계한 전국 평균 신곡 현금 대두 가격도 10센트 내린 9.76¼달러를 기록해 약세 흐름이 확인됐다.

2025년 7월 2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관련 파생 상품 가운데 소이밀(Soymeal) 선물은 0.10달러 상승했으나, 소이오일(Soy Oil) 근월물은 23~27포인트 뛰어오르며 가공 제품군과 원물 간 방향성이 엇갈렸다.

전국 평균 현금 대두 가격 차트

USDA 작황 보고서에 따르면 7월 20일 기준 미국 대두 재배 면적의 62%가 개화(blooming) 단계에 진입했고, 26%는 꼬투리 형성(setting pods) 단계에 도달했다. 작물 상태는 양호·우수(good/excellent) 등급이 전주 대비 2%포인트 하락한 68%로 집계됐다. 전미 작황평가지수인 브루글러500(Brugler500)은 2포인트 밀린 373을 기록했다.


기상 여건 및 시장 영향
주말 동안 미 중서부(Corn Belt) 일부 지역에 소나기가 지나간 데 이어, 이번 주 후반 동부 콘벨트(ECB)에서는 최대 1인치 수준의 산발적 강우가 예보되고 있다. 또한 다코타주·미네소타·위스콘신 및 아이오와 북부 지역에는 주초 1~2인치, 국지적으로는 4인치까지의 강우가 예상돼 가뭄 해갈 기대가 반영되고 있다.

대두 선물 가격

수출 물동량
같은 기간(7월 17일 주간) 대두 선적 검역(Export Inspections) 실적은 36만4,990t으로 전년 동기 33만8,255t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직전 주(15만1,346t) 대비로는 크게 개선됐다.

“예년 대비 대두 작황 지표가 부진하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단기적으로는 수출 회복과 일부 지역 강우 소식이 가격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는 시카고 현지 애널리스트들의 분석이 나온다.


세부 종가(7월 21일 기준)

Aug 2025 대두: 10.15달러 (▼12¾¢)
Sep 2025 대두: 10.105달러 (▼10½¢)
Nov 2025 대두: 10.26달러 (▼9¾¢)
근월 현금: 9.7725달러 (▼12¾¢)
신곡 현금: 9.7625달러 (▼10¢)


용어 해설초보자를 위한 추가 정보
Blooming: 대두 작물의 꽃이 피는 단계로, 수확량 잠재력을 가늠하는 첫 관문이다.
Setting Pods: 꽃이 수정돼 꼬투리가 형성되는 시기다. 이 단계의 기상 여건이 최종 수확량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Brugler500: 미국 농업 컨설팅사 Brugler Marketing이 자체 산출하는 0~500점 스코어로, 400점 이상이면 ‘우수’로 분류된다.
Soymeal/Soy Oil: 대두에서 추출한 부산물로, 각각 사료와 식용유·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된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이번 하락은 기술적 매도와 함께 작황 지표 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7월 하순 이후 예보되는 국지성 강우가 토양 수분을 보충하고, 수출 실적도 동반 개선될 경우 가격 반등 여력이 남아 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특히 최근 소이오일 강세가 바이오디젤 수요 증가와 연동돼 있어, 수익성 관점에서 대두 분쇄(crush) 마진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편, 본 기사 작성 시점 기준 필진인 오스틴 슈뢰더(Austin Schroeder)는 해당 종목에 대한 직접·간접적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 2025 Barchart. 본 기사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