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상품거래소(CBOT) 대두 선물 가격이 8월 11일 금요일(현지 시각) 장 마감 기준 대부분의 근월물에서 5~7센트 하락하며 주간 거래를 마무리했다. 특히 9월물과 11월물은 주간 누적으로 1.75센트 내렸다.
2025년 8월 11일, 나스닥닷컴이 전한 바에 따르면, 미국 현물 평균가(cmdtyView 기준)는 전일 대비 7센트 낮아진 부셸당 $9.28 ¼을 기록했다.
부산물 시장에서도 혼조세가 나타났다. 소이밀(대두박) 선물은 근월물 기준 40~70센트 상승하며 주간 누적으로 9월물이 $5.70 상승했다. 반면 소이오일(대두유) 선물은 78~88포인트 하락했고, 9월물은 주간 기준 177포인트 떨어졌다.
“8월 5일자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집계에서 헤지펀드ㆍ투자신탁 등 ‘Managed Money’ 부문은 순매도 규모를 29,619계약 추가하며 총 65,930계약 순매도로 확대했다.”
이는 상업 참가자(Commercials)의 순매도 68,230계약과 대조적이다. 상업 참가자는 한 주간 순매도를 19,529계약 줄였다.
용어 해설
Managed Money란 헤지펀드와 자산운용사 등 투기적 성격의 기관투자자를, Net Short Position은 매도 계약이 매수 계약보다 많은 상태를 의미한다. 순매도 규모가 늘면 해당 자산 가격 하락에 베팅한 투자자가 증가했음을 시사한다.
기상 전망도 주가에 영향을 미쳤다. 7일간 예보에 따르면 아이오와주, 남부 위스콘신주, 북부 미주리주, 북서부 일리노이주 일부 지역에는 1~5인치(약 2.5~12.7cm) 이상의 비가 예상된다. 캔자스·미네소타·인디애나·미시간주도 약 1인치 강우가 전망돼 옥수수ㆍ대두 작황 개선 기대가 반영됐다.
오는 12일(화) 발표될 미 농무부(USDA) 작황보고서(Crop Production)를 앞두고 시장 컨센서스는 미국 대두 단수(yield)를 에이커당 53부셸(bpa)로 추정한다(범위 52~54 bpa). 생산량은 43억7,400만 부셸로 예상돼 7월 WASDE(세계 농산물수급보고서) 대비 3,900만 부셸 상향됐다.
수출지표에서는 구작(2024/25) 대두 누적 계약량이 5,149만t로 USDA 수출 전망치의 101%에 도달했다. 이는 5년 평균 103%보다 소폭 낮다. 실제 선적 물량은 4,788만7,000t(전망 대비 94%)으로 평년 45%보다 앞서 있다.
이날 종가
• 8월물 대두 $9.66 ¾(△5¢)
• 현물 평균가 $9.28 ¼(△7¢)
• 9월물 대두 $9.67 ¾(△6 ¼¢)
• 11월물 대두 $9.87 ½(△6 ¼¢)
• 신작(2025/26) 현물 $9.19(△6 ½¢)
기사 작성일 기준, 필자인 오스틴 슈뢰더는 해당 종목에 직·간접적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전망 및 시사점
단기적으로 대두 시장은
① 투기적 순매도 확대,
② 풍부한 강우 예보,
③ 생산량 상향 기대라는 세 요인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④ 소이밀 강세와
⑤ 수출 실적 호조가 가격 방어 요소로 거론된다. 투자자들은 USDA 보고서 발표 전후의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