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동향] 시카고상품거래소(CME) 대두 선물 가격이 6일(현지 시각) 수요일 장에서 7~8.5센트 하락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다. 전일 예비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4,577계약 증가했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cmdtyView가 집계한 전국 평균 현물 대두 가격은 전장 대비 8.5센트 내린 $9.25 3/4로 집계됐다. 같은 시각 대두박(soymeal) 선물은 $5.10~$6.30 떨어졌고, 대두유(soy oil) 선물은 10~31포인트 반등하며 혼조세를 나타냈다.
거래소는 전날 밤 8월물 대두박에 대해 518건의 인도통지(delivery notice)가 발행됐다고 밝혔다. 반면 대두와 대두유에는 인도통지가 없었다.
■ 기상 여건
미국 중서부 및 동부 콘밸트(corn belt) 상당 지역의 기온은 이번 주말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9일(금) 전까지 비 예보는 제한적이며, 노스다코타(ND)·아이오와(IA)·위스콘신(WI) 지역에만 산발적 강수 가능성이 제시됐다. 다음 주 초반에는 남부 네브래스카(NE), 아이오와, 북부 미주리(MO), 위스콘신 지역에 1~2인치(약 25~50mm)의 강우가 전망된다.
“온도 상승과 강수 부족이 대두 생육기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 대두 선물·현물 시세(6일 장중)
· 8월물 대두: $9.62 ▼7센트
· 최근월 현물: $9.25 3/4 ▼8.5센트
· 9월물 대두: $9.62 3/4 ▼8.75센트
· 11월물(신곡) 대두: $9.82 1/4 ▼8.5센트
· 신곡 현물: $9.14 3/4 ▼8.75센트
■ 무역 이슈
최근 미국 정부는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지속할 경우 8월 27일부터 관세율을 25%에서 50%까지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관세(타리프)는 국가 간 무역 장벽으로, 농산물 가격에 직접‧간접 영향을 미친다.
시장 참가자들은 관세 인상 가능성이 대두 수출 경쟁력과 글로벌 교역 흐름에 미칠 파급 효과를 주시하고 있다.
■ 용어 설명*
*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만기가 도래하지 않은 선물‧옵션 계약의 순 건수. 거래량과 함께 시장 유동성과 참여 정도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 인도통지(Delivery Notice): 선물 계약 만기 시 실제 인수‧인도를 원하는 계약자가 거래소에 제출하는 통지로, 실물 인수 의사를 보여 준다.
한편 기사 작성자인 오스틴 슈뢰더는 보도 시점 기준, 글에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
출처: Barchart, Nasdaq.com (2025년 8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