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지수, 연내 미 연준 금리인하 기대 확대에 이틀째 하락

[뉴욕 외환시장 주요 동향]

달러화가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달러 인덱스(DXY)는 전일 대비 -0.26% 내려 2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전날에도 -0.43% 밀린 바 있어, 투자자들의 연내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달러 매도세를 자극했다. 동시에 미 10년 만기 국채금리(10-Year T-note*)가 5bp(1bp=0.01%p) 떨어지며 달러화 이자율 차가 축소된 점도 달러 약세에 무게를 실었다.

2025년 8월 14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는 “현재 금리는 지나치게 제약적이며, 최소 150~175bp는 낮아져야 한다”면서 “9월에 50bp(0.50%p) 인하로 포문을 열고 연속 인하 사이클에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현재 연방기금금리 목표구간을 4.25~4.50%로 설정하고 있으며, 실효금리는 4.33% 수준이다.

달러 인덱스 차트

“연준이 9월 회의에서 50bp를 단행할 ‘매우 높은’ 가능성이 있다.” —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시장 참가자들은 월요일 발표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대체로 온화했고, 5~7월 평균 비농업 고용이 월 3만5,000명 증가에 그친 점을 근거로 매파 기조 약화에 무게를 두고 있다.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 가격은 9월 25bp 인하 확률을 100%로, 50bp 인하 확률을 7%로 반영했다. 이는 전일 96%·0% 대비 더욱 비둘기파적이며, 8월 1일 고용보고서 이전 60% 수준과도 대비된다.

유로/달러 환율

■ 유로·엔·귀금속 시장 동향
달러 약세로 EUR/USD는 +0.27% 올랐다. 다만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유럽 경기에 미칠 부정적 영향 우려로 투자심리는 신중하다. 파생시장 스왑 가격은 유럽중앙은행(ECB)이 9월 11일 회의에서 25bp 인하를 단행할 확률을 8%로 반영하고 있다.

USD/JPY는 -0.31% 하락했다. 일본 투자자들은 미국 관세 확대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일본 경제가 타격을 입을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12월물 금 선물(GCZ2)은 온스당 9.30달러(+0.27%), 9월물 은 선물(SIU2)은 0.600달러(+1.58%) 올랐다. 달러 약세와 연내 금리 인하 기대, 미 국채금리 하락에 더해 지정학적 리스크안전자산 선호를 키웠다. ETF 금 보유량은 월요일 2년 최고치, 은 ETF 보유량은 지난주 3년 최고치를 각각 기록했다.


■ 무역·지정학 이슈
시장은 16일 알래스카에서 열릴 트럼프-푸틴 정상회담을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탐색적 만남”이라며 성과 기대를 낮췄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영토 양보는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며 조기 종전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무역정책 측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유예를 90일 연장(11월까지)했다. 그러나 지난주엔 반도체 수입에 100% 관세를 예고했으며, 미국 내 생산 의지를 입증할 경우 한시적 면제를 허용한다. 또 반도체가 들어간 전자제품에는 별도 세금을 부과하고,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문제 삼아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25%→50%로 올릴 방침을 밝혔다. 의약품에 대한 관세 계획도 ‘다음 주 중’ 발표될 예정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해당 조치들이 모두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이 13.3%에서 15.2%로 뛰어 2024년 2.3% 대비 무려 6배 이상으로 상승할 것으로 추정했다.

금 가격 차트


■ 연방기금선물 추가 전망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를 100% 가격에 반영하고 있으며, 10월 28~29일 회의에서 두 번째 25bp 인하 가능성을 73%로 보고 있다. 올해 말까지 누적 64bp 인하(정책금리 3.69%), 2026년 말까지 총 134bp 인하(2.99%) 전망이 거래되고 있다.

※ 용어 해설

  • T-note: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만기 2~10년 중기 국채. 쿠폰이 지급되며, 세계 금융시장에서 기준금리·위험프리미엄 산정의 핵심지표로 활용된다.
  • 연방기금선물: 시장 참여자들이 향후 연방기금금리 예상치를 거래하는 파생상품.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며, 금리 인하·인상 확률을 수치화하는 도구로 널리 쓰인다.

■ 기자의 시각
현재 연준·백악관·의회 모두 경기 부양 쪽으로 무게가 쏠리고 있어, 시장이 상정한 ‘9월·10월 연속 인하’ 시나리오는 기대가 아닌 기본경로로 굳어지고 있다. 50bp ‘빅컷’ 여부는 8월 말 잭슨홀 심포지엄과 9월 초 고용, 물가 지표가 결정할 전망이다. 한편, 고율 관세가 물가를 자극할 경우 연준의 스텝이 꼬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달러 약세·금값 강세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신흥국 통화 및 원자재 가격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

투자자들은 금리·관세·지정학 변수에 따른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리스크 관리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