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약세로 아시아 통화 심리 회복… 필리핀 페소 숏 포지션 1년래 최대

(정정) 10월 30일 자 기사 헤드라인과 첫 번째 불릿, 1·2단락을 수정해 필리핀 페소가 ‘매수세(bullish)’가 아니라 ‘매도세(bearish)’라는 점을 바로잡는다.

로이터 통신의 Roushni Nair 기자가 작성한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지정학적 긴장 완화 조짐이 나타나면서 아시아 신흥국 통화에 대한 투자 심리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그러나 필리핀 페소에 대해서는 투자자들의 경계감이 지속돼 숏(매도) 포지션이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2025년 10월 31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리서치 설문조사 결과, 필리핀 페소에 대한 베어리시 포지션은 2024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말레이시아 링깃에 대한 낙관적 전망은 지난 4월 중순 이후 계속 확대되고 있다.

주목

링깃은 달러 약세와 미국 통화정책 완화 기대를 최대 수혜 요인으로 삼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요인은 원자재 연동 통화공급망 중심 통화에 호재로 작용한다.

중국 위안화에 대한 순매수 포지션도 9월 중순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라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날 부산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을 앞두고 무역 관계 정상화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두 정상의 대면 회담은 2019년 이후 처음이다.

“우리는 원화, 링깃, 위안화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유지하지만, 대만 달러는 지역 내 다른 통화 대비 부진할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Christopher Wong, OCBC 통화전략가

Wong 전략가는 중국 당국이 최근 완만한 위안화 절상 유도에 나선 것은 의도적이며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 원화에 대한 숏 포지션은 미국과의 무역 합의 기대 속에 다소 줄었다. 설문 응답의 대부분은 관세 인하와 대규모 투자 약속을 담은 새 협정이 확정되기 전 제출됐다. 그는 “미국은 한국산 자동차 및 부품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해 한국 업체들이 일본·유럽 경쟁사와 같은 조건에서 경쟁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주목

싱가포르 달러에 대해서는 약간의 강세 전환이 관찰된 반면, 대만 달러에 대한 베어리시 포지션은 소폭 증가했다. 이를 두고 애널리스트들은 회계 기준 변경 가능성과 잔존하는 지정학 리스크를 이유로 들었다.

인도네시아 루피아의 경우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ank Indonesia)이 예상과 달리 금리를 동결하며 통화 방어에 나선 이후 숏 포지션이 축소됐다. 이는 재정·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변동성 심화 이후 시장 신뢰를 어느 정도 회복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인도 루피에는 10월 중순 이후 숏 포지션이 크게 줄었지만 여전히 순공매도 상태다. 태국 바트에 대한 매도 포지션도 다소 줄었으나 4월 중순 이후 지속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수요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으나, 미 연방정부 셧다운이 경제 전망을 가린다며 신중 기조를 유지했다. 제롬 파월 의장은 필요한 경제지표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점진적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설문 응답 대부분은 FOMC 결정 이전에 수집됐다.

올해 들어 미 달러지수는 10개월 중 두 달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으며, 연간 누적 낙폭은 9.6%에 달한다. 이러한 약세 흐름은 동남아 통화 전반에 지지력을 제공했다.

조사 방식에 따르면, 본 설문은 중국 위안, 한국 원, 싱가포르 달러, 인도네시아 루피아, 대만 달러, 인도 루피, 필리핀 페소, 말레이시아 링깃, 태국 바트 등 9개 아시아 신흥국 통화에 대한 비달러화 포지션을 -3에서 +3까지의 지수로 산정한다. +3은 달러 순매수 규모가 매우 큰 상태를, -3은 달러 순매도가 큰 상태를 의미한다. 포지션에는 비전달선물계약(NDFs)도 포함된다.

NDF(Non-Deliverable Forward)는 만기 시 실제로 통화를 인수·인도하지 않고, 계약 시점과 만기 시점의 기준환율 차이를 현금 정산하는 장외 파생상품이다. 주로 외환 규제가 엄격한 신흥국 통화에 대한 헤지·투기를 위해 활용된다.

설문 결과(달러 대비 각 통화 포지션, 2025년 10월 30일 기준)
USD/CNY -0.80, USD/KRW 1.52, USD/SGD -0.17, USD/IDR 1.11, USD/TWD 0.20, USD/INR 0.55, USD/MYR -0.35, USD/PHP 1.14, USD/THB -0.03


전문가 시각 — 달러 약세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경우,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통화공급망 중심국의 통화는 상대적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재정 적자가 크거나 정치·제도적 리스크가 높은 국가의 통화는 단기 변동성이 상존할 수 있어 헤지 수단 활용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