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소이빈) 선물이 정오 무렵 2~7센트 상승세를 보이며 야간 낙폭과 주식시장의 급락, 그리고 산물(소이밀·소이오일) 약세를 일시적으로 무시하는 흐름을 나타냈다. 세부적으로 소이밀(9월물) 선물은 톤당 $2 하락했고, 소이오일(9월물) 선물은 49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가공 부문(product) 약세와 원종자(대두) 가격의 상반된 움직임이 함께 나타난다는 점에서, 단기 매수세 유입 혹은 숏커버링 성격의 반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2025년 11월 1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 농무부(USDA) 산하 FGIS(연방곡물검사국) 수출 검사 보고서는 8월 1일 종료 주간 대두 선적이 261,203톤(=9.56백만버셸)이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주 대비 10.2% 감소이며 전주 대비로는 36.1% 급감한 규모다. 인도네시아가 85,629톤으로 최대 목적지였고, 멕시코향 선적은 76,838톤을 기록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9월 1일 이후 누적 마케팅 연도 선적은 총 4,303만 톤(=15.8억버셸)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년 대비 15.3% 감소한 수준이다. 수출 흐름 둔화는 펀더멘털 측면에서 수요 약화를 반영할 수 있으며, 단기 가격 반등의 지속성을 제약할 잠재 요인으로 해석된다.
작황 동향 측면에서, 같은 날 오후 발표된 Crop Progress 보고서에서 미국 대두 작황 등급은 전주 양호·우수(good/excellent, gd/ex) 비중 67%에서 66%로 1%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gd/ex 비중은 작황의 전반적 건강도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미세하나마 품질 저하 신호가 포착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기상 및 생육 변수에 대한 시장의 민감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
핵심 수치 정리
– 주간 대두 선적: 261,203톤(=9.56백만버셸), 전년 대비 -10.2%, 전주 대비 -36.1%
– 주요 목적지: 인도네시아 85,629톤, 멕시코 76,838톤
– 누적(MY, 9월 1일 이후) 선적: 4,303만 톤(=15.8억버셸), 전년 대비 -15.3%
– 작황 등급(gd/ex): 66%(전주 67%에서 하락)
포지션 동향도 눈에 띈다. 7월 30일 기준, 대두 선물·옵션에서 투기성 자금(spec funds)은 순공매도(net short)를 14,932계약 확대했다. 이에 따라 순공매도 규모는 178,591계약으로 늘었으며, 이는 몇 주 전 기록했던 사상 최대 순공매도에 불과 7,200계약 차이로 접근한 수준이다. 반면 상업계(commercials)는 순매수(net long)를 26,634계약 늘려 총 76,244계약이 되었는데, 이는 주로 공매도 축소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현물·선물 시세는 다음과 같다. 2024년 8월물 대두 선물은 $10.32로 2과 3/4센트 상승했고, 근월 현물(Nearest Cash)은 $10.12과 5/8로 6과 1/4센트 올랐다. 2024년 11월물 대두 선물은 $10.33과 1/2로 6과 1/4센트 상승했다.
2025년 1월물 대두 선물은 $10.49과 3/4로 5과 3/4센트 올랐고, 신작 현물(New Crop Cash)은 $9.80과 3/4로 6센트 상승했다. 가격 표기에서 분수(예: 3/4, 1/2, 1/4)는 센트의 부분 단위를 의미한다.
공시 및 고지에 따르면, 이 기사 게재일 기준 Alan Brugler는 기사에 언급된 어떠한 증권에도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었다. 이 기사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관련 Barchart 공시 정책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문서 내 견해와 의견은 전적으로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견해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해석과 시사점편집자 해설
정오 무렵 대두 선물의 완만한 반등은, 동시간대 주식시장 급락 및 산물 약세와의 비대칭을 고려하면 단기적 숏커버링 또는 기술적 매수 성격이 컸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투기성 자금의 순공매도가 역사적 극단부에 근접해 있다는 점은, 작은 재료에도 가격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며, 수확 전후 변동성 확대를 촉진할 수 있다. 반면, 수출 검사 수치가 전년·전주 대비 모두 후퇴했고, 누적 마케팅 연도 선적도 두 자릿수 감소를 기록한 점은 수요 모멘텀 둔화의 신호로 읽힌다. 이 조합은 단기 반등에도 불구하고, 기본 수급의 약세가 여전히 중기 상단을 제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작황 등급의 1%p 하락은 수치상 작지만, 생육 후반부의 기상 변수(예: 고온·건조, 수분 스트레스)가 커브볼을 던질 경우 시장의 방어력을 시험할 수 있다. 다만 이번 하락폭만으로 공급 쇼크를 단정하기 어려우며, 추가적인 주간 작황 갱신과 수출 검사 개선이 동반되어야 추세 반전(혹은 심화)을 평가할 수 있다.
용어 해설
– FGIS(연방곡물검사국): 미 농무부 산하 기관으로, 곡물의 등급·무게·품질 검사 및 수출 검사 통계를 제공한다. 본 기사에서는 주간 대두 수출 검사·선적 규모의 공식 출처로 인용되었다.
– 마케팅 연도(Marketing Year): 작물의 유통·통계 집계 기간을 뜻한다. 본문은 “9월 1일 이후”를 기준으로 누적 선적을 집계하고 있음을 명시한다.
– gd/ex(양호·우수): Crop Progress 보고서에서 작물 상태를 평가하는 구간으로, 전체 재배면적 중 품질이 ‘양호(좋음)’ 또는 ‘우수(매우 좋음)’로 분류된 비율을 의미한다.
– 투기성 자금(spec funds)과 상업계(commercials): 선물·옵션 시장에서 전자는 가격 변동에 베팅하는 자금, 후자는 실수요자·헤저를 의미한다. 기사에서는 순공매도(매도 우위)·순매수(매수 우위)의 변화를 통해 포지션 심리를 드러낸다.
– 포인트(points): 소이오일 선물에서 사용되는 가격 변동 단위 표현이다. 본문은 9월물 소이오일이 49포인트 하락했다고 전한다.
실무적 체크포인트
1) 수출 검사 반등 여부: 전주 대비 -36.1% 급감 이후의 기저효과가 예상되나, 목적지 다변화와 선적 스케줄의 정상화가 동반되지 않으면 회복은 제한적일 수 있다.
2) 작황 등급 경로: 66% gd/ex가 계절적 평균과 비교해 어떤 궤적을 그리는지, 그리고 이후 보고서에서 등락이 지속되는지 점검이 필요하다.
3) 포지션 구조: 사상 최저치 부근의 순공매도에 근접한 투기성 포지션은 단기 급등·급락 리스크를 증폭시킨다. 가격 촉발 요인(예: 예기치 않은 수출 판매 공시, 기상 급변)에 대한 민감도가 매우 높은 구간이다.
4) 산물 스프레드: 소이밀·소이오일 약세와 대두 선물 강세의 불일치가 이어질지, 혹은 재정합되는지 관찰이 필요하다. 가 crush 마진 변화는 제분·정유사의 가동 의사결정과 맞물린다.
결론
대두 시장은 정오 반등에도 불구하고, 수출 둔화와 작황 등급 약화, 그리고 투기성 순공매도 팽창이라는 하방 요소와 공존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포지션 구조와 기술적 요인에 의해 반등이 연장될 수 있으나, 수요 지표 개선과 생육·수확 여건 안정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지속적 상승의 설득력은 제한적이다. 시장은 향후 발표될 주간 수출 검사와 Crop Progress 업데이트, 그리고 산물 가격과의 내재 밸런스 변화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