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선물시장에서 대두 가격이 주말을 앞두고 다시 약세를 보였다. 8월물과 11월물을 포함한 대부분 계약이 3~6센트씩 하락하면서 이번 주 누적 낙폭은 8월물 29센트, 11월물 14 ¾센트로 집계됐다.
2025년 7월 2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cmdtyView가 집계한 미국산 신작 현물 평균가(New Crop Cash Bean)는 전일 대비 3 ¾센트 떨어진 $9.70 ¾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 전반의 매도 압력과 맞물려 현물 가격까지 약세가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대두박(소이밀) 선물은 t당 $1.60~$1.80 하락했다. 특히 8월물은 주간 기준 $6.20이나 내려 곡물 부산물 시장에서도 투자 심리가 약화된 모습이다. 반면 대두유(소이오일)는 이날 22~23포인트 떨어졌지만 주간 기준으로는 67포인트 상승을 지켜 ‘스프레드 매매’(두 상품 간 가격차를 노린 거래) 수요가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준다.
USDA(미 농무부)는 장 시작 전 “멕시코가 14만 2,500t의 2025/26년도산 대두를 신규로 구매했다”고 밝혔다.
이는 수출 수요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방증하지만, 단기 가격 반등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7월 말로 접어들면서 북부 평원(Northern Plains)에서 동부 콘벨트(Eastern Corn Belt)까지 1~2인치(약 25~50㎜)의 비가 예보돼 있다. 기상 여건 개선이 작황(作況) 전망을 높여 가격 압력을 가중시켰다는 해석이 나온다.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주간 ‘Committment of Traders’(COT) 보고서에 따르면, 7월 22일 기준 펀드(Managed Money)들은 21,412계약의 순쇼트(매도 초과) 포지션을 청산했다. 그 결과 순쇼트 규모는 10,886계약으로 축소됐다. 이는 일부 기관투자가가 가격 바닥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공매도 물량을 줄였음을 의미한다.
같은 주 주간 수출실적(Export Sales)에서는 5,080만9,000t의 누적 ‘선적·미선적’ 약정을 확인했다. 이는 USDA가 제시한 연간 수출 전망치를 근소하게 상회한다. 그러나 이미 선적된 물량은 4,683만1,000t으로, 목표 대비 92 %에 그쳐 평균 진척률(93 %)을 다소 밑돌았다.
세부 가격 동향은 다음과 같다.
· 2025년 8월물 대두: $9.98 ¾, ▼5 ½센트
· 근월 현물가: $9.65 ¼, ▼4 ½센트
· 2025년 9월물: $10.02, ▼3 ¾센트
· 2025년 11월물: $10.21, ▼3 ¼센트
· 신작 현물가: $9.70 ¾, ▼3 ¾센트
용어 해설
• ‘COT 보고서’란 CFTC가 매주 발표하는 대규모 포지션 공시 자료다. 헤지펀드를 포함한 ‘Managed Money’ 부문의 매수·매도 잔량을 통해 시장 심리를 가늠할 수 있다.
• ‘순쇼트 포지션’은 매도 계약이 매수 계약보다 많은 상태를 말한다. 숫자가 줄어들면 공매도 청산(쇼트 커버링)이 일어났다는 의미다.
• ‘콘벨트(Corn Belt)’는 미국 중서부 옥수수·대두 주산지로, 기상 변수에 따라 곡물 가격이 크게 변동한다.
기사 작성자인 Austin Schroeder는 “해당 종목에 대해 직·간접적인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공시했다. 이는 이해 상충을 피하기 위한 일반적 절차이다.
또한 본문은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투자 자문 목적이 아님을 강조했다. 나스닥(Nasdaq, Inc.)이 기사 내용에 동의하거나 보증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명시됐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 면화 가격은 상승세… 추가 상단은?
· 대두박 가격 반등, 어디까지 오를까?
· 옥수수 가격 저점 탈출, 상승 여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