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ICE(ICE Futures US) 9월물 코코아 선물(CCU25)은 6일(현지시간) 전일 대비 +107달러(+1.28%) 오른 8,480달러에, 런던 ICE 9월물 코코아 선물(CAU25)은 -20파운드(-0.36%) 내린 5,515파운드에 각각 장을 마쳤다.
2025년 8월 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코코아 가격은 환율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미국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DXY 달러인덱스가 1주 만에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달러 기준으로 거래되는 뉴욕 코코아 선물은 상승 압력을 받았다. 반면 파운드화가 1주 최고치로 반등하자 파운드화로 결제되는 런던 코코아 선물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환율 효과 매커니즘
달러 약세는 달러로 표시된 원자재의 실질 가격 부담을 낮춰 글로벌 투자자 매수를 촉진한다. 반대로 파운드 강세는 같은 논리로 파운드 기반 상품 가격 부담을 높여 매도를 유발한다.
코트디부아르 수출 둔화
코코아 가격의 또 다른 지지 요인은 세계 최대 생산국 코트디부아르의 수출 속도 둔화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10월 1일부터 8월 3일까지 누적 선적량은 176만 t으로 전년 대비 6% 증가했으나, 12월 한때 기록했던 35% 증가율에 비하면 상승 탄력이 크게 둔화됐다.
서아프리카 엘니뇨 수준의 건조 우려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는 현재 코트디부아르·가나 지역 강수량이 30년 평균을 밑돌고, 고온 현상이 겹치면서 10월 시작되는 주산기(main crop) 수확량 감소 위험을 경고했다.
품질 논란
4월부터 9월까지 이어지는 중간작물(mid-crop)의 품질도 문제다. 현지 가공업체들은 트럭 한 대분 중 약 5~6%가 저품질 빈이라고 보고했는데, 주산기 평균 1% 대비 크게 높다. 네덜란드 라보뱅크는 “늦은 우기로 인해 열매 성숙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올해 중간작물 생산량은 평균 40만 t으로, 작년(44만 t)보다 9% 감소할 전망이다.
나이지리아 생산 감소 전망
세계 5위 생산국 나이지리아 코코아협회는 2025/26 생산량이 30만5,000 t으로 11%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2024/25 예상치(34만4,000 t) 대비 감소폭이 크다.
초콜릿 수요 부진이 발목
반면 소비 측 수요는 여전히 약세다. 스위스 린트&슈프륑글리는 1분기 초콜릿 매출이 예상보다 크게 줄자 연간 마진 가이던스를 하향했다. 벨기에 바리칼리바우트도 3개월 새 두 차례 2024 회계연도 판매량 전망을 낮췄고, 3~5월 분기 판매량은 전년 대비 9.5% 감소해 10년 만에 최대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분쇄(그라인딩) 지표 약화
7월 17일 유럽코코아협회(ECA)는 2분기 유럽 그라인딩 물량이 331,762 t로 전년 대비 7.2%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아시아코코아협회 수치는 176,644 t로 16.3% 급감, 8년 만의 최저치다. 북미 지역도 2.8% 줄어든 101,865 t을 기록해 글로벌 소비 부진을 입증했다.
선물 가격 급락·재고 증가
앞선 수요 위축으로 7월 뉴욕·런던 코코아 가격은 각각 8.5개월·17개월 만의 최저가로 후퇴했다. 동시에 ICE가 모니터링하는 미국항 재고는 7월 22일 기준 236만8,141포대로 11개월 최고치를 경신했다.
공급 전망 상충
가나는 7월 1일 2025/26 생산량이 전년 대비 8.3% 늘어난 65만 t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5월 30일 2023/24 시즌 글로벌 공급 부족 규모를 종전 ‑44만1,000 t에서 -49만4,000 t으로 확대 조정했다. 생산량은 4,380만 t으로 13.1% 감소했고, 재고 대비 분쇄 비율(stocks-to-grindings ratio)은 46년 만의 최저치인 27.0%로 떨어졌다.
ICCO는 다만 2024/25 시즌에는 14만2,000 t의 4년 만의 흑자 전환과 7.8% 증산(4,840만 t)을 예측했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으로 기상 위험과 수요 부진이라는 양면 리스크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포지션 공시
원문 저자인 리치 애스플런드는 기사 작성 시점에 코코아 관련 종목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전문가 시각
가격이 1분기 고점을 찍은 이후 급락했지만, 장기적으론 재고 부족과 기후 리스크가 상존해 변동성 장세가 불가피하다. 환헤지 전략과 옵션 변동성 매매를 병행하면 리스크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곡물·에너지 가격과 달리 코코아는 생산지가 집중돼 있어 지역별 기후 뉴스가 즉각 가격에 반영되므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중요하다.