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대두 선물 가격이 17일(현지시간) 정오 기준 전월물에서 6~8센트 상승하며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cmdtyView 전국 평균 현물 대두(현물 코드 ZSP) 가격도 $9.73 1/2달러로 6 1/2센트 올랐다. 이와 함께 대두박(소이밀) 선물은 50~80센트, 대두유 선물은 90~100포인트 상승해 전반적인 콩(대두) 시장 강세를 뒷받침했다.
2025년 9월 1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 농무부(USDA) 산하 전국농무통계서비스(NASS)가 14일 기준 주간 작황 보고서를 발표한 결과, 미 전역 대두 작물 중 41 %가 낙엽기를 맞았고, 5 %는 이미 수확이 시작된 것으로 집계됐다. 작황 등급은 전주 대비 1%포인트 하락해 ‘양호·우수’ 비중이 63 %로 내려갔으며, 민간 분석 기관 브루글러500(Brugler 500) 지수도 3포인트 하락한 362를 기록했다.
주(州)별로는 캔자스(+3), 네브래스카(+2), 테네시(+5)가 작황 등급 상승을 보였으나, 일리노이(-11), 인디애나(-7), 아이오와(-2), 미네소타(-4), 미주리(-6), 노스다코타(-7), 오하이오(-7)는 일제히 하락했다. 이는 주요 생산지 중 일부의 가뭄·폭염 피해와 맞물려 공급 우려를 자극하고 있다.
한편 향후 1주일간 미 전역에 예보된 강수는 멕시코만 연안에서 다코타·미네소타에 이르는 평야지대(Plains) 일대 초기 수확 작업을 지연시킬 가능성이 크다. 강우 자체는 토양 수분을 보충해 장기적으로 작황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수확·물류 비용을 끌어올리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남미 소식도 주목된다. 브라질 대두업협회(Abiove)는 2024/25년도 브라질 대두 생산량을 1억 7,030만t(MMT)으로 추정했다. 이는 세계 최대 생산국 브라질이 전년보다 생산을 확장한다는 뜻이다. Abiove는 같은 기간 수출 1억 950만t, 크러시(도정) 5,850만t으로 전망치를 제시했다. ‘크러시’란 대두를 압착해 대두유·대두박을 생산하는 공정으로, 실제 소비 수요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지난달 예측치보다 40만t 상향된 수치여서 국내 가공 수요가 탄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구체적인 시세를 보면 2025년 11월물(코드 ZS*1)은 $10.49 3/4달러로 7센트 올랐고, 2026년 1월물(ZS*2)은 $10.69 1/4달러로 7 1/2센트 상승했다. 2026년 3월물(ZSX25)은 $10.84 1/4달러로 7 3/4센트 상승했다. 현물 가격과 선물 곡선 모두 순탄박(Steep Backwardation) 구조를 보이면서 단기 수급 긴장을 반영하고 있다.
용어·지표 해설
브루글러500 지수는 민간 애널리스트 알란 브루글러가 개발한 농산물 작황 평가 지수로, 0~500점 사이 숫자가 높을수록 작황이 양호함을 뜻한다. cmdtyView는 미국 데이터 업체 바차트(Barchart)가 제공하는 실시간 현물 가격 플랫폼이다. 기사에 언급된 ‘포인트(point)’는 대두유 선물 시장에서 0.01센트 단위로 표기되는 최소 가격 변동폭을 가리킨다.
저자·공시
기사 작성자 오스틴 슈뢰더는 해당 증권에 대해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히며, 본 자료는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지 투자 자문이 아니라고 명시했다. 세부 사항은 바차트 공개 정책(Disclosure Policy)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나스닥(Nasdaq, Inc.)은 본 기사의 견해가 자사 공식 입장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