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뉴욕 12월물 코코아(CCZ24) 가격이 전 거래일 대비 -0.73%(-52달러) 하락한 반면, ICE 런던 12월물 코코아(CAZ24) 역시 -0.10%(-5파운드) 내렸다는 소식이다. 달러 인덱스 반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시장 전반에 롱 포지션 청산(long liquidation)이 촉발됐다.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달러가 1주일 만에 반등함에 따라 코코아 선물 투자자들은 수익 실현에 나섰다. 여기에 ICE가 집계한 미국 항만 보관 코코아 재고가 15년 만의 최저치(2,420,443포대)를 기록해 공급 우려가 부각됐으나, 단기적으로는 달러 강세 영향력이 우위를 점했다.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달러로 결제되는 원자재 가격은 상대적으로 비싸게 느껴져 매도 압력이 커진다”
라는 시장 격언이 이번에도 유효했다. 실제로 투자자 심리는 지난주 4/11 거래일 동안 나타났던 상승 모멘텀과는 대조적으로 ‘차익 실현 우선’으로 급변했다.
공급·수요 변수
서아프리카산 코코아 작황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이번 주 초 코트디부아르 농무부 자료에 따르면 10월 1일부터 9월 1일까지 항만 선적 물량이 170만 톤(MMT)으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이는 세계 최대 생산국의 출하 부진이 지속됨을 의미한다.
반면 나이지리아는 7월 코코아 수출이 전년 대비 31% 증가한 17,456톤을 기록했다. 생산 6위 국가의 공급 확대는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룬은 2023/24 시즌 생산량이 1.2% 증가한 266,725톤으로 집계돼 단기 공급 부담을 높였다.
가나 코코아위원회(Cocobod)는 2024/25년 생산 전망을 65만 톤으로 하향 조정했다. 가뭄과 팟 로트 병(Pod Rot) 등 병해충 피해로 2023/24년도 수확량이 23년 만의 최저치인 42만5천 톤으로 추락한 데 따른 것이다.
수요 측면에서는 2분기 북미 분쇄(grinding)가 2.2% 증가해 104,781톤을 기록했으며, 유럽도 예상을 깨고 4.1% 증가했다. 아시아는 1.4% 감소했으나 감소 폭이 예측치(-2%)보다 작았다. 이는 전 세계 초콜릿·제과 산업의 저변 수요가 여전히 견고함을 방증한다.
국제 코코아기구(ICCO) 전망
ICCO는 8월 30일 보고서에서 2023/24 글로벌 공급 부족(디피싯)을 -46만2천 톤으로 상향 조정했다. 동시에 생산 전망은 4.461MMT에서 4.330MMT로 하향했다.
재고/분쇄 비율이 27.4%로 46년 내 최저치
라는 점은 중·장기 강세 명분으로 인식된다.
전문가 해설 및 용어 설명
ICE(Intercontinental Exchange)는 뉴욕·런던 거래소를 운영하는 글로벌 선물·옵션 거래소다. CCZ24·CAZ24는 각각 뉴욕·런던 2024년 12월물 코코아 선물의 티커(종목 코드)다.
롱 포지션 청산(Long Liquidation)이란, 매수(롱)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던 투자자가 가격 하락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유 계약을 매도해 포지션을 종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코코아 그라인딩(Cocoa Grindings)은 생두를 갈아 초콜릿 원료를 만드는 공정으로, 실제 소비 수요를 가늠하는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시장 전망과 투자 포인트
단기적으로는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경우 가격 압박이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재고/분쇄 비율과 서아프리카 생산 감소라는 구조적 공급 부족 요인은 중·장기적 상승 추세를 지지한다. 기술적으로 뉴욕 선물은 9월 초 7,100달러선이 주요 지지선으로, 이를 하회할 경우 6,800달러 부근까지 조정이 열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반대로 런던 선물은 파운드화 약세가 완충 작용을 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탄력성이 낮다. 투자자는 통화 변동성·현물 재고 흐름·기상 데이터(특히 엘니뇨 가능성)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달러 지표와 서아프리카 기상 상황이 향후 코코아 가격의 방향성을 결정지을 핵심 변수다. 트레이더라면 매수·매도 구간을 명확히 구분해 변동성 장세에 대응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